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미국, 다음주 한미 재무장관 회담서 통상 협의 제안
G20 재무장관회의 최상목 부총리에 통상 협의 제안
최상목·안덕근 대미 협상 전망…"결정된 것 없어"


최상목 경제 부총리가 다음 주 미국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통상 협상에 나섭니다.

미국이 먼저 제안했다고 정부가 밝혔습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일본 대미 협상 대표가 미국으로 향한 날, 미국 재무부는 최상목 경제 부총리에게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의 회담에서 통상 등의 협의를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다음 주 주요 20개국 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하는 최 부총리에게 금융·외환 관련 논의를 넘어 통상 문제를 다루자고 제안한 겁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도 이르면 다음 주 워싱턴DC를 방문해 미 당국자들과 관세 협상에 나서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 주 미국에서 양국 재무·통상 수장이 한자리에 앉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참석자와 일정이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미국은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하는 사람이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된다'며 우리나라와 일본, 영국, 호주, 인도, 5개국과의 합의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나라가 어떤 조건을 제시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서두르지 않는 게 유리하다는 제언이 나옵니다.

[석병훈 /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먼저 조건을 제시하는 사람이 기준이 되면서 다른 사람에게는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라고 압박할 용도로 이런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더 과도한 조건을 제시하게 될 가능성도 크다, 이래서 조급한 나라가 제일 먼저 좋은 조건을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

최 부총리는 섣불리 어떤 약속을 하는 단계는 아니고, 현재 준비하고 있는 협상 의제에는 방위비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언급했습니다.

[최상목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15일 국회) : (미국) 중앙정부에서 어떤 것을 원하는지 명확치 않기 때문에 저희가 지금 하는 단계는 뭐냐면 LNG라든지 조선, 무역 균형 관련된 부분들에 대에서 책임 있는 미국 당국자들과 협의를 해서 그분들이 어떤 것에 관심이 있고, 또 관심 있는 부분들을 우리랑 어떤 틀에서 협상을 할지에 대해서 이제부터 논의를 해야 되는 겁니다.]

미국의 압박에 한미 협의가 본격... (중략)

YTN 이승은 (sele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17000145567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최상목 경제부총리가 다음 주 미국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통상 협상에 나섭니다.
00:07미국이 먼저 제안했다고 정부가 밝혔습니다.
00:10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00:14일본 대미 협상 대표가 미국으로 향한 날, 미국 재무부는 최상목 경제부총리에게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의 회담에서 통상 등의 협의를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00:25다음 주 주요 20개국 재무장관 회의 참석 차 미국을 방문하는 최 부총리에게 금융 외환 관련 논의를 넘어 통상 문제를 다루자고 제안한 겁니다.
00:36안덕근 산업부 장관도 이르면 다음 주 워싱턴 DC를 방문해 미 당국자들과 관세 협상에 나서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었습니다.
00:45이에 따라 다음 주 미국에서 양국 재무 통상 수장이 한자리에 앉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00:50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참석자와 일정이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00:56중국을 제외한 국가의 상호 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미국은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하는 사람이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된다며
01:04우리나라와 일본, 영국, 호주, 인도 5개 국가의 합의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01:11하지만 어떤 나라가 어떤 조건을 제시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서두르지 않는 게 유리하다는 제안이 나옵니다.
01:17먼저 조건을 제시하는 사람이 뭔가 이렇게 기준이 되면서 다른 사람에게는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라고 압박을 할 용도로 이런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요.
01:27선제적으로 더 뭔가 과다한 조건을 제시하게 될 가능성도 크다.
01:32이래서 조급한 나라가 제일 먼저 좋은 조건을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
01:36최 부총리는 섣불리 어떤 약속을 하는 단계는 아니고 현재 준비하고 있는 협상 의제에는 방위비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언급했습니다.
01:46중앙정부에서 어떤 것을 원하는지에 대한 건 아직 명확치 않기 때문에
01:51저희가 지금 하는 단계는 뭐냐면 LNG라든지 그다음에 조선, 그다음에 무역 균형 관련된 부분들에 대해서
01:59책임 있는 미국의 당국자들과 협의를 해서 그분들이 어떤 것에 관심이 있고
02:06또 관심 있는 부분들을 우리랑 어떤 틀에서 협상을 할지에 대한 것을 이제부터 논의를 해야 되는 겁니다.
02:12미국의 압박에 한미협의가 본격화되겠지만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는 협상 기반 마련에 주력하고
02:19주요 사안은 새 정부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02:24YTN 이승훈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