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앵커]
아는기자 시작합니다.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

Q1. 지금 도대체 국민의힘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 거예요?

김문수 한덕수 두 사람이 접점을 찾지 못하는 단일화, 못 기다린다 이제 당 주도로 단일화한다고 지금 돌입한 겁니다.

11일까지의 시나리오를 정리했습니다.

오늘 내일 이틀간 당원과 민심 여론조사 진행해 50%씩 비중으로 합산합니다.

질문은 이겁니다.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 중 국민의힘 후보로 누가 더 적합하냐.

이 결과를 가지고, 대선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 전에 둘 중 하나 단일후보로 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며칠전 김문수 후보가 한동훈 후보와 경쟁해서 승리했던 그 결선 기억하십니까?

한덕수 후보와 파이널라운드로 한 번 더 하는 셈인 거죠. 

Q2. 그래서 둘 중 한 사람이 이기면, 당은 그 사람을 국민의힘 최종 후보로 만들겠다는 건가요?

지도부는 물론 이 조사와 투표로 종국에 뭘 하겠다. 이걸 뚜렷하게 말하진 않고 있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물론 당내 의원들 반발이나 우려가 있으니 한걸음씩 두드리며 단계적으로 가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투표 여론조사, 전국위 개최, 전당대회, 이걸 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김문수나 한덕수 중 한 명을 결정하겠단 거죠.

Q3. 여론조사 결과 김문수 후보가 이기면, 그냥 그대로 가는 거겠죠?

맞습니다.

이미 전당대회 거쳐서 선출된 당의 대선후보입니다.

일정만 잘 맞춰서 후보등록 하면 됩니다.

Q4. 그래요. 만약에 한덕수 후보가 이긴다면, 절차가 복잡해지나요?

이게 복잡하고 미묘한 상황인 겁니다.

무소속이던 한 후보가 곧바로 입당할 겁니다.

한 후보 오늘 김 후보와 만나서 "단일화가 되면 즉각 입당할 거다"라고 하기도 했고요.

입당이후 예고된 당 전국위나 전당대회에서 후보로 지명되는 절차 거치고, 국민의힘 후보자격으로 선관위에 등록하는 순을 밟게됩니다.

Q5. 김문수 후보, 당의 강제적인 단일화는 인정 못한다고 반발해 왔잖아요. 이 절차 인정하지 하겠다면서 후보등록 한다고 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요?

김 후보는 이런 절차가 진행되는 자체를 인정하지 못합니다.

김 후보가 어제 당선인 공고장을 SNS에 공개했거든요.

정당한 국민의힘 후보는 바로 나 김문수이다. 이걸 강조한 걸로 보이죠.

결국 당의 밟는 절차와 무관하게 김 후보가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등록하는 상황도 충분이 예상가능합니다.

Q6. 그러면 국민의힘 후보가 2명이 되는 상황이 되어요? 등록이 되는거에요?

선관위에 문의를 좀 해봤거든요.

공직선거법에 그 답이 있다고 회신했습니다.

알려주더라고요.

공직선거법에 보면 대통령 선거의 정당후보자 등록의 주체가 나와있습니다. 

그 추천의 주체는 후보 개인이 아닌 정당으로 되어있습니다. 

즉 당의 대선후보는 당이 추천해야하고, 그 과정에서 추천정당의 도장과 대표자 직인이 찍힌 추천서까지 필요합니다.

결국 선관위 등록과정에 당의 역할이 필요하단 거고요.

당 지도부의 협조없이 김 후보 자력만으로 선관위에 후보등록하는 것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Q6. 단일화 절차랑 상관없이 보수진영 대선판이 그야말로 난장판 같기도 하고요. 다 사상초유의 일입니다.

맞습니다.

거기다가 더있습니다. 

김문수 후보 지지하는 당협위원장들이 지도부가 예고한 전국위와 전당대화 열지 못하게 해달라고 법원에 가처분신청 냈거든요.

김 후보 본인도 오늘 법원에 대통령후보자로서의 지위를 인정해 달라, 이런 신청을 냈습니다. 

정치가 정치를 정치로 풀지못하고, 법원의 문까지 두드리기 시작한 겁니다.

국민의힘 의원들 중에는 "법적 다툼 영역으로 가면 리스크가 생긴다"면서 당의 강제적인 후보 교체 시도에 우려를 표시하는 목소리도 공존하고 있습니다.

잠시 후 이세진 기자와 아는기자 이어가겠습니다.


이세진 기자 jinlee@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 있습니다. 정리를 좀 해봅시다. 지금 국민의힘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거예요?
00:08김문수, 한덕수 두 사람이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단일화. 못 기다린다. 이제 당 주도로 단일화한다고 지금 절차에 돌입한 겁니다.
00:1811일까지의 시나리오를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오늘 내일 이틀간 당원과 민심 여론조사를 진행해서 50%씩 비중으로 합산합니다.
00:27질문은 이겁니다.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 중 국민의힘 후보로 누가 더 적합하냐. 이 결과를 가지고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 전에 둘 중 하나 단일 후보로 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00:42며칠 전 김문수 후보가 한동훈 후보와 경쟁에서 승리했던 그 결선 기억하시죠? 한덕수 후보와 파이널 라운드로 한 번 더 하는 셈이 되는 거죠.
00:51그러면 저 지금 진행하고 있는 당원조사, 일반 여론조사로 결국 최종 후보를 정하는 거예요?
00:57네. 지도부는 물론 이 조사와 투표로 종국에 뭘 하겠다 이렇게 뚜렷하게 밝히지는 않고 있습니다.
01:04김문수 후보는 물론 당내 의원들 반발이나 우려가 있으니 한 걸음씩 두드리며 단계적으로 가겠다는 건데요.
01:12하지만 투표, 여론조사, 전국이 개최 그리고 전당대회 이걸 하려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01:18김문수나 한덕수 중 한 명을 결정하겠다는 거죠.
01:22그럼 지금 하고 있는 저 당원, 일반 여론조사 중에 김문수 후보가 이기면 그냥 그대로 가는 거고요?
01:29네. 맞습니다. 이미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당의 대선 후보입니다.
01:33일정만 잘 맞춰서 후보 등록하면 됩니다.
01:36그럼 한덕수 후보가 이기면 어떻게 되는 거예요?
01:38이게 복잡하고 미묘한 상황이 되는 건데요.
01:40무소석이던 한 후보가 곧바로 입당을 할 겁니다.
01:44한 후보 오늘 김 후보와 만났을 때 단일화가 되면 즉각 입당할 거다라고 하기도 했고요.
01:50입당 이후에 예고된 당 전국이나 전당대회에서 후보로 지명되는 절차를 거치고
01:55국민의힘 후보 자격으로 선관위에 등록하는 순서를 밟게 되는 겁니다.
02:00그런데 지금 김문수 후보는 저 단일화, 당이 주도한 단일화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요.
02:05그렇다면 본인이 그냥 자기 10일, 11일에 후보 등록하겠다고 그냥 할 수는 없는 거예요?
02:12네. 맞습니다. 김 후보는 이런 절차가 진행되는 자체를 인정하지 못합니다.
02:17김 후보가 어제 당선인 공고장을 SNS에 공개했거든요.
02:21정당한 국민의힘 후보는 바로나 김문수이다.
02:25이걸 강조한 걸로 보이죠.
02:26결국 당의 밟는 절차와 무관하게 김 후보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등록하는 상황도 충분히 예상 가능합니다.
02:35그럼 어떻게 되는 겁니까? 국민의힘 후보가 두 명이 되는 거예요?
02:38선관위에 문의를 좀 해봤거든요.
02:41공직선거법에 그 답이 있다고 회신을 했습니다.
02:44알려주던데요. 공직선거법에 보면 대통령 선거에 정당 후보자 등록 주체가 나와 있습니다.
02:50그 추천의 주체는 후보 개인이 아닌 정당으로 되어 있습니다.
02:54즉 당의 대선 후보는 당이 추천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추천 정당의 도장과 대표자 직인이 찍힌 추천서까지 필요합니다.
03:03결국 선관위 등록 과정에 당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거고요.
03:07당 지도부의 협조 없이 김 후보 자령만으로 선관위에 후보 등록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03:14이야, 지금 벌어진 일들이 그야말로 사상 초유의 일들이 벌어지네요.
03:17네, 맞습니다.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닙니다.
03:20김문수 후보를 지지하는 당협위원장들이 지도부가 예고한 전국의와 전당대회를 열지 못하게 해달라고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냈거든요.
03:29김 후보 본인도 오늘 법원에 대통령 후보자로서의 지위를 인정해달라 이런 신청을 냈습니다.
03:37정치가 정치를 정치로 풀지 못하고 법원의 문까지 두드리기 시작한 겁니다.
03:42국민의힘 의원들 중에서는 법적 다툼 영역으로 가면 리스크가 생긴다면서 당의 강제적인 후보 교체 시도에 우려를 표시하는 목소리도 함께 공존하고 있습니다.
03:53이세진 기자는 잠시 후에 또 다른 얘기로 알아보겠습니다.
04:12감사합니다.
04:13감사합니다.
04:14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