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앵커]
외국인과 결혼을 하는 국제 결혼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외모도 조건도 좋은 배우자를 소개하겠다면서 프로필을 올리고 국제결혼을 알선하는 업체들이 많은데, 가짜인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사건현장 360, 백승우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SNS 상에서, '국제결혼'이란 키워드를 넣으면 '미녀를 만날 수 있다'는 관련 영상이 뜨는데요.

국제결혼 중개업체들이 만든 거라는데 과연 믿어도 되는 건지 그 실체를 추적해봤습니다.

서울의 한 국제결혼 업체.

상담을 의뢰하자, 모델 같은 프로필 사진부터 보여줍니다.

[○○ 국제결혼 중개업체 대표]
"사진 포즈를 잘 잡아요. 우리하고 문화가 달라."

상대 여성 국적과 직업에 따라 결혼까지 최소 6천만 원에서 많게는 2억 원 가까이 드는데 결혼 비자도 필요 없다고 말합니다.

[○○ 국제결혼 중개업체 대표]
"고위 관료의 딸이라든지, 스튜어디스, 그 나라 전문 교수,의사 여성. 그냥 일주일 안에 여기 올 수 있어."

[현장음]
"(라오스) 몽족 여자들의 작은 키에도 불구하고 체형은 한국 여성 못지않게…"

결혼 이주 여성에 대한 성 상품화는 SNS 영상에 더 노골적으로 이뤄집니다.

국제결혼을 미화한 위장 콘텐츠부터 얼굴, 키, 몸무게 등 신상정보를 매일 공개하는 영상까지 모두 인권 침해적 광고로 불법입니다.

심지어 국제결혼에 생각 없는 일반 여성이 연기하는 일도 다반삽니다.

[□□ 국제결혼 내부 고발자]
"현지 미모의 여성들을 섭외해 가지고 하는 경우가 더러 있을 거예요. 그 여성들이 다 아버지 같은 사람하고 결혼하겠어요?"

[우즈베키스탄 출신 이주 여성]
"(한국사람) 안 만나고 사진만 찍혀주고 동영상만 찍혀주고. (이용되는 걸 알고 있는 거네요?) 네, 들었어요."

이런 업체 속임수에 넘어가 중개비와 지참금 수천만 원을 지불하고 남는 건, 후회뿐입니다.

[A 씨 / 국제결혼 피해자]
"너무 다른 거예요. 한국에서 사진과 싱크로율이 거의 10%, 20% 정도. 미끼 업체죠. 제가 첫 단추를 잘못 낀 거예요."

[B 씨 / 국제결혼 피해자]
"결혼식 진행할 때 계약서는 없고 구두로 모두 다 진행을 했었거든요. 그거는 사기라고밖에 말할 수 없을 거 같아요."

결혼중개업법 위반으로 경찰에 검거된 건수는 지난해 62건.

3년 전보다 2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이영진 / 국제결혼피해신고센터장]
"유튜브를 보고 꿈에 부푸는 거죠. 신랑들을 유혹해서 현지에 도착했을 때 폭리를 취하는 그런 일이 좀 더 교묘해지고 또 대담해지기 시작한 거죠."

문제 업체들은 적발돼도 제재는 솜방망이에 그치고, 일부는 아예 해외서 낚시성 영상을 제작하며 영업해 적발 자체도 어려운 상황.

이를 관리 감독할 대응책이 시급합니다.

백승우입니다.

PD : 엄태원 안현민


백승우 기자 strip@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외국인과 결혼을 하는 국제 결혼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00:05외모도 조건도 좋은 배우자를 소개하겠다면서 프로필을 올리고 국제 결혼을 알선하는 업체들이 많은데
00:13가짜인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00:16사건 현장 360, 백승우 기자입니다.
00:30최근 SNS상에 국제 결혼을 검색하게 되면 미녀를 소개해주겠다는 관련 영상들이 뜨는데요.
00:38주로 국제 결혼 중개 업체에서 만든 건데 믿어도 되는 건지 그 실체를 추적해봤습니다.
00:46서울의 한 국제 결혼 업체. 상담을 의뢰하자 모델 같은 프로필 사진부터 보여줍니다.
00:53상대 여성 국적과 직업에 따라 결혼까지 최소 6천만 원에서 많게는 2억 원 가까이 드는데
01:04결혼 비자도 필요 없다고 말합니다.
01:07결혼 2주 여성에 대한 성 상품화는 SNS 영상에 더 노골적으로 이뤄집니다.
01:29국제 결혼을 미화한 위장 콘텐츠부터
01:31얼굴, 키, 몸무게 등 신상 정보를 매일 공개하는 영상까지
01:36모두 인권 침해적 광고로 불법입니다.
01:41심지어 국제 결혼에 생각이 없는 일반인 여성이 연기하는 일도 다반사입니다.
01:45이런 업체의 속임수에 넘어가 중개비와 지참금 수천만 원을 지불하고 남는 것
02:12후회뿐입니다.
02:14너무 다른 거예요.
02:16한국에서 사진과 싱크로율이 거의 한 10% 20% 정도?
02:23미끼업체죠.
02:24저희가 첫 반출을 잘못 낀 거예요.
02:28결혼식 진행할 때
02:29재학선을 넣고
02:32후드로 모두 다 진행을 했었거든요.
02:36그거는
02:36뭐라고 사지라고밖에 말할 게 없을 것 같고
02:41결혼중개협법 위반으로 경찰에 검거된 건수는 지난해 62건
02:463년 전보다 2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02:50유튜브를 보고 꿈에 부푸는 거죠.
02:52신랑들을 유혹해서 현재 도착했을 때 결혼시키면서
02:56풍리를 취하는 그런 일이 좀 더 규모해지고
02:59또 대담해지기 시작한 거죠.
03:02문제의 업체들은 적발돼도 제재는 솜방망이에 그치고
03:06이분은 아예 해외에서 낙지성 영상을 제작하며 영업해
03:10적발 자체도 어려운 상황.
03:13이를 관리감독할 대응책이 시급합니다.
03:17사건 현장 360 백수호입니다.
03:19기상캐스터 배혜지
03:24apparently mereka 이러는 SUBSCRIBE
03:29셀ieren
03:32돌�ю
03:34關係
03:363000
03:3720
03:3834
03:39đ
03:4020
03:4130
03:4230
03:4230
03:4330
03:4330
03:4330
03:4530
03:4540
03:4940
03:5140
03:5140
03:5240
03:5231
03:5340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