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구시장은 15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겨냥해 "김구 선생의 국적을 중국이라고 기상천외한 답변을 하는 것은 어이가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홍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을사늑약과 한일합방을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일제의 식민사관"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렇게 보면 일제 하의 독립운동은 내란이 되고, 강제로 한 혼인도 유효하다고 보는 것과 다름없다"며 "그래서 일제하의 우리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망발이라고 하는 것"이라고 했다.
홍 시장은 "일제시대에는 국민은 있었으나 영토는 빼앗기고 주권도 빼앗겼다. 삼일만세운동 이후 설립된 상해 임시정부 시절부터 국적이 대한민국이란 주장도 있으나 국가의 3대 요소 중 국민만 있는 시대여서 논란 여지가 있다"며 "당시 우리 국민들은 국내에서나 해외에서 모두 무국적 상태로 산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해방 이후 나라를 되찾은 뒤 비로소 국적이 회복된 것"이라며 "독립운동의 영웅 김구 선생의 국적이 중국이었다는 망발도 참으로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지난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김구 선생 국적을 묻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김구 선생 국적은 뭐 여러 가지가 있지만 중국에서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다"며 "그 부분은 이제 국사학자들이 다 연구해 놓은 게 있다"고 답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212?cloc=dailymotion
홍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을사늑약과 한일합방을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일제의 식민사관"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렇게 보면 일제 하의 독립운동은 내란이 되고, 강제로 한 혼인도 유효하다고 보는 것과 다름없다"며 "그래서 일제하의 우리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망발이라고 하는 것"이라고 했다.
홍 시장은 "일제시대에는 국민은 있었으나 영토는 빼앗기고 주권도 빼앗겼다. 삼일만세운동 이후 설립된 상해 임시정부 시절부터 국적이 대한민국이란 주장도 있으나 국가의 3대 요소 중 국민만 있는 시대여서 논란 여지가 있다"며 "당시 우리 국민들은 국내에서나 해외에서 모두 무국적 상태로 산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해방 이후 나라를 되찾은 뒤 비로소 국적이 회복된 것"이라며 "독립운동의 영웅 김구 선생의 국적이 중국이었다는 망발도 참으로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지난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김구 선생 국적을 묻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김구 선생 국적은 뭐 여러 가지가 있지만 중국에서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다"며 "그 부분은 이제 국사학자들이 다 연구해 놓은 게 있다"고 답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212?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