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엉터리”라고 했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시스템 해킹 가능 여부를 놓고 국가정보원과 선관위 전·현직 고위 관계자가 충돌했다. 11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은 “국정원 보안점검 결과 외부로부터 내부 시스템으로 침투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 등이 발견됐다”고 증언했다. 이에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은 “보안시스템 일부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의 모의 해킹 결과”라며 “투·개표 데이터 조작은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윤 대통령 측 신청 증인인 백 전 차장이 먼저 “2023년 7~9월 12주간 실시한 합동 보안점검에서 외부로부터 선관위 내부 시스템으로 침투 가능한 문제점을 확인했고, 선거시스템이 공격받으면 사회 혼란을 초래할 수 있겠구나 생각을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선관위 선거 시스템이 우리나라 어떤 기관의 어떠한 시스템보다도 보안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상당히 부족한 부분이 있어 놀랐다”고도 했다.
구체적으로 백 전 차장은 “인터넷에서의 업무망과 선거망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돼 운영돼야 함에도 망 간에 연결되는 접점이 있었다. 해커 입장에서는 망 연결이 됐다고 볼 수 있다”고 짚었다. 선관위 업무망과 선거망이 연결된 지점을 통해 외부에서 시스템 침투가 가능하다는 취지다.
백 전 차장은 또 “보안점검 당시 시스템 내부에 침투한 해커는 통합 선거인 명부를 탈취하거나 내용 변경이 가능했나” “(해커가) 통합 선거인 명부에 사...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262?cloc=dailymotion
윤 대통령 측 신청 증인인 백 전 차장이 먼저 “2023년 7~9월 12주간 실시한 합동 보안점검에서 외부로부터 선관위 내부 시스템으로 침투 가능한 문제점을 확인했고, 선거시스템이 공격받으면 사회 혼란을 초래할 수 있겠구나 생각을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선관위 선거 시스템이 우리나라 어떤 기관의 어떠한 시스템보다도 보안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상당히 부족한 부분이 있어 놀랐다”고도 했다.
구체적으로 백 전 차장은 “인터넷에서의 업무망과 선거망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돼 운영돼야 함에도 망 간에 연결되는 접점이 있었다. 해커 입장에서는 망 연결이 됐다고 볼 수 있다”고 짚었다. 선관위 업무망과 선거망이 연결된 지점을 통해 외부에서 시스템 침투가 가능하다는 취지다.
백 전 차장은 또 “보안점검 당시 시스템 내부에 침투한 해커는 통합 선거인 명부를 탈취하거나 내용 변경이 가능했나” “(해커가) 통합 선거인 명부에 사...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262?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