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상괭이가 만삭의 몸으로 바다를 유영하고 갓 태어난 새끼를 양육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웃는 돌고래’로 알려진 상괭이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이자 남해 등에 서식하는 토종 돌고래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번식부터 양육까지 상괭이의 생애 주기를 보여주는 다양한 생태 모습을 영상으로 촬영해 1일 공개했다. 영상엔 지난해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 바다에서 출산 시기가 다가온 만삭 상태의 상괭이가 유영하는 모습과 배냇주름(태어나서 1~2주간 몸에 나타나는 주름)을 가진 새끼 상괭이 등이 담겼다. 
 
국립공원공단은 “특히 출산을 앞둔 만삭 상태의 모습과 출산 후 어미가 갓 태어난 새끼를 양육하는 장면은 해양 포유류인 상괭이의 전반적인 생애 활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
  10개월 임신해 새끼 낳아…사냥 가르쳐
  이빨고래류 쇠돌고래과에 속한 상괭이는 다른 돌고래와 달리 등지느러미가 없다. 태어났을 때는 약 72~85㎝ 크기이며, 최대 2m까지 자란다. 색깔도 새끼일 때는 흑색이지만 성장하면서 회백색으로 변한다. 주로 남해와 서해 등 우리나라 인근 바다를 중심으로 서식하며 일본과 중국의 바닷가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포유류인 상쾡이는 10개월 안팎의 임신 기간을 거쳐 새끼를 낳는다. 주로 멸치와 전어, 오징어 등을 섭취한다. 이번 영상도 어미 상괭이가 갓 태어난 새끼와 함께 숭어 떼를 사냥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
  혼획으로 개체 수 급감 “AI 기반 상괭이 관측” 
&nb...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941?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