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앵커]
판을 읽어봅니다. 정치부 조영민 차장나왔습니다.

Q1. 대선 경선레이스가 시작됐습니다. 그런데 정작 어느 당 할 거 없이 눈은 바깥에 한덕수 권한대행 주시하는 것 같아요.

눈이 가는데에는 이유가 있기 마련입니다.

당 후보가 이렇게 즐비한 국민의힘에서 자꾸 한덕수 소리 나오는 거, 이대로 이길 수 있을까? 라는 불확실성 떄문일 거고요, 민주당이 주시하는 것, 그만큼 신경이 쓰이는 인물이란 반증일 수 있습니다.

전혀 다른 판을 끌고 들어올 수 있는 캐릭터이기 때문이라 봅니다.

Q2. 무슨 판을 이야기하는 거에요?

대선 내내 나올 말이 뭐라고 보십니까?

윤석열, 계엄, 내란, 개헌, 탄핵 같은 온갖 정치 이슈일 겁니다.

그런데 한덕수 등장로 판갈이가 가능할 수 있다는 계산입니다.

정치가 아닌 경제판으로요.

Q3. 보수 진영에서는 경제판으로 바꾸면 유리하다고 보는 거군요.

차기 대통령은 뭘 가장 우선시했으면 좋겠다고 국민들이 답할까요?

최근 여론조사는 그 답이 "먹고사는 문제" 경제 회복이라고 했습니다.

48%의 압도적 수치고요.

국민통합, 민생, 외교, 계엄세력 척결이 뒤를 이었습니다.

'계엄대선' '탄핵대선' 말고 '경제대선' 으로 전장 자체를 바꾸고 싶은데, 한 대행은 가능하다고 보수 진영은 보는 겁니다. 

Q4. 한덕수 대행 본인은 출마 언급이 없는데요.

나간다, 안 나간다 명확치 않은 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죠.

그런데 행보를 보면, 메시지는 일관됩니다.

지난 8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통상문제에 대한 구상을 밝혔고, SNS 글은 물론 회의를 열어도 경제안보전략회의를 열고 현장을 가도 자동차 공장을 방문합니다.

온통 행보는 '경제' 뿐입니다.

정치는 일절 없습니다.

의도적이라 느껴질만큼 치밀한 '경제올인' 행보가 오히려 한 대행 카드의 값어치를 높여주고 있는 셈입니다.

Q6. 그런데 어제 관세 협상 이야기를 하면서 마지막 소명이라고 표현도 했는데요.

그 부분에 정치권은 주목하는데요.

한 대행 주변에서 출마를 권유하고 있는 쪽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한 대행에게 아직 채워지지 않은 하나를 꼽으라면 바로 '명분'이라고요.

그렇게 어렵다면서, 이 시국에 자리 박차고 나와 대통령하겠다는 이유가 뭐냐는 물음에 대한 답말입니다.

트럼프와의 만남을 포함해 이 통상 문제에서 성과를 낸다면, 그것이 곧 명분이 될 수 있다는 게 한 대행 주변 사람들의 말입니다.

전례없는 외교통상 난국에 물꼬를 텄으니 마저 완성하겠다, 국민에게 설득력 가질 정치적 명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Q7. 민주당도 이런 분위기는 알지 않겠어요?

민주당에서 한 대행 지칭하는 말이 '내란공범'입니다.

계엄 혹은 내란에 동조한 사람이라 언급하는 건 경제 판으로 바꾸도록 허락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보이고요.

대행이 관세협상하는 건 쇼라는 공격은 일종의 견제 혹은 김뺴기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뭔가 성과가 나면 안된다는 거죠.

Q8. 국민의힘 경선에는 안들어갔어요.

출마한다면 이 부분이 막판 변수일 수 있습니다.

경선에 참여한 후보들이 서로 물고 물리며 난전을 펴는 동안, 본인은 정치적 명분과 외교적 성과를 만들 시간을 번 것일수도 있지만, 그 때까지 출마 명분을 못 찾거나 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단일화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쉽지 않은 판이 될 수 있습니다.


조영민 기자 ym@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대선 판을 읽어봅니다. 정치부 조용민 차장 나왔습니다.
00:07거대 양당의 대선 경선 레이스가 시작이 되는데 오히려 관심은 정치권에, 오히려 참여하지 않은 한덕수 권한 대응을 향하는 것 같습니다.
00:14눈이 가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기 마련입니다.
00:18당 후보가 이렇게 질비한 국민의힘에서 자꾸 한덕수 소리 나오는 거, 이대로 이길 수 있을까? 라는 불확실성 때문일 거고요.
00:27민주당이 주시하는 것, 그만큼 신경 쓰이는 인물이란 반증일 수 있습니다.
00:34전혀 다른 판을 끌고 들어올 수 있는 캐릭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00:40전혀 다른 판은 무슨 얘기라는 거예요?
00:42대선 내내 나올 것 같은 말, 뭘로 좀 꼽을 수 있을까요?
00:46윤석열, 계엄, 내란, 개헌, 탄핵 같은 온갖 정치 이슈일 겁니다.
00:53그런데 한덕수 등장으로 판가리가 가능할 수 있다는 계산입니다.
00:59정치가 아닌 경제판으로요.
01:02그러니까 보수 진영에서는 경제판으로 바꾸는 게 유리하다고 보는 거나 보죠?
01:06차기 대통령은 뭘 가장 우선시했으면 좋겠다, 국민들이 답했을까요?
01:12최근 여론조사는 그 답이 먹고 사는 문제, 경제 회복이라고 했습니다.
01:1948%의 압도적 수치고요.
01:22국민 통합, 민생, 외교, 계엄 세력 척결이 뒤를 이었습니다.
01:28계엄대선, 탄핵 대선 말고 경제대선으로 전장 자체를 바꾸고 싶은데
01:35한대행은 가능하다고 보는 게 보수 진영의 시각입니다.
01:39그런데 한덕수 대행 본인은 지금 출마에 대해서 전혀 언급이 없지 않습니까?
01:43나간다, 안 나간다 말하지 않고 이 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죠.
01:48그런데 행보를 보면 그 메시지는 일관됩니다.
01:52지난 8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통상 문제에 대한 구상을 밝혔고요.
01:57SNS 글은 물론 회의를 열어도 경제안보전략회의 열고
02:02현장 가도 자동차 공장 방문합니다.
02:05온통 행보는 경제뿐입니다.
02:08정치는 일절 없습니다.
02:10의도적이라 느껴질 만큼 치밀한 경제 올인 행보가
02:15오히려 한대행 카드의 값어치를 높여주고 있는 셈입니다.
02:20그런데 어제 관세 협상 이야기를 하면서
02:23한대행이 마지막 소명이라고 표현을 했거든요.
02:26그 말을 정치권이 굉장히 주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02:30한대행 주변에서 출마를 권유하고 있는 쪽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02:34한대행에게 아직 채워지지 않은 하나가 있다.
02:38그게 바로 명분이라는 겁니다.
02:40쉽게 말해서 그렇게 나라가 어렵다면서
02:43이 시국에 자리 박차고 나와 대통령하겠다는 이유가 뭐냐는 물음에 대한
02:48그 답을 말하는 겁니다.
02:50트럼프와의 만남을 포함해 이 통상 문제에서 성과를 낸다면
02:55그것이 곧 명분이 될 수 있다는 게 한대행 주변 사람들의 말입니다.
03:01전례 없는 외교통상 난국에 물꼬를 터스니
03:05그걸 마저 완성하겠다.
03:07국민에게 설득력 가질 수 있는 정치적 명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03:12민주당도 어쨌건 이런 보수 진영 분위기는 알 거 아니에요?
03:16민주당에서 한대행 지칭하는 말이 내란 공범이 대표적이죠.
03:21계엄 혹은 내란에 동조한 사람이라 언급하는 건
03:24경제판으로 바꾸도록 허락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보이고요.
03:29대행이 관세 협상하는 건 쇼라는 공격은
03:32일종의 견제 혹은 김빼기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3:36실제로 뭔가 성과가 나면 안 된다는 겁니다.
03:40국민의힘 경선에 어쨌건 오늘 안 들어간 걸로 최종 확정이 됐단 말이에요.
03:44이건 어떻게 되는 거예요?
03:44맞습니다.
03:45출마한다면 이 부분이 막판 변수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3:50경선에 참여한 후보들이 서로 물고 물리며 난전을 펴는 동안
03:54본인은 정치적 명분과 외교적 성과를 만들 시간을 번 것일 수도 있지만
04:01그때까지 출마 명분을 못 찾거나
04:04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단일화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04:07쉽지 않은 판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4:09아직 많이 유동적일 것 같습니다.
04:11조영민 차장이었습니다.
04:15고맙습니다.
04:17다음 영상에서 만나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