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고물가에… 빚 못 갚고 무너지는 서민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그리고 이런 얘기가 들립니다. 우리나라 1인당 GDP가 4만 달러에 다다른다라고 희망을 가졌었는데 아직 다다르기 좀 멀었다고 시간이 점점 더 오래 걸린다.
00:15그리고 이러다가는 대만한테 우리가 역전당하겠다. 이런 얘기가 들리더군요. 맞습니까?
00:21그렇습니다. 국제통화기금 IMF가 며칠 전에 경제 전망 보고서를 내면서 거기에 나온 내용들인데요.
00:31올해 우리나라 1인당 GDP를 3만 4,642달러 기존 전망치보다 6개월 사이에 무려 8%나 낮춘 전망치를 내놨고요.
00:42이런 전망의 추세적인 걸 봤었을 때 4만 달러 돌파 시점은 당초에는 2027년으로 잡았었는데 2년이 더 늦춰져서 2029년이 돼서야 4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다라는 전망을 내놨고요.
00:57다른 나라에 비교해도 우리가 많이 늦어진 거라면서요?
01:00네. 속도가 점차 둔화되고 있는 속도가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많이 늦어졌습니다.
01:05예를 들어서 선진국으로 진입했다고 보는 딱 1인당 GDP가 3만 달러거든요.
01:12우리가 1만 달러를 딱 돌파했던 시점이 1994년이고요.
01:16그 뒤에 11년 후인 2005년에 2만 달러를 돌파했고요.
01:21그 뒤로 9년 뒤인 2014년에 3만 달러를 돌파를 했죠.
01:26이때까지는 단축을 했죠. 성장률이 괜찮았죠.
01:29그런데 그 이후에 지금 계속해서 4만 달러 돌파를 못하고 있는 상태인 거고
01:34만약에 IMF의 추정치가 맞다면 15년이 지나서야 4만 달러를 다시 돌파를 하게 되는 건데
01:42다른 미국이나 캐나다, 영국, 프랑스 같은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01:46현재 3만 달러에서 4만 달러로 가는데 시간이 2배, 3배 오래 걸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01:52아니 그런데 우리나라 1인당 GDP가 2만 달러, 3만 달러, 4만 달러 하면 뭐합니까?
01:59왜 우리 국민들은 이렇게 먹고 살기가 맨날 팍팍한지 모르겠어요.
02:03지금 경기 침체가 이렇게 장기가 되면서 서민들이 이제 더 한계에 다다랐습니다.
02:11개인 워크아웃을 신청한 사람이요.
02:15지금 10년 동안 2배나 들었다고요?
02:18지난해 기준으로 워크아웃을 통해서 원금 감면을 신청한 분들이
02:259만 3,300여 명, 말씀하신 대로 10년 사이에 2배가 늘었고요.
02:30이제 워크아웃을 통해서 채무 조정이 되는 거죠.
02:35채무 조정을 받은 걸 가지고 그대로 이행을 하시면 채무를 다 상환했다라고 해서
02:40완제자, 저희가 이렇게 부르는데 완제자는 또 급격하게 줄었습니다.
02:47완제자 수가 2020년 기준 2만 명이 좀 넘었었는데
02:51지난해 기준으로는 1028명, 그러니까 20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드는 수준인 거죠.
02:57그러니까 채무 조정을 받고도 그 채무 조정을 받은 빚마저도
03:02빚마저도 다 갚지 못하시는 분들이 이렇게 수출하고 있다 이렇게 봐야 되겠습니다.
03:06그만큼 정말 삶이 팍팍해지고 있다 경제적인 상황이 서민들에게는 더욱더 힘들어지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