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도로·철로·항공편 대혼란…통신·ATM 서비스 등 차질
지하철 갇히고 마트 암흑…병원엔 '긴급 발전기'
정전 원인 아직 규명 안 돼…곳곳 비상 발전기 가동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다음은요. 나라 전체가 순식간에 무법지대로 변했다는 스페인과 포르투갈로 한번 가보겠습니다.
00:08안진영 기자, 갑자기 왜 이 두 나라가 무법지대로 변한 거예요?
00:11현지 시간으로 28일 정오입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대규모 정전 사태가 벌어진 거죠.
00:17지금 보는 것처럼 지하철마저 끊겨버렸습니다.
00:20신호등도 움직이지 않아서 교통이 마비가 됐고요.
00:23지하철 뿐만 아니라 건물 안에서는 엘리베이터 역시 더 이상 운행하지 않았습니다.
00:28완전히 캄캄하네요.
00:30그렇습니다. 그래서 당국에서는 이동을 최소화해달라고 부탁을 했는데 이뿐만이 아니었습니다.
00:35공항 같은 경우도 전력 시스템이 마비가 돼서 비행기가 제대로 뜰 수가 없었고
00:39이동 통신망 역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화 사용에도 적지 않은 불편이 있었다는 거죠.
00:44지금 보시는 장면이 지금 신호등이 더 이상 운영을 하지 않아서
00:48신호등이 꺼진 거예요.
00:49그렇습니다. 그래서 교통 마비를 불러온 상황이고요.
00:52또 하나 말씀드리면 마드리드 오픈 테니스 대회가 열리고 있었는데 결국 이 대회 역시 중단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00:59지금 저 열차도 운행을 멈춘 거군요.
01:01저 열차 같은 경우는 고속열차 같은 경우이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전력이 굉장히 위험할 수가 있죠.
01:06그렇죠.
01:07그래서 저렇게 멈춘 후에는 결국은 사람들이 저렇게 도보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01:12지금 또 들것에 실려가는 분이 있는 것으로 보여서 적지 않은 피해 역시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01:18송치훈 부회장, 현지 언론 보도를 보니까요.
01:21이렇게 정전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
01:24가게도 주유소도 다 닫았다면서 주민들의 불안한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거든요.
01:29그러면 대체 왜 갑자기 이런 정전이 발생을 한 겁니까?
01:32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직 원인을 찾지 못했습니다.
01:35그렇기 때문에 지금 국민들의 불안이 당연히 커질 수밖에 없죠.
01:38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장면처럼 일상생활도 불안해지지만 그리고 일상생활을 최대한 최소화해달라, 이동을 최소화해달라 이렇게 얘기를 한다고 해도 일단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해야 되잖아요.
01:48그런데 지금 뱅킹도 안 될 거고 ATM기도 안 되고 그런 상황 속에서 국민들의 혼란은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01:54예를 들면 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병원은 제대로 작동하는지.
01:58다행히 병원 같은 곳들은 예비 전력으로 가까스로 운영이 되고 있긴 합니다만 국민들의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고 그 불안감이 커지면 이제 억측이 나오게 됩니다.
02:07이거 사이버 공격 때문인 건 아니냐.
02:09다양한 억측들이 나오게 되면 더 혼란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래서 사실 정부에서도 이런 아직 사이버 공격의 징후는 없다.
02:16그렇게 억측을 하지 말아달라고 말하곤 있습니다만 또 어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라는 입장을 얘기하고 있거든요.
02:22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 혼란을 최대한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빨리 원인을 밝혀내고 그걸 밝히고 그리고 지금 정전 상태를 빨리 해결하는 것이 필요한데
02:30지금 당분간 아직까지 정전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혼란은 더 가중될 걸로 보여집니다.
02:35물론 원인을 더 찾아봐야겠지만요.
02:37이번 정전 사태가 스페인의 재생에너지 특히 태양광에 대한 쭉 과도한 의존 탓이다 이런 분석들도 나오던데요.
02:47강정혜 대변인 물론 원인을 더 살펴봐야겠지만 도대체 그 비중이 어느 정도 되길래 그런 거예요?
02:52일단은 이렇게 대규모 정전 사태가 일어난 당일에 스페인 같은 경우에는 태양광이 53% 그리고 풍력이 11%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해서 좀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냐라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죠.
03:09물론 이 사건의 직접적인 원인은 지금 사이버 해킹 가능성이라든지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만 기존에 이렇게 신재생에너지를 과도하게 사용을 하다 보면 이것은 24시간 동일하게 질을 유지할 수가 굉장히 어려운 부분들이 있고
03:25그리고 기상 상황에 있어서도 좀 적극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냐라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거든요.
03:31그런데 스페인 같은 경우에 지금은 신재생에너지를 이렇게 많이 쓰고 있습니다만 한 20년 전까지만 해도 원자력과 화소근료가 80% 정도가 됐었어요.
03:42계속적으로 신재생에너지로 바꿔가는 과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게 좀 안정적이지는 않았던 것이 아니냐라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03:50네, 하루빨리 또 원인 규명이 이루어져야 될 것 같습니다.
03:53오늘 이야기 또 이렇게 핵심만 살펴봤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