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는기자 시작합니다.
사회부 법조팀 김정근 기자 나왔습니다.
1. 이것부터 짚고 넘어가죠. 대법원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을 했잖아요. 이재명 후보는 다시 열리는 재판에서 무죄가 될 수 있습니까?
네, 이 후보의 유죄 판결은 오늘 대법원이 사실상 확정지었다고 봐야 합니다.
향후 서울고등법원 재판부는 오늘 나온 대법원 결론을 따라 판결을 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유죄는 확정 됐고 '형량'을 얼마로 정할지만 남은 겁니다.
2. 대선이 임박한 상황에서 대법원이 2심을 뒤집겠느냐 하는 예상도 있었는데,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정치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이 과감하게 결정을 내렸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대법원이 이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하고, 전례없이 재판 속도를 끌어올릴 때에도 대선을 코앞에 두고 무죄를 유죄로 뒤집는 건 부담스러울 거다는 관측이 많았습니다.
전원합의체 회부 9일 뒤로 선고일로 잡았을 때도 무난하게 2심 무죄를 확정할 거란 예상이 법원 안팎에선 우세했는데요.
오늘 대법원은 그런 예상을 깨고 이 후보가 유죄라고 판단했습니다.
2-1 대법관 대다수가 유죄 의견을 낸 것도 눈길이 갑니다?
오늘 보셨듯, 대법관 12명 중 10명이 유죄 의견이었습니다.
대법관 절대 다수가 2심 판결에 법률적 문제가 있었다고 본 건데요.
오히려 대선이 다가온 상황인 만큼, 2심 오류를 빠르게 바로잡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걸로 보입니다.
대법원은 오늘 선고 직후 낸 자료에서도 '신속한 처리' 이유를 밝혔는데요.
이재명 후보 사건은 1·2심이 너무 오래 걸렸고, 1·2심 결론이 엇갈리면서 생긴 사법부 불신도 빠르게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Q3. 대법관 대다수가 2심 판결이 잘못됐다고 지적한 핵심 논리는 뭡니까.
이 후보 사건, 정치인의 표현의 자유와. 유권자의 선택권, 어느 쪽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1심과 2심이 엇갈렸습니다.
1심은 정치인의 표현의 자유보다 유권자의 판단을 흐리지 않도록 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반면 2심 재판부는 정치인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 무죄를 선고했는데요.
오늘 대법원 결론은 이렇습니다.
정치인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하지만, 유권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범위에 한해서만 인정해야 한다는 겁니다.
4. 오늘 대법원 판결은 2심이 틀렸다고 본 건데, 어떤 부분이 틀렸다는 겁니까.
네, 2심 재판부가 이재명 후보 발언을 잘게 쪼갠 부분에 문제가 있다고 봤습니다.
대법원은 발언 하나하나가 사실인지 거짓인지가 아니라, 전체 발언이 어떤 의미로 유권자에게 전달됐는지가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2심은 이재명 후보 발언을 잘게 쪼개서 판단했습니다.
'김문기 전 처장을 몰랐다'와 '골프 사진은 조작됐다'는 발언을 각각 나누고, 이 문장들을 거짓으로 단정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는데요.
반면 대법원은, 전체적인 발언 맥락상 '김문기 처장과 골프를 치지 않았다'라는 의미로 '유권자'가 받아들였을 거라고 봤습니다.
국토부 협박 발언도 2심 재판부는 이재명 후보 발언을 7개로 쪼개서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국토부로부터 용도 변경을 안 하면 직무유기로 문제 삼겠단 협박을 받았다"는 발언 자체가 허위라고 판단했습니다.
5. 결국 대법원 판결이 유죄를 선고했던 1심 손을 들어준 건데요. 그럼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선고한 형량이 나오게 될까요?
네, 대법원이 유죄를 선고한 최종 법리와 1심 재판부의 판결 논리는 사실상 똑같았습니다.
앞으로 이재명 후보는 파기환송심을 다시 받아야 하는데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1심 재판부가 이재명 후보에게 선고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형과 비슷한 형량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일부 감형이 되더라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100만원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이 후보의 피선거권은 박탈됩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사회부 김정근 기자였습니다.
김정근 기자 rightroot@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법조팀 김정근 기자 나왔습니다. 이것부터 한번 물어볼게요. 궁금한데 대법원이 유죄 취지로 지금 다시 서울고등법원으로 내려보냈습니다.
00:12그럼 서울고등법원이 다시 무죄로 바꿀 수 있어요?
00:16이 후보 유죄 판결은 오늘 대법원이 사실상 확정지었다고 봐야 합니다.
00:21향후 서울고등법원 재판부는 오늘 나온 대법원 결론을 따라 판결을 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00:26유죄는 확정됐고 형량을 얼마로 정할지만 남은 겁니다.
00:30그러니까 유죄는 확정이 됐다고 봐도 되는 거죠? 대선 임박한 상황에서 뒤집을 수 있을까? 이런 얘기가 나왔는데 반전입니까?
00:39정치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이 과감하게 결정을 내렸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00:45대법원이 이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하고 전례 없이 재판 속도를 끌어올릴 때도 대선을 코앞에 두고 무죄를 유죄로 뒤집는 건 부담스러울 거란 관측이 많았습니다.
00:55전원합의체 회부 9일 뒤로 선고위를 잡았을 때도 무난하게 2심 무죄를 확정할 거란 예상이 법원 안팎에서 우세했는데요.
01:04오늘 대법원은 그런 예상을 깨고 이 후보가 유죄라고 판단했습니다.
01:08만장일치는 아니었지만 대법관 대다수가 유죄 의견을 낸 것도 눈길이 갔는데요.
01:13오늘 보셨듯이 대법관 12명 중 10명이 유죄 의견이었습니다.
01:17대법관 절대 다수가 2심 판결에 법률적 문제가 있었다고 본 건데요.
01:22오히려 대선이 다가온 상황인 만큼 2심 오류를 빠르게 바로잡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걸로 보입니다.
01:29대법원은 오늘 선고 직후 낸 자료에서도 신속한 처리 이유를 밝혔는데요.
01:34이재명 후보 사건은 1, 2심이 너무 오래 걸렸고 1, 2심 결론이 엇갈리면서 생긴 사법부 불신도 빠르게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01:43사실 1심 유죄 같다, 2심 무죄 같다가 또 바뀌니까 혼란스럽긴 한데 2심 판결이 잘못됐다.
01:51지적한 핵심 논리가 뭡니까?
01:53네, 이 후보 사건 정치인의 표현의 자유와 유권자의 선택권, 어느 쪽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1심과 2심이 엇갈렸습니다.
02:021심은 정치인의 표현의 자유보다 유권자의 판단을 흐리지 않도록 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02:08반면 2심 재판부는 정치인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 무죄를 선고했는데요.
02:14오늘 대법원 결론은 이렇습니다.
02:16정치인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하지만 유권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범위에 한해서만 인정해야 한다는 겁니다.
02:242심 판결 중에 어떤 부분이 잘못됐다고 한 거예요? 잘못됐다고 얘기를 하더군요, 아예.
02:28네, 2심 재판부가 이재명 후보 발언을 잘게 쪼갠 부분에 문제가 있다고 봤습니다.
02:33대법원은 발언 하나하나가 사실인지 거짓인지가 아니라 전체 발언이 어떤 의미로 유권자에게 전달됐는지가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02:432심은 이재명 후보 발언을 잘게 쪼개서 판단했습니다.
02:46김문기 전 처장을 몰랐다와 골프 사진은 조작됐다는 발언을 각각 나누고 이 문장들을 거짓으로 단정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는데요.
02:55반면 대법원은 전체적인 발언 맥락상 김문기 처장과 골프를 치지 않았다는 의미로 유권자가 받아들였을 거라고 봤습니다.
03:05국토부 협박 발언도 2심 재판부는 이재명 후보 발언을 7개로 쪼개서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국토부로부터 용도 변경을 안 하면 직무유기로 문제 삼겠다는 협박을 받았다.
03:16이 발언 자체가 허위라고 판단했습니다.
03:18결국 대법원은 유죄를 선고한 1심에 손을 들어준 건데 1심 때 이재명 후보의 형량이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이었거든요.
03:29이건 유지가 되는 겁니까?
03:30대법원은 유죄를 선고한 최종 법리와 1심 재판부의 판결 논리는 사실상 똑같았습니다.
03:37앞으로 이재명 후보는 파기환송심을 다시 받아야 하는데요.
03:40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1심 재판부가 이재명 후보에게 선고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형과 비슷한 형량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 나옵니다.
03:50일부 감형이 되더라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100만 원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이 후보의 피선거권은 박탈될 수 있습니다.
03:58박탈됩니다.
04:00잘 들었습니다.
04:00안희 기자, 사회부 김정근 기자였습니다.
04:10안희 기자, 사회부 김정근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