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4. 15.


[앵커]
한덕수 권한대행을 향한 정치권의 관심은 식지 않고 있는데요.

정치권은 특히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 이후 한 대행의 관세 협상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르면 다음주 미국과의 관세 조정 협상이 시작됩니다.

서주희 기자입니다.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 정책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다음 주 한국과의 협상을 예고했습니다.

베선트는 현지시각 어제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지난 주 베트남, 16일 일본에 이어 다음 주 한국과 협상이 있다"며 "먼저 움직이는 동맹국들에 '선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협상 순서에 한국을 3번째로 언급한 겁니다.

베트남은 미국 무역수지 적자국 3위, 일본은 7위, 한국은 8위에 오른 만큼 무역적자가 큰 국가 순으로 협상이 이어진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현지시각 어제 베선트가 새로운 무역협정에서 영국, 호주, 한국, 인도, 일본을 우선시하고 있다며, 한국을 주요 협상국으로 거론했습니다.

베선트는 어느 나라와 협상이 가장 먼저 타결되겠느냐는 질문에 "그들의 선택"이라며 상대가 제시하는 조건을 따져보겠다는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스콧 베선트 / 미국 재무부 장관 (현지시각 9일)]
"협상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모든 국가의 의견을 들어볼 의향이 있습니다."

우리 정부 측에서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르면 다음주 미국을 방문해 본격적인 관세 협상에 나설 예정입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 후 여러 안건을 한꺼번에 협상하고 싶다는 뜻의 '원 스톱 쇼핑'을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도 "조선 협력과 액화천연가스(LNG) 투자 등 트럼프가 좋아할 분야를 중심으로 대미 기여 방안을 제시할 것" 이라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

영상편집 : 강 민


서주희 기자 juicy12@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보신 것처럼 한덕수 권한대행을 향한 정치권의 관심은 식지 않고 있는데요.
00:05정치권은 특히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 이후 한대행의 관세 협상, 그 성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00:13이르면 다음 주 미국과의 관세 조정 협상이 시작됩니다. 서주희 기자입니다.
00:20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 정책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다음 주 한국과의 협상을 예고했습니다.
00:28베선트는 현지 시각 어제 블룸버그 TV와 인터뷰에서 지난주 베트남, 16일 일본에 이어 다음 주 한국과 협상이 있다며 먼저 움직이는 동맹국들의 선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00:43미국의 협상 순서에 한국을 세 번째로 언급한 겁니다.
00:47베트남은 미국 무역 수지 적자국 3위, 일본은 7위, 한국은 8위에 오른 만큼 무역 적자가 큰 국가 순으로 협상이 이어진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00:58월스트리트 저널도 현지 시각 어제 베선트가 새로운 무역 협정에서 영국, 호주, 한국, 인도, 일본을 우선시하고 있다며 한국을 주요 협상국으로 거론했습니다.
01:11베선트는 어느 나라와 협상이 가장 먼저 타결되겠냐는 질문에 그들의 선택이라며 상대가 제시하는 조건을 따져보겠다는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01:20우리 정부 측에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르면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해 본격적인 관세 협상에 나설 예정입니다.
01:38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 후 여러 안건을 한꺼번에 협상하고 싶다는 뜻의 원스톱 쇼핑을 언급한 바 있습니다.
01:50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도 조선협력과 액화 천연가스 투자 등 트럼프가 좋아할 분야를 중심으로 대미 기여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02:00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
02:01감사합니다.
02:03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