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전 세계에 혼란을 불러온 가운데 미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벌써 조금씩 물가상승 조짐이 보이면서 시민들의 소비심리도 가라앉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를 위축시키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안미향 리포터의 보도입니다.
[기자]
텍사스 휴스턴에서 27년째 거주 중인 앨리스 강 씨.
요즘 들어 채소와 고기 등 식료품 물가가 부쩍 오른 걸 체감하고 있습니다.
[앨리스 강 / 미국 텍사스 동포 : (얼마나 올랐어요?) 제 생각에는 20% 정도 오르지 않았나 싶어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후 미국 내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안감 커지고 있습니다.
[닉 커럴 / 미국 텍사스 : 확실히 가격이 더 올랐습니다. 특히 정육 부문에서 가격이 훨씬 많이 오른 걸 느꼈습니다. 물론 이게 현실이지요. 창고형 대형업체도 그렇고, 어디든 다 오른 것 같습니다.]
특히 수입품목을 주로 취급하는 도매업체의 경우 타격이 더 큽니다.
요식업 종사자가 많이 방문하는 한 도매 마트도 최근 3년 새 30%~40% 정도 판매가가 오르는 추세입니다.
[조 제 수 / 도매 마트 매니저 : 아보카도가 예를 들어서 저희가 평균 가격이 한 지금 한 8달러 정도 하고 있거든요. 그게 한 5개 정도 들어가 있는데 저희 생각에는 지금 한 5월에서 한 6월 정도 되면 그게 한 10달러에서 한 12달러 정도까지 올라가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산업을 보호하는 것보다 오히려 수요를 위축시키는 역효과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존 타이스 / 론스타대 정치학과 교수 : 단기적으로는 이런 조치가 미국 소비자들에게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곧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경기 침체나 실업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미 전역으로 확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경제 혁명'이고 승리할 것이라며 강행 의지를 거듭 밝히면서 한동안 논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
미국 텍사스에서 YTN 월드 안미향입니다.
YTN 안미향 (khj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2020323813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벌써 조금씩 물가상승 조짐이 보이면서 시민들의 소비심리도 가라앉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를 위축시키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안미향 리포터의 보도입니다.
[기자]
텍사스 휴스턴에서 27년째 거주 중인 앨리스 강 씨.
요즘 들어 채소와 고기 등 식료품 물가가 부쩍 오른 걸 체감하고 있습니다.
[앨리스 강 / 미국 텍사스 동포 : (얼마나 올랐어요?) 제 생각에는 20% 정도 오르지 않았나 싶어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후 미국 내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안감 커지고 있습니다.
[닉 커럴 / 미국 텍사스 : 확실히 가격이 더 올랐습니다. 특히 정육 부문에서 가격이 훨씬 많이 오른 걸 느꼈습니다. 물론 이게 현실이지요. 창고형 대형업체도 그렇고, 어디든 다 오른 것 같습니다.]
특히 수입품목을 주로 취급하는 도매업체의 경우 타격이 더 큽니다.
요식업 종사자가 많이 방문하는 한 도매 마트도 최근 3년 새 30%~40% 정도 판매가가 오르는 추세입니다.
[조 제 수 / 도매 마트 매니저 : 아보카도가 예를 들어서 저희가 평균 가격이 한 지금 한 8달러 정도 하고 있거든요. 그게 한 5개 정도 들어가 있는데 저희 생각에는 지금 한 5월에서 한 6월 정도 되면 그게 한 10달러에서 한 12달러 정도까지 올라가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산업을 보호하는 것보다 오히려 수요를 위축시키는 역효과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존 타이스 / 론스타대 정치학과 교수 : 단기적으로는 이런 조치가 미국 소비자들에게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곧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경기 침체나 실업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미 전역으로 확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경제 혁명'이고 승리할 것이라며 강행 의지를 거듭 밝히면서 한동안 논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
미국 텍사스에서 YTN 월드 안미향입니다.
YTN 안미향 (khj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2020323813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전세계 혼란을 불러온 가운데 미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00:05벌써 조금씩 물가 상승 조짐이 보이면서 시민들의 소비 심리도 가라앉고 있는데요.
00:11전문가들은 미국 경제를 위축시키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00:15안미향 리포터의 보도입니다.
00:20텍사스 휴스턴에서 27년째 거주 중인 앨리스 강 씨.
00:24요즘 들어 채소와 고기 등 식료품 물가가 부쩍 오른 걸 체감하고 있습니다.
00:30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후 미국 내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00:44특히 수입 품목을 주로 취급하는 도매업체의 경우 타격이 더 큽니다.
01:02유식업 종사자가 많이 방문하는 한 도매마트도 최근 3년 새 30-40% 정도 판매가가 오르는 추세입니다.
01:10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산업을 보호하는 것보다
01:32오히려 수요를 위축시키는 역효과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01:37최근에는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미 전역으로 확산되기도 했습니다.
01:58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경제 혁명이고 승리할 것이라며 강행 의지를 거듭 밝히면서 한동안 논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
02:09미국 텍사스에서 Y10월드 안미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