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국정원은 북한이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에 두 차례에 걸쳐 약 1만5000명의 병력을 파병했고, 이 중 사상자는 47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30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정보위 소속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군 사상자는 600여 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약 4700명으로 추산된다”며 “이중 약 2000명은 3월까지 항공기와 열차를 이용해 북한에 송환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평양 등지에서 격리 수용 중”이라며 “전사자들은 쿠르스크에서 화장된 다음 북한으로 이송됐다”고 부연했다.

 
 
국정원은 파병된 북한군이 러시아의 쿠르스크 탈환 작전에 집중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보고있다. 이 의원은 “러시아가 대부분의 영토를 수복함에 따라 3월 이후 교전이 감소했다”며 “이에 3차 파병은 가시적 움직임이 없지만,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말했다. 러시아 서남부 지역인 쿠르스크는 우크라이나가 지난해 8월 기습적으로 점령했지만, 지난 3월 러시아에 수복됐다. 이 의원은 또 “북한군이 신형 무기 운용에 익숙해지며 전투력이 상당히 향상됐고, 초기의 미숙함이 줄었다”면서도 “파병 장기화로 북한군 내 과음·절도 등 현지 일탈 행위도 보고됐다”고 언급했다.
 
최근 러시아가 북한군의 파병 사실을 공식화한 배경을 놓고는 “러시아와의 밀착 기조 속에서 종전 후 동맹 관계를 펴려는 김정은과, 극적인 성전(聖戰)의 모양새가 필요한 푸틴의 입장이 절충된 결과”라고 국정원이 보고했다. 이와 관련 우크라이나 군에 붙잡힌 북한군 2명의 포로 지위에 대한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719?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