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현지시간) 벌어진 인도·파키스탄 미사일 무력 충돌의 중심엔 카슈미르가 있다. 두 나라는 1947년 영국에서 분리 독립한 후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갈등해 왔다. 양국이 지난 78년간 전쟁이란 극단적 수단으로 적대적 관계를 폭발시킬 때마다 카슈미르가 뇌관이 됐다. 이곳에 ‘남아시아의 화약고’란 오명이 붙은 이유다.
인도 북부, 파키스탄 북동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카슈미르는 면적이 22만㎢로 한반도와 비슷하다. 47년 당시 토후국으로 인도와 파키스탄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다. 주민의 70% 이상인 무슬림은 파키스탄 편입을 요구했지만, 20%가량의 힌두계 지배 세력은 독립 유지 또는 인도 편입을 원했다. 카슈미르 군주 마하라자 하리 싱은 당초 독립을 주장하다 파키스탄 지지 민병대가 침입하자 카슈미르의 인도 편입을 조건으로 인도군 파병을 허용했다. 이에 인도와 파키스탄은 2년간 전쟁을 치렀다.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다.
49년 유엔 중재로 카슈미르 북서부는 파키스탄이, 중부와 남부는 인도가 통치하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양국은 65년에도 카슈미르 문제로 2차 전쟁을 벌였다. 71년엔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 독립과 관련해 3차 전쟁을 치렀다. 이듬해 두 나라는 유엔이 49년에 정한 휴전선을 사실상의 카슈미르 내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으로 정하는 심라 협정을 맺으며 휴전에 들어간다. 이후 국경 부근에서 양국이 직접 무력 충돌하는 일은 현저하게 줄었다.
그럼에도 인도령 카슈미르에선 테러와 무장 투쟁 등이 빈번하게 발생해 왔다. 약 700만명의 인구 중 70%가량을 차지하는 무슬림들은 인도에 속한 상황에 불만을 품고 이슬람 국가인 파키스탄과 합병하거나 독립해야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111?cloc=dailymotion
인도 북부, 파키스탄 북동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카슈미르는 면적이 22만㎢로 한반도와 비슷하다. 47년 당시 토후국으로 인도와 파키스탄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다. 주민의 70% 이상인 무슬림은 파키스탄 편입을 요구했지만, 20%가량의 힌두계 지배 세력은 독립 유지 또는 인도 편입을 원했다. 카슈미르 군주 마하라자 하리 싱은 당초 독립을 주장하다 파키스탄 지지 민병대가 침입하자 카슈미르의 인도 편입을 조건으로 인도군 파병을 허용했다. 이에 인도와 파키스탄은 2년간 전쟁을 치렀다.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다.
49년 유엔 중재로 카슈미르 북서부는 파키스탄이, 중부와 남부는 인도가 통치하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양국은 65년에도 카슈미르 문제로 2차 전쟁을 벌였다. 71년엔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 독립과 관련해 3차 전쟁을 치렀다. 이듬해 두 나라는 유엔이 49년에 정한 휴전선을 사실상의 카슈미르 내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으로 정하는 심라 협정을 맺으며 휴전에 들어간다. 이후 국경 부근에서 양국이 직접 무력 충돌하는 일은 현저하게 줄었다.
그럼에도 인도령 카슈미르에선 테러와 무장 투쟁 등이 빈번하게 발생해 왔다. 약 700만명의 인구 중 70%가량을 차지하는 무슬림들은 인도에 속한 상황에 불만을 품고 이슬람 국가인 파키스탄과 합병하거나 독립해야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111?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한국국토정보공사
00:30한국국토정보공사
01:00한국국토정보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