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국 관세 공세가 애플이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게 할 수 있다고 보지만 전문가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실제로 애플은 트럼프 관세를 피해 인도에서의 아이폰 생산량을 대폭 늘리고 전세기를 이용해 긴급 공수에 나섰습니다.
김잔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제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대체로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제품으로 자국 내 생산 체계를 구축하는 데 상당 기간이 필요한 품목들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정책을 통해 미국에서 아이폰이 생산되도록 하겠다는 뜻을 뚜렷이 밝히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다.
월스트리트의 유명 분석가인 댄 아이브스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되면 가격이 약 3천500달러, 512만 원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메이 유안 / 싱가포르경영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 (아이폰) 어떤 모델들은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생산이 미국으로 이전돼야 할 수도 있어요. 그런 모델들은 엄청나게 비싸질 거고, 다른 나라의 소비자들도 영향을 받게 되겠죠.]
이에 미국뿐 아니라 유럽 등 세계 곳곳에서 관세 부과 전 아이폰 사재기 현상도 보이고 있습니다.
[프란체스카 지오바넬리 / 이탈리아 로마 시민 : (아이폰) 가격은 이미 꽤 높아요. 신문에서는 2,300유로(372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하더군요. 그 정도면 많은 이탈리아 사람들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생각해요.]
이런 가운데 애플이 지난 1년간 아이폰 생산의 대부분을 담당하던 중국 비중을 줄이고 인도에서의 생산량을 급격하게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애플이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 물량은 총 220억 달러, 약 31조 원어치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6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인도 생산 비중을 약 20%로 늘린 것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이후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아이폰 수출이 급증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애플이 지난달부터 상호관세 부과를 피해 전세기 6대를 동원해 아이폰 약 150만대를 인도에서 미국으로 긴급 공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상호관세 예외 품목으로 스마트폰이 지정됐지만, 중국... (중략)
YTN 김잔디 (jandi@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3195959246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실제로 애플은 트럼프 관세를 피해 인도에서의 아이폰 생산량을 대폭 늘리고 전세기를 이용해 긴급 공수에 나섰습니다.
김잔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제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대체로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제품으로 자국 내 생산 체계를 구축하는 데 상당 기간이 필요한 품목들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정책을 통해 미국에서 아이폰이 생산되도록 하겠다는 뜻을 뚜렷이 밝히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다.
월스트리트의 유명 분석가인 댄 아이브스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되면 가격이 약 3천500달러, 512만 원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메이 유안 / 싱가포르경영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 (아이폰) 어떤 모델들은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생산이 미국으로 이전돼야 할 수도 있어요. 그런 모델들은 엄청나게 비싸질 거고, 다른 나라의 소비자들도 영향을 받게 되겠죠.]
이에 미국뿐 아니라 유럽 등 세계 곳곳에서 관세 부과 전 아이폰 사재기 현상도 보이고 있습니다.
[프란체스카 지오바넬리 / 이탈리아 로마 시민 : (아이폰) 가격은 이미 꽤 높아요. 신문에서는 2,300유로(372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하더군요. 그 정도면 많은 이탈리아 사람들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생각해요.]
이런 가운데 애플이 지난 1년간 아이폰 생산의 대부분을 담당하던 중국 비중을 줄이고 인도에서의 생산량을 급격하게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애플이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 물량은 총 220억 달러, 약 31조 원어치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6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인도 생산 비중을 약 20%로 늘린 것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이후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아이폰 수출이 급증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애플이 지난달부터 상호관세 부과를 피해 전세기 6대를 동원해 아이폰 약 150만대를 인도에서 미국으로 긴급 공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상호관세 예외 품목으로 스마트폰이 지정됐지만, 중국... (중략)
YTN 김잔디 (jandi@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3195959246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공세로 애플의 아이폰 가격이 폭등할 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죠. 애플이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도 역시 마찬가지 결과가 전망되는데 실제로 애플은 트럼프 관세를 피해서 인도에서의 아이폰 생산량을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잔디 기자의 보도입니다.
00:22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제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00:28대체로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제품으로 자국 내 생산 체계를 구축하는 데 상당 기간이 필요한 품목들입니다.
00:37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정책을 통해 미국에서 아이폰이 생산되도록 하겠다는 뜻을 뚜렷하게 밝히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다.
00:46월스트리트의 유명 분석가인 댄 아이부스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되면 가격이 약 3,500달러, 512만 원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00:58이에 미국뿐 아니라 유럽 등 세계 곳곳에서 관세 부과 전 아이폰 사들기 현상도 보이고 있습니다.
01:18이런 가운데 애플이 지난 1년간 아이폰 생산의 대부분을 담당하던 중국 비중을 줄이고 인도에서의 생산량을 급격하게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1:41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애플이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 물량은 총 220억 달러, 약 31조 원어치에 달했습니다.
01:52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6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인도 생산 비중을 약 20%로 늘린 것입니다.
01:58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이후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아이폰 수출이 급증했습니다.
02:08로이터통신은 애플이 지난달부터 상호 관세 부과를 피해 전 세계 6대를 동원해 아이폰 약 150만 대를 인도에서 미국으로 긴급 공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02:17상호 관세 예외 품목으로 스마트폰이 지정됐지만 중국의 애초에 부과한 20% 관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여 인도산 제품의 가격 우위가 계속되는 만큼 앞으로도 인도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02:31YTN 김잔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