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오세훈, 대선 출정식 하루 전 돌연 불출마 선언
오세훈 불출마… 한덕수 차출론 영향? 명태균 리스크?
'불출마' 오세훈 지지층… 누가 흡수?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오세훈 서울시장의 불출마로 국민의힘 경선은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 아니냐.
00:09그에 반해 민주당은 판 굳히기에 들어간 것 아니냐 하는 전망을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0:15먼저 오세훈 서울시장의 목소리부터 듣고 오죠.
00:30나 아니면 안 되라는 오만이 횡행해서 우리 정치가 비정상이 됐는데 평생 새로운 정치, 정치개혁을 외쳐온 저로서 저마저도 같은 함정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00:49김기응 대변인께서는 오 시장의 불출마를 예상하셨습니까?
00:52실은 좀 생각은 못했습니다. 생각은 못했는데 저는 출마 선언을 할 거면 지난주 수요일이나 목요일날 해야 된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01:03왜냐하면 지금 국민의힘 지지자들 중에 적지 않은 분들이 뭔가 이렇게 허한 마음이 있거든요.
01:10그래서 뭔가 빨리 뭔가 입장을 정해야 하면 그리고 오세훈 시장의 장점은 뭐냐면 확장성입니다.
01:19그렇기 때문에 확장성이 되기 전에 뭔가 본인이 깃발을 들어야지만 거기에서 경선을 통해서 메시지와 여러 일정을 통해서 확장이 되는 거거든요.
01:28그런 측면에서 제가 봤을 때 수요일날 목요일 늦어도 그 정도 해야 되는데 제가 좀 알아보니까 일요일날 한다고 그러더라고요.
01:34원래 오늘이었어요.
01:35그래서 제가 볼 때는 이른바 종결 욕구라는 게 있습니다.
01:40수산할 때는 좀 큰 소리 그리고 확실한 어떤 방향성 제시 이런 게 소위 먹히는데
01:45이런 부분에 있어서 전략적으로 그게 좀 아니지 않느냐 그런 얘기를 했을 때
01:49오세훈 측 거기에 계신 분들이 뭐냐면 대통령이 파면이 됐기 때문에 곧바로 나도 나도 이렇게 손들고 나오는 그 모양새가 좋지 않다.
02:00그래서 숙고하고 뭔가 반성과 책임의 어떤 시간이 필요하다 그렇게 생각을 했는데
02:05그 책임과 반성의 시간이 굉장히 길어지고.
02:09그렇기야 이번에는 나오지 않는 것으로 이렇게 말씀을 하셨는데
02:12서울시장이라는 어떤 그 무게감 그 부분이 없지 않아 저는 작용을 한 것 같습니다.
02:19구장 부장님.
02:20그러니까 지금 와서 돌이켜보니까 고민이 길어진 이유가 있었던 것 같아요.
02:24뭔가 불출마를 한 배경이 뭐라고 보세요?
02:27일단 시장직을 그만두고 출마했을 때는 반드시 대통령이 돼야 되는 거 아니겠습니까?
02:34시장직을 포기할 만큼 중요한 일이라면.
02:37그런데 지금 불확실성이 굉장히 커지는 겁니다.
02:40지금 시장직도 잃고 잘못하면 대선도 잃게 되는 거 아니냐.
02:44이런 경우에는 오히려 자기를 헌신해서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를 하자.
02:50오세훈 시장으로서는 정치를 좀 길게 보고 이번에는 불출마를 선택한 것 같습니다.
02:54왜냐하면 지금 개인 오세훈의 대통령 당선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02:59계엄과 탄핵으로 흐트러진 국정을 안정시켜달라는 것이 지금 국민의 요구고
03:05서울시민의 요구인데 이게 내가 적임자인지 아니면 나 아닌 다른 사람이 나서서
03:12지금 흐트러진 국정을 바로잡는 것이 좋은지.
03:15한 가지 이건 제 뇌피셜인데요.
03:17한덕수 대행이 뜨면서 오세훈 시장의 고민이 깊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03:21왜냐하면 두 사람은 굉장히 공통점이 많습니다.
03:27강한 리더십보다는 부드러운 리더십이고요.
03:29그다음에 안정적으로 행정을 이끌어온 경험이 있습니다.
03:33그렇기 때문에 이번 계엄과 탄핵 국면을 수습할 수 있는 적임자로
03:38여당 지지층 내에서는 각광을 받고 있었거든요.
03:41그런데 오시장 입장에서 볼 때는 나 아니면 안 되라는 생각을 하고 있던 찰나에
03:45나 아니어도 한덕수 대행이 만약에 출마를 결심한다면
03:49내가 할 수 있는 역할보다 더 잘할 수 있는 사람이 나올 수도 있겠구나.
03:54그러니 내가 자리를 비켜줘야겠다.
03:56이런 전략적 선택과 고민을 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04:00앞으로 지켜봐야겠습니다만 오 시장의 저 불출마가
04:04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그리고 63대선 국면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
04:10좀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04:12장 변호사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04:13민주당 쪽에서는 보는 시각이 좀 다를 것 같은데.
04:16일단 대선 주자로서 누군가에게 양보한다는 정치적 선택을 한다는 건
04:20저는 좀 동의하기는 어렵고요.
04:22권력 의지가 엄청 충만한 사람들이 이 자리까지 온 거 아니겠습니까?
04:25아마 현실적인 여건을 많이 생각했을 겁니다.
04:28지금 5월 3일이 되면 서울시장직을 던져야 되고
04:32국민의힘의 내부 경선을 보면 4인이 선출되고
04:364위 안에는 오세훈 시장이 들어갈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전망이 되는 상황이었죠.
04:41그럼 그 시점에는 서울시장직을 던져야 되는데
04:43대선을 이번 국면에서 보수 정당이 승리하기를 장담하기는 쉬운 국면은 아닙니다.
04:49그러니까 짚어주신 대로 서울시장직을 버리고 대선에서 실패하는 그런 카드를 쓸 것인가.
04:54더더군다나 당에 대해서 상당히 문제 제기를 많이 했거든요.
04:58일주일 동안 당의 모습은 상당히 실망스럽다는 거였는데
05:01거기에는 한덕수 카드에 대한 어느 비토적인 심정이 저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05:05한덕수 총리는요.
05:07국민의힘 인사가 아닙니다.
05:08정무적인 그리고 선출된 직에 있었던 적도 없고 검증을 받지 못했는데
05:12필요에 의해서 갑자기 급부상하는 부분이
05:15기존 주자들에게 어떻게 와닿는지에 대해서
05:18저는 오세훈 시장의 말로 드러났다고 생각합니다.
05:21여론조사 자료를 좀 보도록 하겠습니다.
05:25오세훈 서울시장이 불출매를 선언하기 전에
05:27나왔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를 보면
05:31오세훈 서울시장 2%의 지지율을 받았는데
05:34한덕수 국무총리 안철수 의원 그리고 이준석 의원과 동료리였습니다.
05:40이제 그다음 또 여론조사 있나요?
05:42이번에는 김문수 전 장관이 대선 후보 선호도에서는
05:49국민의힘 내부에서 1등을 달리고 있었던
05:52그 당시에 오세훈 서울시장 14%로
05:54홍준표 대구시장과 동료를 이루는 여론조사도 있었습니다.
05:58그런데 오세훈 시장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06:02경선에서 빠지면서
06:04그러면 오세훈 시장이 받고 있던 저 지지율은
06:07다 어디로 흡수될 것이냐가 궁금한 포인트가 될 겁니다.
06:12먼저 제가 박창진 부대변인께 여쭤보고 싶은 건
06:16민주당에서는 제가 알기로
06:19오세훈 시장이 만약에 국민의힘 후보가 되면
06:22상당히 껄끄러울 것 같다는 기류가 있었던 걸로 저는 알고 있었습니다.
06:26왜냐하면 중도 확장 공략 포인트가 있으니까요.
06:29그럼 오세훈 시장이 이제 낙마를 하면서
06:32이 지지율은 어디로 흡수될 거다 이렇게 예상하십니까?
06:35일단 저희 당은 국민의힘의 후보에
06:40자지우지하는 그런 어떤 대통령 선거를 바라보는 시각은 없다라는 말씀을 드리겠고요.
06:47저희의 능력으로 국민에게 인정받겠다라는 자세로 임하고 있다라는 말씀을 우선 드리겠습니다.
06:54제가 국민의힘 경선과 관련돼서
06:56왈갑불가할 처지에 있지는 않지만
06:59오세훈 시장은 이미 시민과 서울시민으로부터 불신임을 받으신 걸로 알고 있고
07:06그 이력은 이번에 토어제로 인해서
07:11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여줬던 측면이 있는 것이고요.
07:16아울러 국민으로부터 신뢰도 좀 많이 상실한 면이 있지 않나라는 객관적인 사실이 있습니다.
07:21잘 아시다시피 여전히 명태균 게이트에 대한 의혹이 살아있는
07:26그 측면을 고려한 도망자의 변명 아닌가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봅니다.
07:32알겠습니다. 김대변인 말씀 좀 들어볼까요?
07:34어디로 흡수화될까?
07:36이게 지금의 국민의힘 지지자나 보수 중도의 마음은 뭐냐면
07:42이기는 후보가 내 후보다 그런 마음이 있습니다.
07:45그래서 이길 수 있는 후보가 누구냐 했을 때
07:48오세훈 시장의 가능성이 좀 크게 봤죠.
07:51왜냐하면 국민의힘 지지자, 전통적인 지지자분들이
07:54지금은 김문수, 홍준표가 될 수 있지만
07:58실질적으로 중도의 마음을 할 수 있기 때문에
08:01어떻게 보면 앵커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08:03민주당이 껄끄러운 사람, 어떻게 보면
08:05결국 본성 경쟁력이 강한 사람은 오세훈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08:09그런데 그렇기 때문에 역으로 본다면
08:12오세훈이 아니었을 때 누구든지 갈 수도 있습니다.
08:16그 사람이 1등을 하고 본성 경쟁력이 있다면
08:19그래서 저는 오세훈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08:22어떤 충성도가 굉장히 높다, 그렇긴 덜하기 때문에
08:25특정한 그룹이 어떤 사람한테 다 가지는 않을 겁니다.
08:29그런데 경선 과정에서 이 사람이 우리 전통적인 지지 말고도
08:35본선에서의 어떤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한다면
08:39분명히 그쪽으로 저는 옮겨 탄다고 봅니다.
08:42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모든 후보들한테 가능성은 있다.
08:45이렇게 봅니다.
08:47아까 화면에 잠깐 지나갔었던 주자들의 반응에 대한 그림이 있었는데
08:51지금 다시 보면 오세훈 시장이 불출마를 선언하자
08:54김문수 전 장관 안타깝지만 존중한다.
08:58나경원 의원 충정에 존경한다.
09:00안철수 의원은 숙연하고 깊은 울림이 있다.
09:04그런데 안철수 의원의 저 메시지가 저는 눈에 띄던 게
09:08구 부장님,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기회주의적인 계산이다, 이런 비판도 했어요.
09:14이거 약간 좀 상충되는 메시지를 낸 것 같아서
09:18이거 어떻게 우리가 해석해야 될까요?
09:19그러니까 시차가 있는 것 같습니다.
09:22그러니까 오 시장에게 비판적인 메시지를 낼 때는
09:25출마 가능성이 있을 때였고요.
09:27그랬군요.
09:27출마를 포기하고 나자 오 시장의 지지층을 흡수해야 되니까
09:31급히 모두를 전환해서 숙연하다, 충정을 이해한다
09:35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는데요.
09:36오 시장의 불출마로 인해서 덕을 볼 수 있는 사람은 3명이 있습니다.
09:40나경원 그리고 안철수, 유승민 3명인데요.
09:45이 3분은 대선 후보로는 거론이 됐지만
09:47빅4, 이른바 4명으로는 거론이 안 됐던 분이거든요.
09:51그런데 오 시장이 빠진 것을 흡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는
09:55빅4로 본 예선에 출마할 가능성이 생겼기 때문에
09:59새 후보로서는 어떻게든지 오 시장과 가깝고
10:03오 시장의 뜻을 계승하겠다는 얘기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10:06그런데 나경원 의원이랑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은
10:09약간 결이 좀 다르지 않나요?
10:11결은 다른데요.
10:12나경원 의원은 어쨌든 서울에서 오랫동안 정치를 해온 분이기 때문에
10:16이미지나 아니면 지금까지 어떤 정치 행보로 봤을 때
10:20꼭 탄핵만 놓고 보면 좀 결이 다를 수 있다고 볼 수 있지만
10:23오 시장의 어떤 정치 행로와 견주어 봤을 때는
10:27오 시장의 지지층도 나경원 의원이 어느 정도 흡수가 가능하지 않을까
10:31이렇게 예상이 됩니다.
10:32네, 한편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입장에 섰던
10:36김문수 전 장관과 나경원 의원은 연대 행보에 나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0:41햄버거집에서 같이 청년 간담회를 가진 건데요.
10:44장 변호사님은 이 모습 어떻게 보셨어요?
10:46일단 두 주자의 공통점은 이번 탄핵 국면에서
10:50탄핵에 상당히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라는 거고
10:53김문수 전 장관 같은 경우에는 이른바 꼿꼿 문수로
10:57국무위원들 중에 이런 개헌 국면과 관련해서
10:59사과를 하지 않은 모습으로 당원들의 결집을 이뤄냈기 때문에
11:02상당히 중첩되고 교집합이 있다라고 할 것입니다.
11:05그렇기 때문에 4인 경선 그리고 나중에 2인 결선으로 가는 관계에서
11:10두 사람은 어느 단계에는 어쨌든 힘을 모을 수밖에 없다라는
11:14그런 공감대를 일단 이 자리에서 확인했다라고 보여지고요.
11:17그렇다면 이른바 정치적인 이합 집사니
11:20국민의힘 내부 경선 과정에서도 좀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하겠습니다.
11:24장 변호사님께서 이제 공통점을 탄핵 반대파라고 짚어주셨는데요.
11:29김대변님 이 두 분이 나중에 연대를 하거나 단일화를 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11:34일위적인 연대 단일화는 할 필요는 없습니다.
11:39왜냐하면 4인이 들어가든 2인이 들어가든
11:42두 분이 두 명이 동시에 다 2인으로 결승에 오를 가능성은
11:47저는 희박하다고 보거든요.
11:48그렇다면 4인에 들었을 때 그리고 2인에 들었을 때
11:52자연스럽게 단일화의 효과는 저는 있을 것 같고요.
11:55그런 측면에 있었을 때 저는 대통령에 대한 이른바 윤심이 있다면
12:00그 윤심과 탄핵 반대의 어떤 교집합이 있는 건 맞는데요.
12:04어떤 단일화의 효과와 연대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12:07약간의 동종교배라고 할까요?
12:10뭔가 좀 이질적인 면이 있는 게 확장성을 갖는 면이 있기 때문에
12:14제가 볼 때는 김문수 전 장관이나 나경원 의원 같은 경우는
12:18아마 좀 다른, 본인들과의 또는 색깔이 다른 분들과의
12:22어떤 모임도 회동도 좀 이어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12:26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은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에
12:30한남동 관절을 떠나서 서초동 사저로 옮겼습니다.
12:34사저로 복귀하는 모습이 또 이슈가 됐었는데요.
12:37일각에서는 사저 정치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라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12:40구 부장님.
12:41네, 글쎄요. 사저 정치를 하실 가능성도 있어 보이긴 합니다만
12:45과연 그것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지는 좀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12:50왜냐하면 어쨌든 계엄으로 인해서 대통령직에서 파면당한 대통령이기 때문에
12:56호불호를 떠나서 그거에 대한 국민적 평가는 어느 정도 나온 것으로 보여집니다.
13:01다만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국민의힘 후보로 대통령이 됐기 때문에
13:06친윤만으로는 이번 63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지만
13:10친윤을 배제하고는 또 63대선에서 승리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13:15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는 두겠지만
13:18윤석열 대통령과의 불가근 불가원 원칙을 견제하면서 63대선을 대비하지 않을까
13:25과연 사저에서 어느 정도 메시지를 낼지는 좀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