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대구 함지산에서 난 대형 산불, 도심형 산불이라는 게 특징입니다.

대구 도심에서 이렇게 큰불이 난 건 35년 만입니다.

산불 현장의 날씨 상황도 짚어보겠습니다.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박소정 기자, 대구 지역에 현재 건조특보가 내려져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대구는 현재 건조 경보가 발령돼 있습니다.

건조특보 상황부터 짚어보겠습니다.

강원도 산지와 강릉 동해 태백 등 동해안 지역과 충북, 경북 동해안 지역에 건조경보가 발효돼 있고, 대구 역시 건조경보입니다.

건조주의보는 서해안을 제외하고 전국 대부분에 내려졌습니다.

서울과 경기도 남부와 동부, 대전 등입니다.

바람도 문제인데요.

대구 지역에는 밤사이 바람이 조금 잦아들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은 산불 현장에는 밤사이 평균풍속 초속 1∼6m, 순간최대풍속이 초속 15m에 이르는 강풍이 불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바람이 상대적으로 낮보다는 약해지지만, 때때로 강한 바람이 불 수 있기 때문에 산불 확산 위험은 언제든 도사리고 있습니다.

내일도 맑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질 예정인데, 산림청은 오전에 바람이 추가로 약해지는 때를 봐서 진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입니다.

안타깝게도 비 소식은 아직 없습니다.

산림과학원은 이렇게 대구 도심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건 1990년 이후 35년 만이라고 밝혔습니다.

올해 발생한 대형산불로는 지난달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등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인데, 이번 산불은 양상이 다릅니다.

앞서 난 산불은 울창한 산림을 중심으로 났지만, 이번 대구 산불은 도심 주변에서 발생한 이른바 도심형 산불이라는 게 특징입니다.

도심형 대형 산불로는 역대 두 번째입니다.

민가 등으로 불길이 내려올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우려되는 지점입니다.

앞서 YTN에서는 야간에 헬기 가동이 어려워 산불 진화가 늦어지는 만큼 대안이 시급하다는 보도를 어제 전해드렸는데요.

산림청은 오늘 밤에는 야간에도 투입이 가능한 수리온 헬기 등을 동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수리온 헬기는 2020년 안동 산불과 2022년 울진 산불 때 시범적으로 투입했던 적이 있지만, 두 대를 실제 진화용으로 투입하는 건 이번이 사실상 처음입니다.

지금까지 과학기상부에서 YTN 박소정[sojung@ytn.co.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 (중략)

YTN 박소정 (sojung@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50428222857524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번 대구 함지산에서 난 대형 산불은 도심형 산불이라는 게 특징입니다.
00:05대구 도심에서 이렇게 큰 불이 난 건 35년 만인데요.
00:09산불 현장의 날씨 상황도 짚어보겠습니다.
00:11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00:12박수정 기자, 날씨가 좀 도와주면 좋겠는데,
00:16지금 대구 지역에 건조특보가 내려져 있는 상태라고요?
00:20네, 그렇습니다. 대구는 현재 건조경보가 발령돼 있습니다.
00:24건조특보 상황부터 짚어보겠습니다.
00:26강원도 산지와 강릉 동해 등 동해안 지역,
00:29그리고 경북 동해안 지역에 건조경보가 발효돼 있고요.
00:33대구 역시 건조경보입니다.
00:35건조주의보는 서해안을 제외하고 전국 대부분에 내려졌습니다.
00:39서울과 경기도 남부 동부, 대전, 광주, 부산 등에도 건조주의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00:46바람도 문제입니다.
00:47대구 지역에는 밤사이 바람이 조금 잦아들 것으로 보이는데요.
00:51기상청은 산불 현장에 밤사이 평균 풍속 초속 1에서 6미터,
00:56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15미터에 이르는 강풍이 불겠다고 예보했습니다.
01:01상대적으로 낮보다는 약해집니다.
01:03하지만 때때로 강한 바람이 불 수 있기 때문에
01:06산불 확산 위험은 언제든 도사리고 있습니다.
01:10내일도 맑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질 예정인데
01:12산림청은 오전에 바람이 추가로 약해지는 때를 봐서
01:16진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입니다.
01:19안타깝게도 비 소식은 아직 없습니다.
01:21산림과학원은 이렇게 대구 도심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건
01:261990년 이후 35년 만이라고 밝혔습니다.
01:31올해 발생한 대형 산불로는 지난달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등에 이어서
01:36이번이 네 번째인데요.
01:38이번 산불은 좀 양상이 다릅니다.
01:40앞서 난 산불들은 울창한 산림에서 주로 났지만
01:44이번 대구 산불은 도심 주변에 있는 산에서 발생한
01:48이른바 도심형 산불이라는 게 특징입니다.
01:51도심형 대형 산불로 따지면 역대 두 번째입니다.
01:55민가 등으로 불길이 내려올 수 있다는 게
01:57가장 큰 우려되는 지점인데요.
02:00앞서 YTN에서 야간에 헬기 가동이 어려워
02:03산불 진화가 늦어지는 만큼
02:05대안이 시급하다는 보도를 어제 전해드렸는데요.
02:08산림청은 오늘 밤에는 야간에도 투입이 가능한
02:11수리온 헬기 등을 동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죠.
02:14이 수리온 헬기는 2020년 안동 산불 또 2022년 울진 산불 때
02:19시범적으로 투입했던 적은 있습니다.
02:22그런데 이렇게 두 대를 실제 진화용으로 투입하는 건
02:26이번이 사실상 처음입니다.
02:28지금까지 과학기상부에서 YTN 박소정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