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내에선 무소속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문제가 최대 뇌관으로 떠올랐습니다.
짧은 선거 일정상 조속히 협상에 들어가야 한다는 당내 목소리가 적잖은데, 김 후보 측에선 정통성을 내세우며 불편한 속내를 숨기지 않는 기류도 읽힙니다.
박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보름여 간의 경선 레이스가 끝나며 선거 체제에 돌입한 국민의힘 선대위, 첫 상견례에서 단일화 추진 기구를 설치하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무소속 한덕수 후보를 비롯한 이른바 '반이재명 빅텐트' 구상의 첫발을 뗀 셈입니다.
[신동욱 /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 후보 단일화라고 하는 건 상대가 있는 굉장히 예민한 작업이기 때문에…. 물밑 접촉이 필요할 거 같아요.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을) 최대한 빨리 하기로 했습니다.]
김 후보는 경선 과정에서 이른바 '김덕수' 전략 등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의지를 부각하며 표심을 공략했습니다.
[김문수 /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난달 24일) : 한덕수든 김덕수든 다 합쳐서 무조건 이재명을 이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큰 틀에서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는 게 김 후보 측 설명이지만, 당과 후보 사이 단일화 방식과 시기 등 주도권을 두고 신경전이 적잖단 관측도 나옵니다.
실제 후보 선출 당일 저녁 당 지도부와 만난 자리에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조속한 단일화 중요성을 언급한 지도부를 향해, "여기가 한덕수 당은 아니지 않느냐, 내가 당의 후보다"라는 취지로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은 거로 파악됐습니다.
공보물 발주 등 선거 일정을 고려해 7일까지 단일화를 매듭짓는 게 좋겠단 제안에도 최소 9일까진 여유가 주어져야 한다며, 초반 선거운동 지장도 감수하겠단 뜻을 내비쳤습니다.
당내에선 김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되자 태도를 바꾼 게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지연 전술로 11일 후보등록 마감 시점을 유야무야 넘기려는 건 아닌지 의심하는 기류까지 감지됩니다.
일부 의원들은 의원총회를 소집해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는 뜻을 당 지도부에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반면 김 후보 측에선 후보로 뽑히자마자 단일화 청구서부터 내미는 게 정상적이냐는 불편한 기색도 표출되고 있습니다.
캠프 내에서 반드시 김 후보로 단일화가 되어야 한다는 자강론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선거 실무를 총괄할 사무총장을 캠프 측 인사로 교체한 것 역시 당과의 주도권... (중략)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504215308562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짧은 선거 일정상 조속히 협상에 들어가야 한다는 당내 목소리가 적잖은데, 김 후보 측에선 정통성을 내세우며 불편한 속내를 숨기지 않는 기류도 읽힙니다.
박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보름여 간의 경선 레이스가 끝나며 선거 체제에 돌입한 국민의힘 선대위, 첫 상견례에서 단일화 추진 기구를 설치하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무소속 한덕수 후보를 비롯한 이른바 '반이재명 빅텐트' 구상의 첫발을 뗀 셈입니다.
[신동욱 /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 후보 단일화라고 하는 건 상대가 있는 굉장히 예민한 작업이기 때문에…. 물밑 접촉이 필요할 거 같아요.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을) 최대한 빨리 하기로 했습니다.]
김 후보는 경선 과정에서 이른바 '김덕수' 전략 등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의지를 부각하며 표심을 공략했습니다.
[김문수 /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난달 24일) : 한덕수든 김덕수든 다 합쳐서 무조건 이재명을 이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큰 틀에서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는 게 김 후보 측 설명이지만, 당과 후보 사이 단일화 방식과 시기 등 주도권을 두고 신경전이 적잖단 관측도 나옵니다.
실제 후보 선출 당일 저녁 당 지도부와 만난 자리에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조속한 단일화 중요성을 언급한 지도부를 향해, "여기가 한덕수 당은 아니지 않느냐, 내가 당의 후보다"라는 취지로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은 거로 파악됐습니다.
공보물 발주 등 선거 일정을 고려해 7일까지 단일화를 매듭짓는 게 좋겠단 제안에도 최소 9일까진 여유가 주어져야 한다며, 초반 선거운동 지장도 감수하겠단 뜻을 내비쳤습니다.
당내에선 김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되자 태도를 바꾼 게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지연 전술로 11일 후보등록 마감 시점을 유야무야 넘기려는 건 아닌지 의심하는 기류까지 감지됩니다.
일부 의원들은 의원총회를 소집해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는 뜻을 당 지도부에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반면 김 후보 측에선 후보로 뽑히자마자 단일화 청구서부터 내미는 게 정상적이냐는 불편한 기색도 표출되고 있습니다.
캠프 내에서 반드시 김 후보로 단일화가 되어야 한다는 자강론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선거 실무를 총괄할 사무총장을 캠프 측 인사로 교체한 것 역시 당과의 주도권... (중략)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504215308562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국민의힘 내에서는 무소속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문제가 최대 뇌관으로 떠올랐습니다.
00:05짧은 선거 일정상 조속히 협상에 들어가야 한다는 당내 목소리가 적지 않은데
00:09김 후보 측에선 정통성을 내세우며 불편한 속내를 숨기지 않는 기류도 읽힙니다.
00:15첫 소식 박정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00:20보름여간의 경선 레이스가 끝나며 선거 체제에 돌입한 국민의힘 선대위.
00:25첫 상견례에서 단일화 추진기구를 설치하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00:30무소속 한덕수 후보를 비롯한 이른바 반이재명 빅텐트 구상에 첫발을 뗀 셈입니다.
00:47김 후보는 경선 과정에서 이른바 김덕수 전략 등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의지를 부각하며 표심을 공략했습니다.
00:55한덕수든 김덕수든 다 합쳐서 무조건 이재명을 이겨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01:00큰 틀에서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는 게 김 후보 측 설명이지만 당과 후보 사이 단일화 방식과 시기 등 주도권을 두고 신경전이 적잔탄 관측도 나옵니다.
01:10실제 후보 선출 당의 전역 당 지도부와 만난 자리에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조속한 단일화 중요성을 언급한 지도부를 향해
01:18여기가 한덕수 당은 아니지 않느냐 내가 당의 후보다라는 취지로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은 거로 파악됐습니다.
01:26공보물 발주 등 선거 일정을 고려해 7일까지 단일화를 매듭 짓는 게 좋겠다는 제안에도 최소 9일까지는 여유가 주어져야 한다며 초반 선거운동 지장도 감수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01:37당내에서는 김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되자 태도를 바꾼 게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01:44지연 전술로 11일 후보 등록 마감 시점을 유야무야 넘기려는 건 아닌지 의심하는 기류까지 감지됩니다.
01:52일부 의원들은 의원총회를 소집해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는 뜻을 당 지도부에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01:57반면 김 후보 측에선 후보로 뽑히자마자 단일화 청구서부터 내미는 게 정상적이냐는 불편한 기색도 표출되고 있습니다.
02:06캠프 내에서 반드시 김 후보로 단일화가 되어야 한다는 자각론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02:11선거 실무를 총괄해 사무총장을 캠프 측 인사로 교체한 것 역시 당과의 주도권 다툼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란 해석도 있습니다.
02:21아직 정해진 건 없고요. 계속 논의를 해나가야겠어요.
02:25이런 가운데 한덕수 후보 측은 전당대회 직후 당 지도부의 단일화 룰을 포함해 모든 과정을 일임하겠다는 뜻을 밝힌 거로 파악됐습니다.
02:41당과 후보 사이 단일화 방식과 속도 등을 둘러싼 이견에 단일화 논의가 시작부터 암초에 부딪히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는데
02:48이견봉합의 실패에 본격적인 잡음이 터져나올 경우
02:52대선 레이스 전반에 타격이 적지 않을 거란 우려도 제기됩니다.
02:56YTN 박정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