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안에 6일간 맴돌다 먼바다로 향해
최근 전남 광양항 연안에 나타난 향유고래가 엿새째 인근 바다에서 맴돌다 먼바다 쪽으로 이동 중인 모습이 포착됐다. 전문가들은 이빨고래 중 가장 큰 종인 향유고래가 산 채로 연안에 들어온 것은 이례적인 사례로 보고 있다.
9일 여수해경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 따르면 연안을 오가던 향유고래가 이날 오전 10시14분쯤 여수 신덕해수욕장 남동쪽 1.8해리(3.3㎞)에서 마지막 목격됐다. 향유고래가 발견된 지점은 최초 목격된 바다에서 약 21㎞ 떨어진 곳이며, 수심은 20m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향유고래는 지난 4일 오전 9시48분쯤 광양항 송도 연안에서 최초 발견됐다. 어민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해경 등이 먼바다 방향으로 유도한 끝에 같은 날 오후 1시30분쯤 먼바다 쪽으로 사라졌다. 하지만 5시간 뒤인 오후 6시30분쯤 다시 광양항 인근으로 돌아와 닷새간 연안을 오간 것으로 파악됐다.
━
햇빛 노출에 화상…“얕은 수심 탓”
해경 등에 따르면 광양항 인근은 물때에 따라 수심이 5m~10m 수준이다. 향유고래는 낮은 수심 탓에 등 부위를 수면 위로 노출한 채 유영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래연구소는 고래 등 부분에서 확인된 상처가 장기간 피부가 수면 위로 노출될 때 햇빛에 의해 화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했다.
고래연구소 관계자는 “(향유고래가) 수면 위 노출이 장기화했으면 생명에도 지장이 있었을 것”이라며 “상처도 자연 치료될 수 있는 만큼, 먼바다로 떠나 건강하게 살기를 바란다”고 말했...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10?cloc=dailymotion
연안에 6일간 맴돌다 먼바다로 향해
최근 전남 광양항 연안에 나타난 향유고래가 엿새째 인근 바다에서 맴돌다 먼바다 쪽으로 이동 중인 모습이 포착됐다. 전문가들은 이빨고래 중 가장 큰 종인 향유고래가 산 채로 연안에 들어온 것은 이례적인 사례로 보고 있다.
9일 여수해경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 따르면 연안을 오가던 향유고래가 이날 오전 10시14분쯤 여수 신덕해수욕장 남동쪽 1.8해리(3.3㎞)에서 마지막 목격됐다. 향유고래가 발견된 지점은 최초 목격된 바다에서 약 21㎞ 떨어진 곳이며, 수심은 20m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향유고래는 지난 4일 오전 9시48분쯤 광양항 송도 연안에서 최초 발견됐다. 어민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해경 등이 먼바다 방향으로 유도한 끝에 같은 날 오후 1시30분쯤 먼바다 쪽으로 사라졌다. 하지만 5시간 뒤인 오후 6시30분쯤 다시 광양항 인근으로 돌아와 닷새간 연안을 오간 것으로 파악됐다.
━
햇빛 노출에 화상…“얕은 수심 탓”
해경 등에 따르면 광양항 인근은 물때에 따라 수심이 5m~10m 수준이다. 향유고래는 낮은 수심 탓에 등 부위를 수면 위로 노출한 채 유영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래연구소는 고래 등 부분에서 확인된 상처가 장기간 피부가 수면 위로 노출될 때 햇빛에 의해 화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했다.
고래연구소 관계자는 “(향유고래가) 수면 위 노출이 장기화했으면 생명에도 지장이 있었을 것”이라며 “상처도 자연 치료될 수 있는 만큼, 먼바다로 떠나 건강하게 살기를 바란다”고 말했...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10?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