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현직 대통령으로선 처음으로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끊임없이 이의 절차를 제기하고 있다. 
 
지난 15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체포될 당시 “법이 무너졌다”고 말한 윤 대통령은 체포적부심사를 신청했지만 16일 서울중앙지법은 이를 기각했다. 앞서 윤 대통령의 변호인단은 체포영장 이의신청(5일), 정계선 헌법재판관 기피신청 및 헌법재판소 변론기일 이의신청(13일)을 꾸준히 냈고, 법원과 헌재는 이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같은 모습을 두고 여권에선 “윤 대통령이 싸우는 윤석열, 탄압당하는 윤석열의 모습을 보여줘 지지자를 결집하려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기각될 가능성이 큰 걸 알면서도 계속 한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 측 인사는 “오랜 기간 법을 다뤄온 윤 대통령도 이같은 이의 신청이 향후 재판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걸 안다”면서도 “그냥 당하는 모습을 보여줄 순 없지 않으냐”고 했다. 
 
윤 대통령은 탄핵소추 뒤 약 43일간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머물 때도 ‘싸우는 윤석열’ 메시지에 집중했다. 탄핵소추 전인 지난달 12일 대국민 담화를 시작으로 지난 1일 관저 앞 지지자들에게 보낸 서신에서도 윤 대통령은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윤 대통령의 ‘관저 정치’는 상당 부분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의 정당 지지율이 더불어민주당에 앞서는 등 계엄 직후와는 정반대의 여론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보수 성향 인터넷 언론사가 의뢰한 여론조사에선 윤 대통령 지지율이 30~40%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8258?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