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국이 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대응해 희토류 수출 금지 카드를 꺼내든 것에 대해 '경제 핵전쟁'이라고 밝혔습니다.
석 교수는 오늘(14일) 채널A 뉴스A에 출연해 "중국이 지난해 기준 전세계 희토류의 약 69%를 독점 생산하고 있다"며 "중국에서 미국의 가장 아픈 곳을 면밀하게 계산해 희토류라는 미사일을 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중의 희토류 갈등이 6개월 이상 장기화될 경우, 공급망 경쟁이 벌어져 전 세계에 미치는 타격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석 교수는 "호주나 브라질 등이 희토류를 생산하는데, 중국이 희토류를 통제하면 이 나라들이 (희토류를) 수출하지 않고 비축할 가능성이 크다"며 "가격이 천정부지로 뛰게 돼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에 대한 희토류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미칠 파장도 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러면서 석 교수는 "(한국이 미중 사이에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반도체와 같은 핵심 부품에서 우리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석 교수는 미중의 무역 전쟁이 서로에게 큰 출혈 경쟁이 될 수 있어 오히려 조기에 끝날 수도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우현기 기자 whk@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미중 전쟁이 심상치가 않습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모시고 이야기를 좀 나눠보겠습니다.
00:06중국이 히토류 카드를 꺼내드렸는데 외신에서는 이건 거의 핵전쟁급 비상이다 이런 말을 나오는데 그만큼 심각한 겁니까?
00:14네 그렇습니다. 경제 핵전쟁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00:18그동안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서 무차별적이고 때로는 오락가락한 관세 폭탄을 투여를 했더니
00:26중국에서 미국의 가장 아픈 곳을 면밀하게 계산해서 히토류라는 것에 미사일을 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00:34그래요? 그러면 히토류라는 게 그만큼 미국한테 아픈 거예요?
00:38네 그렇습니다. 히토류라는 것은 스마트폰부터 로봇, 우주선까지 전방위로 사용되고 있는 없어서는 안 된 광물 자원이 되겠습니다.
00:48그것뿐만 아니다 중국이 지난해 기준으로 히토류, 전 세계 히토류 생산량의 약 69%를 독점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00:56중국이 없으면 이 히토류를 구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01:00중국은 히토류뿐만 아니라요. 흑연도 2차 전지 핵심 광물이 흑연 역시 독점적으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01:06그동안의 선진국들이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이런 핵심 광물 자원들을 확보하고 개발하는 것을 소홀히 했던 대가를 지금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다.
01:16반면에 중국은 자국에 있는 핵심 광물 자원뿐만 아니라 제3세기에 있는 광물 자원의 개발권까지 착실하게 확보해왔던 그 이점을 누리고 있다.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01:28그러면 빨리 안 끝나겠네요? 이 미중 전쟁이 지금 이렇게까지 되면?
01:32네. 지금 보시면 중국에서요. 미국의 가장 아픈 곳을 정밀 타격한 걸 보면 그만큼 본인들도 피해를 상당히 보고 있기 때문에
01:41미국에도 가장 아픈 피해를 줘서 좀 빠르게 이 관세 전쟁을 갖다가 종료하고 싶다라는 것을 지금 의도하고 있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01:51그래서 지금 중국 같은 경우도요. 미국의 관세 장벽을 높이면 상당히 지금 디플레이션이 두 달 연속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하락을 하고 있기 때문에
02:00많이 생산된 제품을 미국에 수출하지 않고서는 국내에서 소화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02:05반면에 미국은 히토류가 반드시 필요하죠.
02:07그렇기 때문에 두 나라가 상당히 피해를 보고 있어서 조기에 관세 전쟁을 종료하기 위해서 이런 카드를 내밀고 있다.
02:14그래서 의외로 무역 전쟁은 조기에 끝날 수도 있다. 저는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02:18오히려 그렇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이게 문제는 두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잖아요.
02:23전 세계적으로 타격이 있을 거고 특히 우리나라도 타격이 있겠죠?
02:26네, 당연히 그렇습니다. 지금 중국이요. 일단은 전면 수출 통제를 한 것이 아니고요.
02:32수출을 할 때 자신의 허가를 받아야 된다라고 하면서 점진적으로 수출 물량을 통제하려고 하는데요.
02:39우리나라 같은 경우도 중국 히토류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02:42당장 현대차 같은 경우는 모터와 배터리 부품에도 들어가고요.
02:47그다음에 디스플레이에도 히토류가 필요합니다.
02:49그다음에 삼성전자 스마트폰에도 들어가고요. SK 배터리에도 들어갑니다.
02:53그런데 우리 정부는 6개월치 히토류를 비축을 하고 있기 때문에
02:57만약에 이 사태가 장기화돼서 비축 물량이 다 소진된다든지 할 경우에는
03:02당연히 우리 기업들도 피해를 보고요. 우리나라도 피해를 보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03:076개월 전에는 끝나야 되네요.
03:10그렇게 보고 있는데요. 6개월 안에 만약에 끝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서는요.
03:14히토류를 생산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이 있습니다.
03:17예를 들면 미국도 히토류를 생산하고 있고 호주 그다음에 브라질 등이 히토류를 생산하는데
03:22문제는 이런 곳에서 히토류를 수입하고자 하더라도요.
03:26중국이 히토류를 통제하고 있으면 이 나라들도 당장 자기들의 히토류를 수출하지 않고
03:32비축하고자 할 가능성이 큽니다.
03:34그럼 히토류 가격이 천정부지로 뛰니까 이것도 쉽지 않아서
03:37좀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03:40마지막 질문으로 이게 좀 장기화될 경우 우리가 선택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03:44지금 미국 관세도 협상이 어려운데 미국과 중국이 서로 누구를 선택할 거냐
03:48이런 걸 저희에게 압박할 가능성은 없습니까?
03:50충분히 그럴 가능성이 저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03:53왜냐하면 중국이 우리에게 히토류라는 것을 목숨줄 같은 핵심 광물 자원을 쥐고 있기 때문에
04:00미국과 중국 중에서 어느 쪽에 편을 들 것이냐 하고 선택의 문제를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04:06그러면 우리는 미국에게 안보를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요.
04:11그 상황에서 어떠한 선택을 해야 될지가 중요하고요.
04:14그럴 경우에 우리의 협상력을 높이는 방법은 결국은
04:17반도체 같은 핵심 부품에서 우리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04:22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04:23복잡해지네요. 지금까지 석병원 교수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04:26감사합니다.
04:27감사합니다.
04:41감사합니다.
04:42감사합니다.
04:43감사합니다.
04:44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