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국내 연구진이 기상 정보와 지질 데이터를 조합해, 산사태 발생 위험을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초대형 산불로 산림이 크게 훼손된 영남 지역부터 적용해, 2차 재난을 막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한석 기자입니다.

[기자]
2023년 7월, 경북 예천에서 발생한 최악의 산사태.

20여 명이 목숨을 잃고, 3천억 원에 이르는 재산피해를 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산사태 예측 시스템입니다.

당시 예천 지역 강우량과 함께, 토양의 깊이 등 예천 지역 지질 특성을 입력합니다.

[이승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사태연구센터 연구원 : 크게 입력 자료는 지형 자료, 토석류의 물리적 특징을 나타내는 매개변수, 마지막으로 토양의 심도를 제공해 줌으로써, 토석류가 최대 침식을 얼마나 일으킬 수 있는지 (예측합니다.)]

그러자, 위성 지도에서 산사태가 재현됩니다.

쏟아지는 토사의 높이는 색으로 구분합니다.

하루에 네 번 나오는 기상청 강우량 예보를 입력하면, 산사태를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됩니다.

초대형 산불로 산림이 크게 훼손돼 여름철 집중 호우로 산사태 우려가 큰 영남 지역에 적용하면 2차 재난을 막을 수도 있습니다.

[김민석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사태연구센터 센터장 : 저희가 개발한 모형에 입력될 수 있는 자료를 충분히 조사를 통해 확보하고, 기상청 데이터를 이용해서 사전에 국민이 대피할 수 있는 그런 기술이 될 수 있도록….]

하지만 기후변화로, 극한 기상 현상이 잦아지면서 시간당 100mm 넘게 쏟아지는 폭우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전국적인 지질 자료를 확보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입니다.

YTN 고한석입니다.




YTN 고한석 (hsg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50413151209342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국내 연구진이 기상정보와 지질 데이터를 조합해 산사태 발생 위험을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00:07초대형 산불로 산림이 크게 훼손된 영남지역부터 적용해 2차 재난을 막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00:13보도에 고한석 기자입니다.
00:182023년 7월, 경북 예천에서 발생한 최악의 산사태.
00:2320여 명이 목숨을 잃고 3천억 원에 이르는 재산 피해를 냈습니다.
00:27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산사태 예측 시스템입니다.
00:32당시 예천지역 강우량과 함께 토양의 깊이 등 예천지역 지질 특성을 입력합니다.
00:37크게 입력자료는 지형자료, 토성류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매기반소.
00:45마지막으로 토양의 심도를 제공해 줌으로써 토성류가 최대 침식을 얼마만큼 일으킬 수 있는지.
00:53그러자 위성 지도에서 산사태가 재현됩니다.
00:57쏟아지는 토사의 높이는 색으로 구분합니다.
01:01하루에 4번 나오는 기상청 강우량 예보를 입력하면 산사태를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됩니다.
01:08초대형 산불로 산림이 크게 회손돼 여름철 집중호우로 산사태 우려가 큰 영남 지역에 적용하면 2차 재난을 막을 수도 있습니다.
01:17저희가 개발한 이런 모형들에 입력될 수 있는 자료를 충분히 조사를 통해서 확보를 하고 기상 차원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사전에 국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그런 기술이 될 수 있도록.
01:32하지만 기후변화로 극한 기상현상이 잦아지면서 시간당 100mm 넘게 쏟아지는 폭우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01:40전국적인 지질 자료를 확보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입니다.
01:46YTN 관석입니다.
01:47攝n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