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전 직전까지 치달았던 인도와 파키스탄이 무력 충돌 사흘 만에 미국 등의 중재로 극적인 휴전 합의를 이뤘습니다.
A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외교부 장관은 현지 시간 10일 SNS를 통해 "파키스탄과 인도는 즉시 발효되는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어 "파키스탄은 주권과 영토 보전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이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위해 항상 노력해 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장관도 양국의 휴전 합의를 확인하면서 "인도는 모든 형태의 테러리즘에 대해 타협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두 나라가 휴전에 합의한 것은 무력 충돌이 벌어진 지 사흘 만입니다.
인도는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총기 테러에 대한 보복이라며 지난 7일 파키스탄 9곳에 미사일 공격을 전격 감행했습니다.
이후 양국은 드론 등으로 상대국 군사 시설을 공격했으며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을 사이에 두고 포격을 주고받아 민간인 수십 명이 숨졌습니다.
이뿐 아니라 인도의 군사 작전에 대한 직접 대응으로 파키스탄이 인도의 미사일 저장 시설과 공군기지 등을 공격하면서 전면전 우려가 확산했습니다.
두 나라는 현지 시간 10일 오후 양국이 상대국이 도발을 중단하면 공격을 중단하겠다며 자제하는 입장을 보인 뒤 휴전에 합의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이 각각 한 번씩 상대국에 대한 보복 공격을 단행한 만큼 휴전을 위한 명분이 마련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제 사회의 중재도 두 나라의 휴전 합의에 촉매가 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의 중재로 이뤄진 긴 협상 끝에 인도와 파키스탄이 '전면적이고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음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두 국가가 상식과 지혜를 발휘한 것을 축하한다"고 전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도 양국 당국자들과 직접 만나 휴전과 확전 자제를 촉구했고, 중국도 양국에 자제를 요청해왔습니다.
두 나라의 충돌은 지난달 22일 분쟁지인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카슈미르 무장세력에 의한 총기 테러로 26명이 숨진 것이 도화선이 됐습니다.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510225329644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A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외교부 장관은 현지 시간 10일 SNS를 통해 "파키스탄과 인도는 즉시 발효되는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어 "파키스탄은 주권과 영토 보전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이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위해 항상 노력해 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장관도 양국의 휴전 합의를 확인하면서 "인도는 모든 형태의 테러리즘에 대해 타협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두 나라가 휴전에 합의한 것은 무력 충돌이 벌어진 지 사흘 만입니다.
인도는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총기 테러에 대한 보복이라며 지난 7일 파키스탄 9곳에 미사일 공격을 전격 감행했습니다.
이후 양국은 드론 등으로 상대국 군사 시설을 공격했으며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을 사이에 두고 포격을 주고받아 민간인 수십 명이 숨졌습니다.
이뿐 아니라 인도의 군사 작전에 대한 직접 대응으로 파키스탄이 인도의 미사일 저장 시설과 공군기지 등을 공격하면서 전면전 우려가 확산했습니다.
두 나라는 현지 시간 10일 오후 양국이 상대국이 도발을 중단하면 공격을 중단하겠다며 자제하는 입장을 보인 뒤 휴전에 합의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이 각각 한 번씩 상대국에 대한 보복 공격을 단행한 만큼 휴전을 위한 명분이 마련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제 사회의 중재도 두 나라의 휴전 합의에 촉매가 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의 중재로 이뤄진 긴 협상 끝에 인도와 파키스탄이 '전면적이고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음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두 국가가 상식과 지혜를 발휘한 것을 축하한다"고 전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도 양국 당국자들과 직접 만나 휴전과 확전 자제를 촉구했고, 중국도 양국에 자제를 요청해왔습니다.
두 나라의 충돌은 지난달 22일 분쟁지인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카슈미르 무장세력에 의한 총기 테러로 26명이 숨진 것이 도화선이 됐습니다.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510225329644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전면전 직전까지 치달았던 인도와 파키스탄이 무력 충돌 사흘 만에 미국 등의 중재로 극적인 휴전 합의를 이뤘습니다.
00:08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외교부 장관인 현지시간 10일 SNS를 통해 파키스탄과 인도는 즉시 발효되는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00:20자이샨카르 인도 외무장관도 양국의 휴전 합의를 확인하면서 인도는 모든 형태의 테러리즘에 대해 타협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해왔고
00:29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00:32두 나라가 휴전에 합의한 것은 무력 충돌이 벌어진 지 사흘 만입니다.
00:37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SNS인 트루스 소셜을 통해 미국의 중재로 이뤄진 긴 협상 끝에
00:44인도와 파키스탄이 전면적이고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음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00:49두 국가가 상식과 지혜를 발휘한 것을 축하한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