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러시아를 국빈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도착 일성으로 '중국과 러시아는 패권과 힘의 정치에 반대한다'며 미국을 정조준했습니다.

오늘 푸틴 대통령과 만나 양국의 변함없는 협력을 확인하고 트럼프 2기 정권 출범 후 급변한 국제 질서에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할 전망입니다.

이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용기로 러시아 모스크바에 도착했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초청에 따른 나흘간의 국빈 방문입니다.

오는 9일 러시아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에 앞서 두 정상은 공식 회담을 갖고 공동성명을 발표합니다.

공식 회담 외에도 조찬과 티타임을 함께 하며 긴밀한 대화도 나눌 예정입니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의 한복판에 있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놓고 미국과 기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시 주석은 모스크바 도착 후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과 러시아는 패권과 힘의 정치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에 대한 견제 입장을 분명히 한 겁니다.

[엘리자베스 A. 위슈닉 : 푸틴과 시진핑의 정상회담은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처음입니다. 두 사람은 미국의 대러 관계 개선 시도에도 불구하고 양국 협력관계에는 영향이 없음을 거듭 확인할 것으로 봅니다.]

푸틴 대통령은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는 29개국 중 베네수엘라 등 15개국이 넘는 국가 정상들과 회담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전 이후 이어진 서방의 고립 작전을 비웃듯 자신의 외교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 러시아 대통령 : 베네수엘라와 러시아의 협력 유망 분야가 분명히 있습니다. 양국 동료들은 에너지와 교통, 의학, 산업, 물류 등과 인도적 영역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편 전승절 열병식에 북한은 대사급 인사가 대표로 참석할 예정입니다.

크렘린궁 측은 북한군이 행진에 참여하지 않지만 흥미로운 만남이 있을 것이라며 양측의 대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YTN 이경아입니다.


영상편집 : 김희정
디자인 : 우희석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508055406282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러시아를 국빈 방문했죠.
00:03이 자리에서 중국과 러시아는 패권과 힘의 정치에 반대한다면서 미국을 정조준했습니다.
00:10오늘 푸틴 대통령과 만나서 양국의 변함없는 협력을 확인하고
00:14트럼프 2기 출범 후 급변한 국제 질서에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00:21이경아 기자입니다.
00:24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용기로 러시아 모스크바에 도착했습니다.
00:30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초청에 따른 나흘간의 국빈 방문입니다.
00:35오는 9일 러시아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에 앞서
00:39두 정상은 공식 회담을 갖고 공동 성명을 발표합니다.
00:44공식 회담 외에도 조창과 티타임을 함께하며 긴밀한 대화도 나눌 예정입니다.
00:50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의 한복판에 있고
00:54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놓고 미국과 기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00:59시 주석은 모스크바 도착 후 발표한 성명에서
01:02중국과 러시아는 패권과 힘의 정치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01:09미국에 대한 견제 입장을 분명히 한 겁니다.
01:11푸틴 대통령은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는 29개 나라 중
01:31베네수엘라 등 15개국이 넘는 국가 정상들과 회담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01:36우크라이나 전 이후 이어진 서방의 고립 작전을 비웃듯
01:40자신의 외교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01:44한편 전승절 열병식에 북한은 대사급 인사가 대표로 참석할 예정입니다.
02:05크렘린 궁은 북한군이 행진에 참여하지 않지만 흥미로운 만남이 있을 것이라며
02:11양측의 대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02:14YTN 이경아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