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에서 난 산불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산불 발생 주변 지역 주민 천200명 정도는 인근 초등학교로 대피했습니다.
현장 연결합니다. 이윤재 기자!
[기자]
네, 대구 북구 산불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벌써 산불이 시작된 지 4시간 정도 지났는데, 지금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네, 이곳 대구 북구에 산불이 시작된 건 오후 2시쯤입니다.
불은 4시간 가까이 지난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뒤로 보이는 것처럼 주변이 온통 희뿌연 연기로 가득합니다.
이곳에서 조금만 더 산불과 가까운 곳으로 가면 마스크를 쓰지 않고는 숨 쉬는 것조차 쉽지 않을 정도로 연기가 자욱합니다.
산불이 확산하면서 산림 당국은 오후 3시 10분, 산불 1단계를 발령했다가 30분 만에 산불 2단계로 올렸습니다.
또 소방청은 소방 대응 1단계와 국가 소방동원령을 발령했습니다.
현재 헬기 29대와 장비 30여 대를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산불 영향 구역은 50ha, 축구장 70개 정도입니다.
화선, 그러니까 불길의 길이는 4.4km 정도입니다.
오후 5시 기준 진화율은 20% 수준입니다.
교통이 통제되고, 주민 대피도 이어지고 있다면서요?
[기자]
네, 불길이 쉽게 잡히지 않고 확산하면서 주민들도 대피하고 있습니다.
이곳 노곡동과 무태조야동 주민 8백여 가구, 천200여 명이 인근 초등학교로 대피했습니다.
대구 북구는 또 조금 전인 5시 6분쯤 서변동 주민에게도 대피 명령을 내렸습니다.
서변동 주민은 동변중학교 강당으로 대피하라는 내용입니다.
이곳으로 접근하는 도로도 전면 통제됐습니다.
취재진이 접근하는 것도 쉽지 않았는데요.
이곳 노곡동으로 들어서기 전부터 이곳을 빠져나가려는 차량이 도로를 가득 메우고, 줄을 잇고 서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도로가 통제되면서 시내버스 운행도 중단됐습니다.
또 산불 발생 지역과 가까운 경부고속도로 북대구 나들목은 오후 4시를 기준으로 진·출입이 중단됐습니다.
현장에는 초속 3m 안팎의 바람이 불고 있는데, 순간 풍속은 초속 11m에 이릅니다.
강한 바람에 심한 연기까지 더해지면서 진화 작업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산림청과 대구시는 인력과 장비를 최대한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산불 발생 지역 주변 주민들은 재난 문... (중략)
YTN 이윤재 (lyj1025@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428174912642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산불 발생 주변 지역 주민 천200명 정도는 인근 초등학교로 대피했습니다.
현장 연결합니다. 이윤재 기자!
[기자]
네, 대구 북구 산불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벌써 산불이 시작된 지 4시간 정도 지났는데, 지금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네, 이곳 대구 북구에 산불이 시작된 건 오후 2시쯤입니다.
불은 4시간 가까이 지난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뒤로 보이는 것처럼 주변이 온통 희뿌연 연기로 가득합니다.
이곳에서 조금만 더 산불과 가까운 곳으로 가면 마스크를 쓰지 않고는 숨 쉬는 것조차 쉽지 않을 정도로 연기가 자욱합니다.
산불이 확산하면서 산림 당국은 오후 3시 10분, 산불 1단계를 발령했다가 30분 만에 산불 2단계로 올렸습니다.
또 소방청은 소방 대응 1단계와 국가 소방동원령을 발령했습니다.
현재 헬기 29대와 장비 30여 대를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산불 영향 구역은 50ha, 축구장 70개 정도입니다.
화선, 그러니까 불길의 길이는 4.4km 정도입니다.
오후 5시 기준 진화율은 20% 수준입니다.
교통이 통제되고, 주민 대피도 이어지고 있다면서요?
[기자]
네, 불길이 쉽게 잡히지 않고 확산하면서 주민들도 대피하고 있습니다.
이곳 노곡동과 무태조야동 주민 8백여 가구, 천200여 명이 인근 초등학교로 대피했습니다.
대구 북구는 또 조금 전인 5시 6분쯤 서변동 주민에게도 대피 명령을 내렸습니다.
서변동 주민은 동변중학교 강당으로 대피하라는 내용입니다.
이곳으로 접근하는 도로도 전면 통제됐습니다.
취재진이 접근하는 것도 쉽지 않았는데요.
이곳 노곡동으로 들어서기 전부터 이곳을 빠져나가려는 차량이 도로를 가득 메우고, 줄을 잇고 서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도로가 통제되면서 시내버스 운행도 중단됐습니다.
또 산불 발생 지역과 가까운 경부고속도로 북대구 나들목은 오후 4시를 기준으로 진·출입이 중단됐습니다.
현장에는 초속 3m 안팎의 바람이 불고 있는데, 순간 풍속은 초속 11m에 이릅니다.
강한 바람에 심한 연기까지 더해지면서 진화 작업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산림청과 대구시는 인력과 장비를 최대한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산불 발생 지역 주변 주민들은 재난 문... (중략)
YTN 이윤재 (lyj1025@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428174912642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대구 북구에서 난 산불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00:03산불 발생 주변 지역 주민 1,200명 정도가 인근 초등학교로 대피했습니다.
00:08현장 연결합니다. 이훈재 기자.
00:13네, 대구 북구 산불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00:15네, 지금 산불이 시작된 지 4시간 정도 지났는데, 지금 상황 어떻습니까?
00:23네, 이곳 대구 북구에 산불이 시작된 건 오후 2시쯤입니다.
00:26말씀하신 것처럼 4시간 정도 지났는데, 지금도 불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00:32제 뒤로 보이는 것처럼 산 위쪽으로 짙은 연기가 자욱한 상황입니다.
00:37이곳에서 조금만 더 산불 현장과 가까운 곳으로 이동하면,
00:40마스크를 쓰지 않고는 숨을 쉬는 것조차 쉽지 않을 정도로 산불이 자욱한 상황입니다.
00:46산불이 확산하면서 산림당국은 오후 3시 10분 산불 1단계를 발령했다가,
00:5230분 만에 산불 2단계로 격상했습니다.
00:54또 소방청은 소방대응 1단계와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습니다.
01:00현재 헬기 29대와 장비 30에 대를 투입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01:05현재까지 확인된 산불 영향구역은 50헥타르, 축구장 70개 정도입니다.
01:11화선, 그러니까 불길의 길이는 4.4km 정도입니다.
01:15오후 5시 기준 진화율은 20% 수준인 거로 확인됐습니다.
01:19산불 현장 근처 교통이 통제되고, 주민 대피도 이어지고 있죠?
01:26그렇습니다. 불길이 계속해서 확산하고 연기도 계속해서 퍼져나가면서 주민들이 대피를 하고 있습니다.
01:36이곳 노곡동과 무태조야동 주민 899가구, 1200여 명이 인근 초등학교로 대피했습니다.
01:43대구 북구는 또 조금 전인 오후 5시 6분쯤 서변동 주민에게도 대피 명령을 내렸습니다.
01:50서변동 주민은 동변중학교 강당으로 대피하라는 내용입니다.
01:54이곳으로 접근하는 도로도 전면 통제됐습니다.
01:57저희 취재진이 접근하는 것도 쉽지 않았는데요.
02:00이곳 노곡동으로 들어서기 전부터 이곳을 빠져나가려는 차량이 도로를 가득 메우고 줄을 잇고 서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02:08도로가 통제되면서 시내버스 운행도 중단됐습니다.
02:13또 산불 발생 지역과 가까운 경부고속도로 북대구 나들목은 오후 4시를 기준으로 진출입이 중단됐습니다.
02:21현장에는 초속 3미터 안팎의 바람이 불고 있는데 순간풍속은 초속 11미터에 이릅니다.
02:28비교적 강한 바람에 심한 연기까지 더해지면서 진화작업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02:33산림당국과 대구시는 인력과 장비를 최대한 동원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02:40산불 발생 지역 주변 주민들은 재난 문자나 방송을 수시로 확인하는 등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02:48지금까지 대구 북구 산불 현장에서 YTN 이윤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