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광주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45년이 되는 날입니다.
조금 전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는 정부 주관 공식 기념식이 열렸는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나현호 기자!
[기자]
네, 국립 5·18 민주묘지에 나와 있습니다.
현장 분위기 어떤지 전해주시죠.
[기자]
네,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정부가 주관하는 5·18 기념식이 마무리됐습니다.
제 뒤로 묘역 모습이 보일 텐데요.
유족을 비롯해 추모객들이 헌화하고 참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기념식은 5·18 민주 유공자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한 행사인데요.
5·18 민주유공자와 유족 등 모두 2천5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45분 동안 진행됐습니다.
올해 기념식 주제는 '함께, 오월을 쓰다'였습니다.
1980년 5월 광주 민주주의를, 현재 우리가 함께 기억하고 기록하면서 5·18의 역사적 의미와 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자는 취지였는데요.
미래 세대 대표가 5·18의 진실과 역사적 의미, 다짐을 담은 경과보고를 했고요.
문재학, 윤상원 열사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연도 이뤄졌습니다.
마지막 순서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것으로 기념식은 마무리됐습니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은 기념사를 통해 "우리나라 곳곳에 갈등과 분열이 깊어졌다"면서, "45년 전 광주가 보여준 연대와 통합 정신을 되살려 대화와 타협으로 국민 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어제는 추모제와 전야제가 열렸습니다.
추모제가 열린 이곳 국립 5·18 민주묘지에는 유족과 참배객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전야제가 열린 금남로는 수많은 인파로 가득 찼습니다.
45년 전 민주주의를 외치며 금남로를 행진하던 시민들의 모습을 재연한 '민주평화 대행진'은 주최 측 추산 만5천 명이 참여했고요.
곳곳에 다양한 체험 부스가 차려졌고, 주먹밥을 나누며 5·18 정신을 기념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전야제 주제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이었는데, 행사가 11년 만에 주말에 열리면서 어느 때보다 많은 인파가 몰렸습니다.
지금까지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YTN 나현호입니다.
YTN 나현호 (nhh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518124816446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조금 전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는 정부 주관 공식 기념식이 열렸는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나현호 기자!
[기자]
네, 국립 5·18 민주묘지에 나와 있습니다.
현장 분위기 어떤지 전해주시죠.
[기자]
네,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정부가 주관하는 5·18 기념식이 마무리됐습니다.
제 뒤로 묘역 모습이 보일 텐데요.
유족을 비롯해 추모객들이 헌화하고 참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기념식은 5·18 민주 유공자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한 행사인데요.
5·18 민주유공자와 유족 등 모두 2천5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45분 동안 진행됐습니다.
올해 기념식 주제는 '함께, 오월을 쓰다'였습니다.
1980년 5월 광주 민주주의를, 현재 우리가 함께 기억하고 기록하면서 5·18의 역사적 의미와 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자는 취지였는데요.
미래 세대 대표가 5·18의 진실과 역사적 의미, 다짐을 담은 경과보고를 했고요.
문재학, 윤상원 열사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연도 이뤄졌습니다.
마지막 순서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것으로 기념식은 마무리됐습니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은 기념사를 통해 "우리나라 곳곳에 갈등과 분열이 깊어졌다"면서, "45년 전 광주가 보여준 연대와 통합 정신을 되살려 대화와 타협으로 국민 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어제는 추모제와 전야제가 열렸습니다.
추모제가 열린 이곳 국립 5·18 민주묘지에는 유족과 참배객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전야제가 열린 금남로는 수많은 인파로 가득 찼습니다.
45년 전 민주주의를 외치며 금남로를 행진하던 시민들의 모습을 재연한 '민주평화 대행진'은 주최 측 추산 만5천 명이 참여했고요.
곳곳에 다양한 체험 부스가 차려졌고, 주먹밥을 나누며 5·18 정신을 기념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전야제 주제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이었는데, 행사가 11년 만에 주말에 열리면서 어느 때보다 많은 인파가 몰렸습니다.
지금까지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YTN 나현호입니다.
YTN 나현호 (nhh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518124816446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오늘은 광주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45년이 되는 날입니다.
00:04조금 전 국립 5.18 민주 묘지에서는 정부 주관 공식 기념식이 열렸는데요.
00:09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나현우 기자.
00:14국립 5.18 민주 묘지에 나와 있습니다. 현장 분위기 어떤지 전해주시죠.
00:22정부가 주관하는 5.18 정부 기념식은 조금 전에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00:27지금 제 뒤로 묘지의 모습이 보이실 텐데요.
00:31지금 이 시간까지도 많은 추모와 그리고 참배객들이 현재 묘지로 올라오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39기념식은 5.18 민주유공자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한 행사입니다.
00:465.18 민주유공자와 유족 등 모두 2,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45분 동안 진행됐습니다.
00:52올해 기념식 주제는 함께 5월을 쓰다였습니다.
00:551980년 5월 광주민주주의를 현재 우리가 함께 기억하고 기록하면서
01:025.18의 역사적 의미와 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자는 취지였는데요.
01:07미래세대 대표가 5.18의 진실과 역사적 의미, 다짐을 담은 경과보고를 했고요.
01:13문재학 그리고 윤상훈 열사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연도 이루어졌습니다.
01:18마지막 순서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재창하는 것으로 기념식은 마무리됐습니다.
01:23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은 기념사를 통해 우리나라 곳곳의 갈등과 분열이 깊어졌다면서
01:3045년 전 광주가 보여준 연대와 통합 정신을 되살려 대화와 타협으로 국민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01:38앞서 어제는 추모제와 전야제가 열렸습니다.
01:41추모제가 열린 이곳, 국립5.18 민주유지에는 유족과 참배객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01:47전야제가 열린 금남로는 수많은 인파로 가득 찼습니다.
01:5045년 전 민주주의를 외치며 금남로를 행진하던 시민들의 모습을 재현한 민주평화대행진은 주최측 추산 1만 5천명이 참여했고요.
02:00곳곳에 다양한 체험 부스가 차려졌고 주먹밥을 나누며 5.18 정신을 기념하는 모습이었습니다.
02:06전야제 주제는 아 5월 다시 만난 5월이었는데 행사가 11년 만에 주말에 열리면서 어느 때보다 많은 인파가 몰렸습니다.
02:15지금까지 국립5.18 민주유지에서 YTN 나연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