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일단 중국만 빼고 트럼프의 관세 폭격은 일단 멈추기는 했어요. 그런데 이 수치가 워낙 혼란스럽게 나오다 보니까 백악관에서 정리를 했네요. 145%. 결국에 이번 관세 정책의 최종 목표는 중국이었다, 이렇게 볼 수 있는 건가요,
◇ 주원]
원래 중국에 대한 관세, 상호관세를 미국이 먼저 매기고 중국도 반격을 하고 이래서 우리들이 계산한 최종은 125% 정도 되는데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서 정리를 했습니다.그러니까 125에다가 10+10이죠. 트럼프 취임하면서 펜타닐과 관련한 총 20%를 더해서 145로 백악관에서 공식적으로 밝혔기 때문에 관세율이 가장 높죠, 미국과 거래하는 국가 중에. 미국의 입장에서는 미국 무역수지 적자가 작년 연간 1조 2000억 달러 정도 되는데 그중 25%가 중국에서 온 겁니다. 그러니까 중국과의 무역적자를 줄이는 게 상당히 중요하죠, 중요하긴 한데 최종 목표가 중국일지는 좀 봐야 될 것 같아요. 그러니까 계속 백악관에서 이런 식으로 얘기를 하고 중국에 대해서 강도를 높이는 건 어찌 보면 다른 나라들은 그 나라의 정부의 정상이나 아니면 밑에 실무진들이 계속 미국과 협의를 하거나 트럼프와 통화를 하거나 했지만 중국은 전혀 그런 게 없습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한두 달 내로 아마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자기한테 전화할 거라고 했는데 전화가 안 간 것 같아요. 그래서 어떻게 보면 협상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한 그런 전략이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 앵커
이렇게 미국과 중국이 강대강 조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트럼프가 중국에 대해서 대화하고 싶다, 이런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히기도 했거든요. 진심일까요? 어떤 의도가 있다고 보세요?
◇ 주원
그 하루 전에 트럼프가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중국에 왜 이렇게 높은 관세를 매겼는지 자기가 얘기를 했거든요. 뭐라고 그랬냐면 글로벌 시장에 대한 존경심이 중국한테는 없다, 이것을 초월번역이라고 하죠. 상당히 의역을 하면 자기한테에 대한 존경심이 없다는 거죠. 전화 한 통화 안 갔으니까요. 그리고 그다음 날에는 중국과 대화할 여지가 있다. 아까 말씀드...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11094704010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일단 중국만 빼고 트럼프의 관세 폭격은 일단 멈추기는 했어요. 그런데 이 수치가 워낙 혼란스럽게 나오다 보니까 백악관에서 정리를 했네요. 145%. 결국에 이번 관세 정책의 최종 목표는 중국이었다, 이렇게 볼 수 있는 건가요,
◇ 주원]
원래 중국에 대한 관세, 상호관세를 미국이 먼저 매기고 중국도 반격을 하고 이래서 우리들이 계산한 최종은 125% 정도 되는데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서 정리를 했습니다.그러니까 125에다가 10+10이죠. 트럼프 취임하면서 펜타닐과 관련한 총 20%를 더해서 145로 백악관에서 공식적으로 밝혔기 때문에 관세율이 가장 높죠, 미국과 거래하는 국가 중에. 미국의 입장에서는 미국 무역수지 적자가 작년 연간 1조 2000억 달러 정도 되는데 그중 25%가 중국에서 온 겁니다. 그러니까 중국과의 무역적자를 줄이는 게 상당히 중요하죠, 중요하긴 한데 최종 목표가 중국일지는 좀 봐야 될 것 같아요. 그러니까 계속 백악관에서 이런 식으로 얘기를 하고 중국에 대해서 강도를 높이는 건 어찌 보면 다른 나라들은 그 나라의 정부의 정상이나 아니면 밑에 실무진들이 계속 미국과 협의를 하거나 트럼프와 통화를 하거나 했지만 중국은 전혀 그런 게 없습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한두 달 내로 아마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자기한테 전화할 거라고 했는데 전화가 안 간 것 같아요. 그래서 어떻게 보면 협상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한 그런 전략이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 앵커
이렇게 미국과 중국이 강대강 조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트럼프가 중국에 대해서 대화하고 싶다, 이런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히기도 했거든요. 진심일까요? 어떤 의도가 있다고 보세요?
◇ 주원
그 하루 전에 트럼프가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중국에 왜 이렇게 높은 관세를 매겼는지 자기가 얘기를 했거든요. 뭐라고 그랬냐면 글로벌 시장에 대한 존경심이 중국한테는 없다, 이것을 초월번역이라고 하죠. 상당히 의역을 하면 자기한테에 대한 존경심이 없다는 거죠. 전화 한 통화 안 갔으니까요. 그리고 그다음 날에는 중국과 대화할 여지가 있다. 아까 말씀드...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11094704010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