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등 현 정부 의료정책에 반발해온 대한의사협회가 처음으로 정부·국회를 향해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달라"면서 대화를 공식 요청했다. 내년도 의대 정원도 '3058명 동결'이란 정부안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다. 의협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계기로 기존 입장을 크게 바꾸면서 1년 2개월간 이어지는 의정갈등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된다.
의협은 8일 오후 서울 의협회관에서 발표한 입장문에서 "의료 정상화는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며 "이제는 정부와 국회가 제대로 결정권을 갖고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와 국회엔 "의료 정상화를 위한 의료계의 제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의협이 이러한 대화 의사를 밝힌 건 의정갈등 국면에서 사실상 처음이다. 지난해 하반기 국회에서 주도한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를 걷어차는 등 대화를 거부하는 양상이 이어져 왔다. 지난 3일 브리핑에서도 "정부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만 했다.
하지만 4일 의정갈등의 대척점에 서 있던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계기로 의료계에선 "이제는 대화할 때"라는 목소리가 커졌다. 김성근 대변인은 "무리한 정책을 추진했던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면서 전공의·의대생이 그간 입었던 상처도 많이 위로받았다고 평가한다"며 "논의 테이블이 만들어지면 전공의·의대생들이 대화에 참여하는 게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 관계자는 "대통령 탄핵으로 분위기가 크게 바뀌었다. 더는 정원을 줄이자고 요구하는 건 무리라는 내부 판단이 있었다"면서 "(의협 내 강경파인) 박단 부회장의 발언권도 많이 약해졌다...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42?cloc=dailymotion
의협은 8일 오후 서울 의협회관에서 발표한 입장문에서 "의료 정상화는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며 "이제는 정부와 국회가 제대로 결정권을 갖고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와 국회엔 "의료 정상화를 위한 의료계의 제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의협이 이러한 대화 의사를 밝힌 건 의정갈등 국면에서 사실상 처음이다. 지난해 하반기 국회에서 주도한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를 걷어차는 등 대화를 거부하는 양상이 이어져 왔다. 지난 3일 브리핑에서도 "정부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만 했다.
하지만 4일 의정갈등의 대척점에 서 있던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계기로 의료계에선 "이제는 대화할 때"라는 목소리가 커졌다. 김성근 대변인은 "무리한 정책을 추진했던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면서 전공의·의대생이 그간 입었던 상처도 많이 위로받았다고 평가한다"며 "논의 테이블이 만들어지면 전공의·의대생들이 대화에 참여하는 게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 관계자는 "대통령 탄핵으로 분위기가 크게 바뀌었다. 더는 정원을 줄이자고 요구하는 건 무리라는 내부 판단이 있었다"면서 "(의협 내 강경파인) 박단 부회장의 발언권도 많이 약해졌다...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42?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