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한복과 김치 등 우리 전통문화를 자신의 전통이라고 우기는 중국의 문화공정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복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가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청나라 황실을 배경으로 등장인물의 옷을 갈아입히는 중국 업체의 게임입니다.

중국 전통 의상에 버젓이 한복이 들어 있습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도 한복을 입은 여성이 등장해 논란이 됐습니다.

중국 기업 샤오미는 스마트폰 배경에 한복을 중국 문화로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계속되는 중국의 한복 문화공정에 맞서 한복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가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지난해 9월 전통 문화산업 진흥법 시행으로 정부 기본계획이 확정되면서 탄력이 붙었습니다.

무엇보다 한류의 힘이 가장 큰 원동력입니다.

[용호성 /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 : 경복궁이라든가 서울 시내에 있는 고궁에 가시면 많이 보시는 게 외국인들이 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는 것을 많이 보시게 되는데 이제는 한복을 입는 것이 전통을 넘어서서 가장 힙하고 가장 트렌디한 것으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거든요.]

2030년 유네스코 등재를 목표로 민간 차원의 한복세계화재단도 출범했습니다.

구혜자 국가 무형유산 침선장, 소리꾼 장사익 비롯해 문화예술계와 학계, 업계 등에서 18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신상진 / 한복세계화재단 참여 기업인 : 한복이라는 옷 자체가 우리 한국의 의상이잖아요, 우리 문화잖아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진작에 됐어야 된다. 하물며 중국에서 또 한복이 자기네 것이라고, 우리거라고 우기고 있는데 위기를 느낄 수 밖에 없지 않겠습니까?]

정부는 앞서 지난 2022년 한복 생활을 국가 무형유산으로 지정했습니다.

파리올림픽에서는 한복 패션쇼를 열었고 올해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도 각국 정상을 위한 한복을 특별 제작합니다.

정부와 민간의 이런 노력에 앞서 평소에 한복을 자주 입으려는 노력과 이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함께 나옵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촬영기자 : 곽영주





YTN 박순표 (s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50412011942108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복과 김치 등 우리 전통문화를 자신의 전통이라고 우기는 중국의 문화공정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00:07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복의 유네스코 인류무용문화유산 등재가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00:13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00:17청나라 황시를 배경으로 등장인물의 옷을 갈아입히는 중국 업체의 게임입니다.
00:23중국 전통의상에 버젓이 한복이 들어 있습니다.
00:26베이징 동계올림픽 해외식에도 한복을 입은 여성이 등장해 논란이 됐습니다.
00:33중국 기업 샤오미는 스마트폰 배경에 한복을 중국 문화로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00:40계속되는 중국의 한복 문화 공정에 맞서 한복의 유네스코 인류무용문화유산 등재가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00:48지난해 9월 전통문화산업진흥법 시행으로 정부 기본계획이 확정되면서 탄력이 붙었습니다.
00:55무엇보다 한류의 힘이 가장 큰 원동력입니다.
00:59경복궁이라든가 서울시내에 있는 고궁에 가시면 요즘에 많이 보시는 게 외국인들이 우리 한복 빌려입고서 사진을 갖다가 찍는 것들을 많이 보시게 되는데
01:08이제는 한복을 입는 것이 어떤 전통을 넘어서서 가장 힙하고 가장 트렌디한 것으로 자리잡아가고 있거든요.
01:162030년 유네스코 등재를 목표로 민간 차원의 한복세계화재단도 출범했습니다.
01:24구해자 국가무용유산 침선장, 소립군 장사익을 비롯해 문화예술계와 학계, 업계 등에서 18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01:33한복이란 옷 자체가 우리 한국의 의상이잖아요. 우리 문화잖아요.
01:39그런 면에서 본다면 진지하게 됐어야 된다.
01:43또 하물며 중국에서 한복이 자기네 거다, 우리 거다라고 우기고 있는데 위기를 느낄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01:52정부는 앞서 지난 2022년 한복 생활을 국가무용유산으로 지정했습니다.
01:57파리올림픽에서는 한복 패션쇼를 열었고 올해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도 각국 정상을 위한 한복을 특별 제작합니다.
02:08정부와 민간의 이런 노력에 앞서 평소에 한복을 자주 입으려는 노력과 이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함께 나옵니다.
02:19YTN 박순표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