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상고심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1심과 2심의 판단이 엇갈렸던 만큼 대법원의 결론이 어떻게 나올지 주목되는데요.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권준수 기자!

이번에 이례적인 속도로 결론이 나오게 됐죠?

[기자]
네, 내일(5월 1일) 오후 3시 대법정에서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상고심 판결이 선고됩니다.

지난 22일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사건이 넘어간 지 9일 만이자, 지난달 항소심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무죄가 선고된 지 36일 만입니다.

대법관들은 전원합의체 회부 당일에 바로 첫 합의기일을 열었는데요.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겸직하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 회피신청도 바로 인용했고, 이틀 뒤엔 두 번째 합의기일을 열었습니다.

조희대 대법원장은 임기 초부터 선거법 사건 '6·3·3 원칙', 즉 2심 선고 이후 3개월 안에 상고심 결론을 내야 한다고 강조해왔습니다.


내일 선고는 어떻게 이뤄지나요?

[기자]
네, 이번 사건의 재판장은 조희대 대법원장이고 주심은 박영재 대법관인데요.

전원합의체 사건은 재판장이 이끌기 때문에 조 대법원장이 주문을 낭독하게 됩니다.

사실관계와 법률상 쟁점, 그리고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이 있는 경우 요지를 먼저 설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피고인 출석 의무가 없어서 이 후보도 법정에 나오지 않을 예정인 거로 파악됐습니다.

또 전원합의체 선고는 대법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기 때문에 누구나 볼 수 있는데요.

대법원은 방송사가 유튜브 영상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지, 아니면 법정 안에서 촬영을 허가할지 논의하고 있습니다.


상고심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봐야 합니까?

[기자]
먼저, 검찰의 상고를 기각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이 2심 판결에 잘못이 없다고 판단해서 이 후보의 무죄가 확정되는 겁니다.

반면, 파기환송 가능성도 있습니다.

2심 판결에서 법리 오해 등이 있다고 보고 서울고등법원에 다시 재판하도록 사건을 돌려보내는 건데요.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할 경우 이 후보 입장에선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또 대법원이 파기자판을 통해 직접 유죄판결을 선고할 수도 있지만, 사례가 극히 드뭅니다.


이번 선거법 사건의 쟁점도 다시 한 번 짚어주시죠.

[기자]
네, ... (중략)

YTN 권준수 (kjs819@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30090628886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다음 소식입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상고심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00:061심과 2심의 판단이 엇갈렸던 만큼 대법원의 결론이 어떻게 나올지 주목되는데요.
00:12현장에 나가 있는 최재기자 연결합니다. 권준수 기자.
00:18네, 대법원입니다.
00:19이번에 이례적인 속도로 결론이 나오게 됐죠?
00:21그렇습니다. 내일 오후 3시 대법정에서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상고심 판결이 선고됩니다.
00:32지난 22일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사건이 넘어간 지 9일 만이자 지난달 항소심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무죄가 선고된 지 36일 만입니다.
00:42대법관들은 전원합의체 회부 당일에 바로 첫 합의기일을 열었는데요.
00:46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겸직하고 있는 노태학 대법관의 회비 신청도 바로 인용했습니다.
00:52이틀 뒤엔 두 번째 합의기일을 열었는데요.
00:55조희대 대법원장은 임기 초부터 선거법 사건 633원칙, 즉 2심 선고 이후 3개월 안에 상고심 결론을 내야 한다고 강조해 왔습니다.
01:07내일 선고는 어떻게 이루어집니까?
01:09이번 사건의 재판장은 조희대 대법원장이고 주심은 박영재 대법관인데요.
01:18전원합의체 사건은 재판장이 이끌기 때문에 조 대법원장이 주문을 낭독하게 됩니다.
01:24사실관계와 법률상 쟁점 그리고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이 있는 경우 요지를 먼저 설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01:31피고인 출석 의무는 없어서 이 후보가 직접 나올 필요는 없습니다.
01:35따라서 이 후보는 나오지 않을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는데요.
01:37전원합의체 선고는 대법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기 때문에 누구나 볼 수 있습니다.
01:44대법원은 방송사가 유튜브 영상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지 아니면 법정 안에서 촬영을 허가할지 논의할 계획입니다.
01:53상고심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봐야 됩니까?
01:58먼저 검찰의 선고를 기각할 수 있습니다.
02:01대법원이 2심 판결에 잘못이 없다고 판단해서 이 후보의 무죄가 확정되는 겁니다.
02:08반면 파기환송 가능성도 있습니다.
02:112심 판결에서 법리 오해 등이 있다고 보고 서울고등법원에 다시 재판하도록 사건을 돌려보내는 건데요.
02:17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할 경우 이 후보 입장에선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02:22또 대법원이 파기 자판을 통해 직접 유죄 판결을 선고할 수도 있지만 사례가 극히 드뭅니다.
02:28이번 선거법 사건의 쟁점도 다시 한번 짚어주시죠.
02:33공기선거법 위반 사건은 지난 2021년 대선 과정에서 불거졌습니다.
02:41검찰은 이 후보가 방송 출연에서 고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1차장을 몰랐다거나
02:47국정감사에서 백현동 용도 변경은 국토부에 압박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 발언을 문제 삼았습니다.
02:541심 재판부는 지난해 11월 이 후보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에 당선 무효형을 선고했고
03:012심 재판부는 지난달 무죄를 선고하면서 허위사실 공표가 아니라며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03:07때문에 대법관들이 이 후보의 지난 발언들을 어떻게 판단했을지 주목됩니다.
03:11지금까지 대법원에서 YTN 권준수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