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자동차 관세에 이어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 25%를 발효했습니다.
조치가 일부 완화되긴 했지만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 업계가 타격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경제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최아영 기자! 결국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발효됐군요?
[기자]
네. 미국 시간으로 3일 0시 1분, 한국 시간으로는 조금 전인 낮 1시 1분부터 시행됐습니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 부품에 품목 관세 25%가 매겨지는 건데요.
다만 미국은 관세 발효를 앞두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에는 부품 관세 부담을 2년 동안 한시적으로 줄여주기로 했습니다.
미국에 공장을 둔 현대차나 기아는 당장 큰 부담을 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이번 조치로 한국 자동차 부품의 수출 감소가 우려됩니다.
한국무역협회는 이번 관세 조치 대상은 자동차 부품 332개 품목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대부분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지만 자동차 부품으로 분류되지 않거나 자동차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은 품목도 다수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미국은 한국의 자동차 부품 최대 수출 시장입니다.
지난해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 비중은 6.4%로 금액으로는 135억 달러, 19조 원에 달합니다.
무역협회는 미국 내 수요 기업들이 단기간에 거래선을 바꾸기는 쉽지 않겠지만 관세 인상분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면서 수요 위축과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과 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 재검토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로 원산지 기준 강화가 유력한 만큼, 장기적으로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미국산 대체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최아영입니다.
YTN 최아영 (cay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503140016304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조치가 일부 완화되긴 했지만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 업계가 타격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경제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최아영 기자! 결국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발효됐군요?
[기자]
네. 미국 시간으로 3일 0시 1분, 한국 시간으로는 조금 전인 낮 1시 1분부터 시행됐습니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 부품에 품목 관세 25%가 매겨지는 건데요.
다만 미국은 관세 발효를 앞두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에는 부품 관세 부담을 2년 동안 한시적으로 줄여주기로 했습니다.
미국에 공장을 둔 현대차나 기아는 당장 큰 부담을 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이번 조치로 한국 자동차 부품의 수출 감소가 우려됩니다.
한국무역협회는 이번 관세 조치 대상은 자동차 부품 332개 품목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대부분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지만 자동차 부품으로 분류되지 않거나 자동차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은 품목도 다수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미국은 한국의 자동차 부품 최대 수출 시장입니다.
지난해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 비중은 6.4%로 금액으로는 135억 달러, 19조 원에 달합니다.
무역협회는 미국 내 수요 기업들이 단기간에 거래선을 바꾸기는 쉽지 않겠지만 관세 인상분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면서 수요 위축과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과 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 재검토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로 원산지 기준 강화가 유력한 만큼, 장기적으로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미국산 대체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최아영입니다.
YTN 최아영 (cay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503140016304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미국이 자동차 관세에 이어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 25%를 발효했습니다.
00:07조치가 일부 완화되기는 했지만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업계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00:14경제부 취재기자 연결해서 내용을 들어보겠습니다.
00:18최하영 기자, 결국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발효됐군요.
00:22미국 시간으로 3일 0시 1분, 한국 시간으로는 조금 전인 낮 1시 1분부터 시행됐습니다.
00:28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 부품에 품목 관세 25%가 매겨지는 건데요.
00:34다만 미국은 관세 발효를 앞두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에는 부품 관세 부담을 2년 동안 한시적으로 줄여주기로 했습니다.
00:42미국에 공장을 둔 현대차나 기아는 당장 큰 부담은 피할 수 있게 됐습니다.
00:48다만 이번 조치로 한국 자동차 부품의 수출 감소가 우려됩니다.
00:52한국무역협회는 이번 관세 조치 대상은 자동차 부품 332개 품목이라고 분석했는데요.
00:59대부분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지만 자동차 부품으로 분류되지 않거나 자동차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은 품목도 다수 포함됐다고 설명했습니다.
01:09특히 미국은 한국의 자동차 부품 최대 수출 시장입니다.
01:13지난해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 비중은 6.4%로 금액으로는 135억 달러 19조 원에 달합니다.
01:21무역협회는 미국 내 수요 기업들이 단기간에 거래선을 바꾸긴 쉽지 않겠지만 관세 인상분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면서 수요 위축과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01:34또 미국과 멕시코, 캐나다 무역협정 재검토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로 원산지 기준 강화가 유력한 만큼 장기적으로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미국산 대체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분석했습니다.
01:46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최아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