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주 안에 의약품 품목별 관세 발표"
韓 의약품, 美 수출 규모 약 5조 5100억 원 규모
美 상무부, 수입 의약품 안보영향 조사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이 또 이번에는 의약품 품목 관세를 새로 또 꺼내들었습니다.
00:30자 의약품의 품목 관세를 일주일 안에 결정해서 발표하겠다 이 얘기를 한 건데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들이 있죠 셀트리온 삼성 바이오로직스 그리고 SK바이오팜 전부 다 복제약 복제약을 만들어서 미국에 파는 굉장히 큰 시장을 지금
00:58차지하고 있는 기업들인데 우리 이 제약 기업들이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요?
01:02네 일단은 관세 부과가 되면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거 아니면 관세 부과 대상이 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됩니다.
01:13왜냐하면 의약품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미국 현지 생산 기지를 구축한 곳이 없다라고 봐야 되기 때문에 1차적으로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이고요.
01:23이에 따라서 우리 정부가 이번 관세가 불필요하다라는 기본적인 입장을 미국 측에 전달을 하긴 했습니다.
01:30하지만 이게 영향이 있을지는 사실 미지수입니다.
01:35왜냐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물론 영화 관세 같은 건 철회를 살살 철회하는 입장을 보였지만 의약품 관세는 예정대로 강행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01:44이거는 원래 의약품은 지난달에도 얘기가 계속 나왔던 분야잖아요.
01:49의약품에도 관세를 매길 것 같다라고 우리도 얘기를 했었고 그렇죠?
01:53잘 보셨습니다.
01:55취임 초반부터 관세 정책을 추진할 때 빠지지 않고 거론됐던 게 반도체와 자동차와 함께 의약품이었습니다.
02:04지금까지는 여러 조사 단계를 거쳐서 지금 트럼프 대통령이 시일까지 정해놓고 관세 부과를 발표하겠다고 얘기한 거를 보면 거의 다 정한 것 같습니다.
02:14지금 예상된 걸로는 최소한 25%, 자동차 관세의 25% 플러스 알파까지도 관세율이 부과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니까
02:24저거는 우리 측에서도 최대한 대비를 해야 될 것 같고요.
02:28사실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에 의약품 제조를 활성화하기에 행정명의에 서명한 걸 보면
02:35사실 관세 부과는 예정된 수순이었다.
02:38이렇게 봐야 될 것 같습니다.
02:39그런데 그때 우리가 걱정하던 때만 해도 우리가 미국과 어떤 실질적인 협상 자체도 못하고 있을 때 우리가 걱정을 했었던 거고
02:47우리 협상단도 이제 미국에 왔다 갔다 하고 있고 그러면 뭔가 좀 진전이 있지 않을까
02:53이것도 또 오락가락하는 트럼프 입장에서 엄포는 아니었을까 혹시 또 이런 기대를 제가 하게 되네요.
03:00엄포일 수도 있죠.
03:01오락가락 행보를 가리지 않고 지금 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 일정 특정 국가라든지 혹은 의약품 안에서도 특정 품목에 대해서는
03:10예외라든지 관세율이 확기적으로 낮아진다라든지 그런 예외 조치는 나타날 수 있겠지만
03:17일단 트럼프의 특성상 발표는 하고 그다음에 상황을 보고 조율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03:24백악관 참모진들이 좀 어떻게 또 이거는 말릴 가능성은 없습니까?
03:29그 영화관세 즉흥적으로 했던 것처럼
03:30의약품 관세는 그래도 상당 부분 준비가 돼 있는 품목 중에 하나라고 보기 때문에
03:35일단은 강행이 될 것 같습니다.
03:38알겠습니다.
03:38뭐 이미 예고됐던 분야이기 때문에 우리도
03:42정부나 기업 측에서 어느 정도 보이지 않는 이 대비를 하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을 좀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