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Q. 박자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어떤 티켓이 내 것이라는 건가요?
결승행 2자리를 두고 벌이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 티켓입니다.
오늘 마지막 토론회가 열렸는데요. 각오도 남달랐습니다.
[김문수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오늘)]
"오늘 토론회 아주 좀 많이 떨리네요. 국민들께서 보시고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안철수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오늘)]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됐음에도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들의 마음을 바꾸고 싶습니다."
Q. 신경전도 치열했죠.
어제 채널A에서 치열하게 토론 벌였던 두 사람, 오늘도 기싸움을 벌였습니다.
[홍준표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가만히 놔둬도 한동훈 후보는 어제 당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한테 또 대들겁니다."
Q. 홍준표 후보와 '깐족 토론' 반응…의견은?
[한동훈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그런 식의 태도가 우리 보수 정당의 토론의 중심이 되는 건 좋아보이진 않아요. 저는 더 노력하겠습니다.
Q. 뭔가 앙금이 남아있는 것 같아요?
홍 후보의 이 발언이 기폭제가 됐습니다.
[홍준표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어제)]
대통령한테 <>대고 조롱한 일 없습니까?
[한동훈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어제)]
<>댄다는 말이 무슨 뜻입니까? 주변인들한테 <>댄다는 말 쓰세요?
[홍준표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어제)]
씁니다.
[한동훈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어제)]
그런 표현 쓰시면 안돼요.
[홍준표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어제)]
오늘 <>대는 것만 보고 다음부터는 안쓸게요.
홍 후보는 한 후보가 깐족댄다면서 "방송을 그만 두고 싶다"는 말도 했는데요.
한 후보 측도 가만있지 않았습니다.
[홍준표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어제)]
"<> 문수형(김문수 후보)이 그것 때문에 당했다고. 주도권 토론인데 지가 물었는데 되치기 당하는 거야. 근데 나는 안 속지."
[조경태 /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캠프 공동선대위원장 (오늘)]
"<>이거든요. 대통령을 뽑는 선거잖아요. 상대방 후보에 대한 존중하는 마음, 최소한 예의 갖추는 마음을..."
Q. 김문수 후보 측은 한동훈, 홍준표 후보 둘 다 저격했다면서요?
한덕수 대행과 단일화 가능성 놓고 두 후보가 비판할 땐 언제고 말을 바꿨다며 쓴소리 했습니다.
[박수영 /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 캠프 정책총괄본부장 (오늘)]
"H 후보는/ 저한테 쓰잘데기 없는 짓을 하고 있다는 사투리까지 써가면서 이야기하셨던 분이고.../ 한 후보는/ OX 퀴즈 있었는데 / 판넬을 절반으로 들었습니다."
Q. [두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무슨 마케팅 싸움이에요?
최근 방영된 드라마를 활용한 마케팅 전쟁입니다.
대선 주자들, 너도 나도 이 작품 들고 나왔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지난 18일, 대구)]
"그때 제가 잠깐 대표를 그만두고 / 폭삭 빠져가지고 그걸 봤는데 눈물이 너무 많이 나가지고 아내한테 들키면 안 되잖아요."
[김문수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지난 22일)]
"자아 인생네카트 한번 해봅시다 //나는 폭싹 속았수다-!//자 나왔수다~ 폭삭 나왔수다~ (사진찍은거 들어보이면서 웃는 문수)
[홍준표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어제, 채널A '나는 후보다')]
"양관식이라는 사람이 나오는데 박보검 씨가 한 역할인데/ 우리 집 사람도 보면서 당신은 저런 사람 좀 닮았다…"
Q. 왜 갑자기 이 드라마를 언급하는 거에요?
요즘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다 보니까, "나도 이 작품 봤다"는 걸 강조하면서 친근한 이미지 부각하려는 거 같은데요.
특히 2030 세대들이 관심을 갖는 익숙한 소재인 만큼 젊은 층에 어필하기 위한 노력으로도 읽힙니다.
Q. 후보들 뿐만이 아니죠?
네, 국민의힘 정강정책 연설에도 이 드라마가 언급됐습니다.
[윤희숙 /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 (어제)]
"'폭싹 속았수다'에 폭싹 빠졌었습니다. 금명이를 키워내는 애순이의 모습이 꼭 우리 어머니 같았기 때문입니다."
드라마 속 자녀를 위해 희생한 어머니처럼 부모의 헌신이 있었기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을 수 있었단 걸 강조한 겁니다.
하지만 정치권의 감성 마케팅. 단순히 표를 위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국민을 위한 진심이 함께 담겨있길 바랍니다. (진심경쟁)
박자은 기자 jadooly@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박자은 기자와 여랑여랑 시작하겠습니다.
00:02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00:05어떤 티켓이 내 것이라는 건가요?
00:08네, 바로 결승행 두 자리를 놓고 버리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 티켓입니다.
00:13오늘 마지막 토론회가 조금 전 열렸잖아요.
00:16각오도 아주 남달랐습니다.
00:23오늘 토론회 아주 좀 많이 끌리네요.
00:27이 믿음을 그리는 토론회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00:34대통령께서 파면되셨지 않습니까?
00:37거기에 대해서 아직 받아들이지 못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00:42저는 그분들 마음을 좀 변화시켜드리고 싶습니다.
00:48보니까 이 후보들 간 신경전도 굉장히 치열했던데요.
00:52어제 채널A 토론회에서 치열하게 토론 벌였던 두 사람이 있죠.
00:56오늘도 기싸움을 벌였습니다.
01:05가만히 놔둬도 한동훈 후보는 어제 당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01:09저한테 또 대들 겁니다.
01:12이런 식의 태도가 우리 보수 정당의 토론회 중심이 되는 건
01:17좋아보이진 않아요.
01:18저는 더 노력하겠습니다.
01:19두 후보가 뭔가 이 앙금이 남아있는 것 같은데요.
01:25그렇습니다.
01:26홍준표 후보의 이 발언이 기폭제가 됐습니다.
01:37대통령한테 깐족대고 조롱한 일 없습니까?
01:40깐족대는 말이 무슨 뜻입니까?
01:42주변에 있는 분들한테 깐족대는 말 쓰세요?
01:44씁니다.
01:44그런 표현 쓰시면 안 돼요.
01:46오늘 깐족대는 것만 보고 다음부터는 안 쓸게요.
01:54홍준표 후보는 한동훈 후보가 깐족댄다면서 방송을 그만두고 싶다는 말까지 했는데요.
01:59한 후보 측도 오늘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02:01김문수 후보 측은 한동훈, 홍준표 후보 둘 다 저격했다면서요.
02:30그렇습니다. 한덕수 권한대행과 단일화 가능성 놓고
02:34두 후보가 비판할 땐 언제고 왜 말을 바꿨냐냐며 쓴소리했습니다.
02:42H 후보는 저한테 씨잘데기 없는 짓을 하고 있다.
02:44이런 사투리까지 써가면서 얘기하셨던 분들이고
02:48한 후보는 OX 퀴즈가 있었는데 판넬을 절반으로 이렇게 들었었습니다.
02:55두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02:58무슨 마케팅 싸움인가요?
02:59최근 방영된 드라마를 활용한 마케팅 전쟁인데요.
03:04대선 주자들 너도나도 이 작품 들고 나왔습니다.
03:13그때 제가 잠깐 대표로 그만두고 폭삭 빠져서 봤는데
03:17눈물이 너무 많이 나와서 아내한테 들키면 안 되잖아요.
03:20폭삭 빠져서 봤는데
03:22폭삭 빠져서 봤는데
03:23폭삭 빠져서 봤는데
03:23폭삭 빠져서 봤는데
03:25남관식이라는 사람이 나오는데
03:28박보검 씨가 하는 게 없다던데
03:30우리 집사람도 보여서
03:32당신은 저런 사람 좀 닮았다.
03:34한 번씩 사는 게 없다던데
03:35저희 집사람도 보여주신
03:37폭삭 빠져서 봤는데
03:39아니 왜 갑자기 이 드라마를 언급하는 거예요?
03:53요즘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다 보니까 나도 이 작품 봤다 이런 걸 강조하면서 친근한 이미지 공감하는 이미지 부각하려는 것 같은데요.
04:02특히 2030 세대들이 관심을 갖는 익숙한 소재인 만큼 젊은 층에 어필하기 위한 노력으로도 읽힙니다.
04:09아 후보들 뿐만이 아니라면서요.
04:11네 국민의힘 정강정책 연설에서도 이 드라마가 언급됐습니다.
04:17폭삭 소가수다에 폭삭 빠졌습니다.
04:21금명이를 키워내는 애순이의 모습이 꼭 우리 어머니 같았기 때문입니다.
04:28드라마 속 자녀를 위해 희생한 어머니처럼 부모의 헌신이 있었기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을 수 있었다는 걸 강조한 거죠.
04:36하지만 정치권의 감성 마케팅 단순히 표를 위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국민을 위한 진심이 함께 담겨있길 바랍니다.
04:45네 잘 들었습니다.
04:45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
04:47감사합니다.
04:49한글자막 by 한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