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유급과 제적 대상 의대생을 오늘(7일) 확정합니다.
앞서 제적 처분을 피하기 위해 등록은 완료했던 의대생들은 학사 경고 성격의 유급에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만 명 넘는 대규모 유급 사태가 현실화할 수 있습니다.
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의 유급, 제적 현황 조사를 마감하고 대상을 확정합니다.
유급은 학사경고인데, 유급이 누적되면 제적, 즉 의대생 신분을 잃게 됩니다.
정부가 이 같은 방침을 재확인하자, 한 달 이상 무단결석으로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5개 의대 학생들이 일단 전원 복귀를 결정했습니다.
학사경고 두 차례 누적으로 제적 처분 예정이었던 충남대 의대 24학번 70여 명도 역시 돌아왔습니다.
반면 유급 대상인 의대생 만여 명의 수업 복귀 움직임은 미미합니다.
정부의 압박에도 의대생단체는 오히려 의료 개악 책임자를 규명하기 전까지는 돌아가지 않겠다며 강경한 뜻을 밝혔습니다.
의료와 의학교육이 정상화되려면 지난 정권의 악업이 청산돼야 한다면서 그동안 교육부의 불법적 행위를 고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습니다.
또 대선 후보들을 언급하며 의료개혁을 원점 재검토하겠다는 말과 의지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는데,
유급되면 올해 수업 복귀가 불가능하지만, 이를 감수하면서까지 차기 정부와 협상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내년에 24, 25, 26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이 현실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교육부와 각 대학은 이번엔 구제, 즉 학사 유연화는 절대 없다는 입장입니다.
교육부는 오는 9일 이후 각 대학의 유급 확정 인원을 발표할 예정인데, 대량 유급에 따른 학사처리와 지원 방침도 함께 내놓을 것으로 보입니다.
YTN 백종규입니다.
영상편집 : 김현준
디자인 : 지경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507224717881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앞서 제적 처분을 피하기 위해 등록은 완료했던 의대생들은 학사 경고 성격의 유급에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만 명 넘는 대규모 유급 사태가 현실화할 수 있습니다.
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의 유급, 제적 현황 조사를 마감하고 대상을 확정합니다.
유급은 학사경고인데, 유급이 누적되면 제적, 즉 의대생 신분을 잃게 됩니다.
정부가 이 같은 방침을 재확인하자, 한 달 이상 무단결석으로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5개 의대 학생들이 일단 전원 복귀를 결정했습니다.
학사경고 두 차례 누적으로 제적 처분 예정이었던 충남대 의대 24학번 70여 명도 역시 돌아왔습니다.
반면 유급 대상인 의대생 만여 명의 수업 복귀 움직임은 미미합니다.
정부의 압박에도 의대생단체는 오히려 의료 개악 책임자를 규명하기 전까지는 돌아가지 않겠다며 강경한 뜻을 밝혔습니다.
의료와 의학교육이 정상화되려면 지난 정권의 악업이 청산돼야 한다면서 그동안 교육부의 불법적 행위를 고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습니다.
또 대선 후보들을 언급하며 의료개혁을 원점 재검토하겠다는 말과 의지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는데,
유급되면 올해 수업 복귀가 불가능하지만, 이를 감수하면서까지 차기 정부와 협상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내년에 24, 25, 26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이 현실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교육부와 각 대학은 이번엔 구제, 즉 학사 유연화는 절대 없다는 입장입니다.
교육부는 오는 9일 이후 각 대학의 유급 확정 인원을 발표할 예정인데, 대량 유급에 따른 학사처리와 지원 방침도 함께 내놓을 것으로 보입니다.
YTN 백종규입니다.
영상편집 : 김현준
디자인 : 지경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507224717881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유급과 제적 대상 의대생을 오늘 확정하기로 한 가운데
00:051만 명이 넘는 의대생들의 유급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00:09앞서 제적 처분을 피하기 위해 등록은 완료했던 의대생들은
00:14학사 경고 성격의 유급에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00:18보도에 백종규 기자입니다.
00:22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의 유급 제적 현황 조사를 마감하고 대상을 확정합니다.
00:28유급은 학사 경고인데 유급이 누적되면 제적, 즉 의대생 신분을 잃게 됩니다.
00:36정부가 이 같은 방침을 재확인하자 한 달 이상 무단결석으로
00:40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5개 의대 학생들이 일단 전원 복귀를 결정했습니다.
00:47학사 경고 두 차례 누적으로 제적 처분 예정이었던
00:51충남대 의대 이사학번 70여 명도 역시 돌아왔습니다.
00:55반면 유급 대상인 의대생 만여 명의 수업 복귀 움직임은 미미합니다.
01:02정부의 압박에도 의대생 단체는 오히려 의료계약 책임자를 규명하기 전까지는
01:08돌아가지 않겠다며 강경한 뜻을 밝혔습니다.
01:12의료와 의학교육이 정상화되려면 지난 정권의 악업이 청산돼야 한다면서
01:17그동안 교육부의 불법적 행위를 고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습니다.
01:23또 대선 후보들을 언급하며 의료계약을 원점 재검토하겠다는 말과 의지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는데
01:30유급되면 올해 수업 복귀가 불가능하지만
01:33이를 감수하면서까지 차기 정부와 협상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01:39이렇게 되면 내년에 2.4, 2.5, 2.6 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01:44트리플링이 현실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01:47교육부와 각 대학은 이번엔 구제, 즉 학사 유연화는 절대 없다는 입장입니다.
01:54교육부는 오는 9일 이후 각 대학에 유급 확정 인원을 발표할 예정인데
01:59대량 유급에 따른 학사 처리와 지원 방침도 함께 내놓을 것으로 보입니다.
02:05YTN 백종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