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6일 전


한국 백악관 "중국에 최대 관세 245%"…中 "웃기는 일" 비판
한경 백악관 "대중 관세 245%" 中 "국제적 농담" 일축
다음 주 韓-美 통상현안 회의 예정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재미있는데 탕 대통령 백악관이요. 중국의 일부 품목에 대해서 245% 관세를 부과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00:11그런데 사실은 중국도 125%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서 관세를 매기겠다라고 나섰고요.
00:19제가 좀 이 관세 문제와 관련해서 통상 분야 전문가들을 취재를 했는데
00:24245%다 아니면 125%다 관세가 전혀 의미가 없는 게
00:31한국과 다른 상대국이 무역 통상 전쟁을 벌일 때
00:36관세율이 50% 이상 정도 넘어가게 되면 50%든 5만%든 의미가 없다는 겁니다.
00:4350% 정도 기준을 넘어가게 되면 더 이상 상대국이 그 물품을 구매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00:50245%다, 125%다, 설사 1만%를 매긴다 하더라도 그건 의미가 없다는 거죠.
00:56그렇다면 중국과 미국이 양국 간에 서로 자존심 싸움을 벌이고 있다.
01:02협상, 본격 협상을 앞두고 삿바를 쥐기 위한 삿바 싸움, 자존심 싸움을 벌이고 있다라고 보는 게
01:07더욱더 합리적이다라는 겁니다.
01:09어쨌든 245까지 올라가고 있어요. 함께 보시죠.
01:14백악관 홈페이지에 중국의 보복 행동의 결과는 245 먹어라라는 겁니다.
01:19그러자 중국 웃기는 일, 말장난일 뿐 숫자 노릇 무시할 것이다 라고 하지만
01:24자기들도 125% 관세를 올렸습니다.
01:27자존심 싸움입니다.
01:34이것보다 더 유효한 건 아마 지금 미국이 펼치고 있는 중국의 고립 작전일 겁니다.
01:40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중국의 고립 작전을 미국이 시작했다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01:45미 상호 관세 협상 과정에서 관세율을 낮추는 대가로 중국과의 주요 거래를 끊도록
01:52압박한 전략을 펴고 있다라는 보도가 나왔고요.
01:55우리나라는 다음 주에 협상이 예정돼 있습니다.
01:57중국과 관련된 압박 가능성도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02:02전주혁님, 사실은 미국과 중국의 거대한 무역 전쟁이 주된 축인 것 같고요.
02:15나머지 국가들과는 차례차례 협상이 진행될 것 같고 우리나라는 다음 주입니다.
02:19다행히 앞서 저희가 보도로 전해드리지는 못했지만 한 보도에 의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한대행과 대화를 원한다.
02:28더 나아가 한대행과 만나고 싶다라는 의사를 전달했다라는 것은 한대행이 통상 전문가이기 때문에
02:36미국에게 있어서도 사실은 우방국이 굉장히 절실히 필요하다.
02:41중국과 무역 전쟁이 시작해서 중국산 물품 다 수입하지 못하면 당장 미국도 한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라는 얘기도 나오고요.
02:49어쨌든 이 국면은 우리가 지혜롭게 잘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생겼다.
02:53룸이 생겼다.
02:55한 외교가에서는 이런 얘기도 하고 있거든요.
02:57어떻게 보십니까?
02:58우리나라도 미국과 다시 관세 협상을 하려고 하고 있죠.
03:03그런데 지금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 인상으로 인해서
03:12지금 사실 세계 경제도 얼어붙고 있고
03:15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 중국에 대해서는 유예를 하지 않았습니다만
03:21지금 다른 나라들에 대해서는 또 금방 실행할 듯 하다가 갑자기 또 유예를 했잖아요.
03:28멈췄죠.
03:29그러면서 이제 협상을 다시 하자.
03:31굉장히 사실 세계 경제를 혼란스럽게 지금 만들고 있는 그런 상황이라
03:37그런 데서 지금 또 서로의 명분 싸움보다는 저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중국을 압박함으로써 얻으려는 다른 것이란 있다고 생각합니다.
03:50예를 들어서 그러니까 경제대국의 그런 위상을 다시 더욱더 공고하게 하는 그런 것 뒤에는 안보전이랄지
04:02아니면 또 중국에 히토르가 굉장히 많이 있는데 그런 자원 문제랄지
04:09뭔가 이렇게 중국을 압박하는 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생각하지 못한 그런 저면 저 이면에는 아마 여러 가지의 그런 아마 전략이 있을 거라고 좀 생각을 합니다.
04:22그런데 이제 대한민국이 또 거기에 중간에 이제 좀 끼어있는 그런 상황이다 보니까
04:29그래서 왜냐하면 또 대한민국으로서는 중국이 또 수출을 많이 하는 중국이 수출을 많이 하고 있잖아요.
04:39그래서 이제 그런 면에서 중국과의 관계도 또 유지를 해야 되고
04:44미국과의 관계도 유지를 해야 되는 그런 굉장히 줄타기를 잘해야 되는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04:51그런 면에서 또 대한민국 정부로서도 또 한독서 권한대행이 저는 현재까지는 잘하고 계시다고 보고 있는데
04:59중국, 미국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조선이랄지 아니면 또 이런 관심이 있는 철강이랄지
05:08이런 분야에 대해서 또 알래스카, LNG 지금 사업도 지금 얘기를 꺼내고 있는데
05:14그러한 면에서 좀 잘 중간에서 정말 대한민국의 국익에 이익이 되는 좀
05:23그러한 협상을 잘해야 될 그런 협상의 묘를 살려야 될 그런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05:28네, 캐롤라인 래빗 백악관 대변인 얘기 준비되어 있는데 한번 들어보시죠.
05:32홍 대표님.
06:01네, 지금 생각보다 트럼프가 전쟁은 벌였는데 상황이 여의치가 않아요.
06:06그렇군요.
06:07제일 중요한 건 시간인데요.
06:09빨리 할수록 불리합니다.
06:10우리가 보기에는 통산 협상을 일본이나 영국, 호주 등이 하는 걸 잘 지켜보면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06:16네, 한국의 전략적인 어떤 지혜와 대응 잘하리라 온 국민의 기대와 염원도 좀 모아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06:24저희들은 60초 광고 보고 돌아오겠습니다.
06:26잠시 후에 뵙겠습니다.
06:27감사합니다.
06:28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