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과 중국이 이렇게 빠르고 또 큰 폭으로 관세율을 조정할 것이라곤 예상치 못했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가 결정타였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옵니다.
이어서 베이징 이윤상 특파원입니다.
[기자]
취임 하자마자 중국에 '관세 폭탄'을 때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난 달부터 145%의 관세 조정 가능성을 제기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현지시각 지난 달 22일)]
"145%는 너무 높은 수치입니다. 그렇게 높지 않을 겁니다. 0%는 아니지만 상당히 낮아질 겁니다."
이번 극적 합의에 대해 주요 외신들은 관세 전쟁을 시작한 트럼프가 한 발 물러났다는 평가를 내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이나 주가 하락 등 경제 위기 우려에 미 전역에서 일어나는 반 트럼프 시위 등을 무시할 수 없었다는 겁니다.
특히 전문가들은 한 달 전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가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석병훈 /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중희토류하고 희토류 자석을 갖다가 수출 통제를 하게 되면 미국의 첨단산업들의 생산이 올스톱 되거든요."
중국 역시 내수 활성화 등을 통해 관세 전쟁을 끝까지 버텨내겠다고 했지만 올해 1분기 대미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84조 원, 약 3.1% 줄어들면서 피해를 보고 있었습니다.
한중 외교 소식통은 "중국 입장에서도 체면을 유지하면서 실리를 챙긴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어디까지나 '90일 휴전'인 데다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와 미국이 제기한 기술 유출, 환율 조작 등에 대한 것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
영상취재 : 위진량(VJ)
영상편집 : 이은원
이윤상 기자 yy27@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미국과 중국이 이렇게 빠르고 또 큰 폭으로 관세율을 조정할 거라고는 예상치 못했다는 반응입니다.
00:07중국의 히토류 수출 통제가 결정타였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옵니다.
00:12이어서 베이징 이윤상 특파원입니다.
00:17취임하자마자 중국의 관세 폭탄을 때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00:22지난달부터 145%의 관세 조정 가능성을 제기해왔습니다.
00:30이번 극적 합의에 대해 주요 외신들은 관세 전쟁을 시작한 트럼프가 한 발 물러났다는 평가를 내고 있습니다.
00:45물가 상승이나 주가 하락 등 경제 위기 우려해 미 전역에서 일어난 반 트럼프 시위 등을 무시할 수 없었다는 겁니다.
00:52특히 전문가들은 한 달 전 중국의 히토류 수출 통제가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01:00중국 역시 내수 활성화 등을 통해 관세 전쟁을 끝까지 버텨내겠다고 했지만
01:14올해 1분기 대미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84조 원, 약 3.1% 줄어들면서 피해를 보고 있었습니다.
01:21한중 외교 소식통은 중국 입장에서도 체면을 유지하면서 신리를 챙긴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01:29다만 어디까지나 90일 휴전인데다가 중국의 히토류 수출 통제와 미국이 제기한 기술 유출, 환율 조작 등에 대한 건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01:39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
01:51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