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제는 승무원 채용도 튼튼함이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항공기 사고가 잇따르면서, 항공사들이 승무원을 뽑을 때 체력시험을 보거나, 테이저 사격 훈련도 시키고 있습니다.
우현기 기자입니다.
[기자]
[현장음]
"발목 잡아! 머리 숙여! 자세 낮춰!"
현직 승무원들이 비상 상황을 가정하고, 큰 목소리로 외칩니다.
측정 결과, 100데시벨이 훌쩍 넘습니다.
이스타항공이 승무원 채용 과정에 목소리 크기나 악력 측정 등 자체 체력 시험을 도입하면서, 현직 승무원들을 상대로 모의 테스트를 진행한 겁니다.
발목 잡아! 머리 숙여!
제가 직접 측정해보니, 118데시벨이 나왔는데요.
기차 소리와 맞먹는 105db이상 나와야, 육성으로 위기상황에서 지휘가 가능합니다.
뒤꿈치를 들고 한 손을 머리 위로 최대한 뻗는 암리치 테스트도 진행합니다.
2m 5cm가 통과 기준인데, 화재 상황에서 비상 장비에 손이 닿는지 확인하는 겁니다.
[유일환 / 이스타항공 승무원 교관(지난 17일)]
"오버헤드 선반에 화재가 났을 때 키가 안 닿으면 불을 끄지 못하잖아요."
다른 항공사들도 승무원 채용시 체력 시험을 필수로 보거나, 기내 안전 요원으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100kg가 넘는 카트를 밀고 당길 수 있어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대한항공은 기내 난동 승객에 단호히 대응하기 위해, 객실 안전교관을 대상으로 에어 테이저 사격술을 교육했습니다.
최근 잇단 항공기 사고에 승무원의 체력도 채용의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
영상취재 : 추진엽
영상편집 : 박형기
우현기 기자 whk@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첫 소식입니다. 이제는 항공기 승무원 채용도 신체적인 튼튼함이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00:08최근에 항공기 사고가 잇따르면서 항공사들이 승무원을 뽑을 때 체력시험을 보거나 테이저건 사격훈련도 함께 시키고 있습니다.
00:18우현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00:22발목 잡아! 머리 숙여! 자세 낮춰!
00:26현직 승무원들이 비상 상황을 가정하고 큰 목소리로 외칩니다.
00:32측정 결과 100데시벨이 훌쩍 넘습니다.
00:36이스타항공이 승무원 채용 과정에 목소리 크기나 악력 측정 등 자체 체력시험을 도입하면서 현직 승무원들을 상대로 모의 테스트를 진행한 겁니다.
00:46발목 잡아! 머리 숙여!
00:50제가 직접 측정해보니 118데시벨이 나왔는데요.
00:54기차 소리와 맞먹는 105데시벨 이상이 나와야 육성으로 위기 상황에서 지휘가 가능합니다.
01:01뒤꿈치를 들고 한 손을 머리 위로 최대한 뻗는 암 리치 테스트도 진행합니다.
01:072m 5cm가 통과 기준인데 화재 상황에서 비상 장비에 손이 닿는지 확인하는 겁니다.
01:13다른 항공사들도 승무원 채용 시 체력시험을 필수로 보거나 기내 안전요원으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01:27유나이티드항공은 100kg이 넘는 카트를 밀고 당길 수 있어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01:32대한항공은 기내 난동 승객에 단호히 대응하기 위해 객실 안전교관을 대상으로 에어테이저 사격수를 교육했습니다.
01:42최근 2단 항공기 사고에 승무원의 체력도 채용의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01:47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