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지난 1일 오전 강원도 원주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헬기계류장. 산불 진화 작업을 마치고 돌아온 '초대형 진화 헬기' S-64의 세척 작업이 한창이었다. S-64는 국내 도입된 산불 진화용 헬기 중 최대 담수량을 자랑한다. 4500마력의 엔진 2개를 장착한 S-64는 8000L의 물을 담고 최고 시속 213㎞의 속도로 날아갈 수 있다.
 
고압 분사 장비를 통해 고층 건물이나 바위가 많은 산불 현장에 직분사가 가능하다. 조종석에서 직접 물의 분사량·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전용 취수관(스노클·Snorkel)으로 40초 만에 물탱크를 가득 채울 수 있다.  
 
김정길 산림청 항공안전과장은 “S-64는 다른 헬기보다 담수량이 최대 12배 이상 많아 큰불이 나면 상당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 헬기는 지난달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지리산국립공원을 오가며 산불을 진화했다.
하지만 S-64는 국내에 단 7대뿐이다. 이 중 2대는 정비하느라 이번 경북 산불에 투입하지 못했다.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50대) 중 절반이 넘는(29대) 주력 헬기(KA-32)도 8대가 개점휴업 중이다.  
 
미국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헬기 제조사(쿠메프)를 제재 대상 기업으로 등재하면서다. 쿠메프가 제조한 부품을 우리나라가 수입하려면 미국 특별 허가가 필요하지만, 미국 정부는 한국의 허가 요청을 2023년 거부했다.  
 
김원진 산림청 항공정비과 검사관은 “KA-32는 각각 25시간·50시간·100시간 운행하면 안전 예방 점검을 한다”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로터 블레이드 등 부품 수급이 어려워 정비 작업이 지연되는 상황...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181?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글자막 by 한효정
00:30한글자막 by 한효정
01:00한글자막 by 한효정
01:29한글자막 by 한효정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