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우리나라 회화사의 최고 부흥기인 18세기, 이 시기 조선 화단을 이끌었던 인물이 바로 겸재 정선입니다.

아름다운 우리 산천의 실제 풍경에 개성과 마음까지 담은 진경산수화의 창시자이기도 한데요

국민화가, 겸재 정선의 대표작들이 역대 최대 규모로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김정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비 온 뒤 개이기 시작하는 여름 인왕산의 생명력을 먹의 농담만으로 펼쳐낸 인왕제색도!

겸재 나이 일흔여섯에 그린 진경산수화의 걸작입니다.

물에 젖은 바위를 검은색으로 표현해 기세를 극대화했습니다.

겨울 금강산을 담은 금강전도!

정선이 유독 많이 그린 금강산 중에서도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림지도처럼 각각의 봉우리들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하늘에서 내려다본 시점으로 그렸습니다.

[조지윤 / 리움미술관 소장품연구실장 : (상단 제발에) 실제 금강산을 가는 것보다 이 그림을 머리 맡에 두고 감상하는 것이 좋다라는 내용의 시가 있어서 당시 금강산을 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금강산을 보고자 하는 열망과 함께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의 대표적 의미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 것을 답습하던 조선의 그림은 겸재 정선을 만나 완전히 바뀝니다.

직접 여행하며 눈에 담은 우리 산천의 모습에 겸재만의 개성을 녹여내 진경산수화라는 새로운 화풍을 정립합니다.

[이태호 / 명지대 석좌교수 : 우리땅을 그린 그림, 그리고 우리 삶을 그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거죠. 내가 조선에 살고 있음에 대한 자긍심, 이런 것들이 표출이 됐다.]

겸손한 선비라는 뜻의 겸재!

비록 쇠락한 가문이었지만 정선은 명문가 후손이라는 자부심을 그림 곳곳에서 드러내기도 합니다.

퇴계 이황과 우암 송시열의 글에 정선이 산수화를 입힌 서화첩이 대표적인데, 이 서화첩에 실린 '계상정거도'가 바로 1,000원권 지폐 뒷면을 장식하고 있는 이황의 도산 서당 그림입니다.

18세기 조선 화단을 이끈 겸재 정선의 대표작들이 역대 최대 규모로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고미술 양대 산맥인 호암과 간송이 의기 투합해 18개 기관과 개인 소장품이 총출동한 겁니다.

정선이 평생 가장 많이 그렸던 금강산부터, 관동 지역 명승지, 나고 자란 한양과 주변 명소까지.

겸재의 진경산수 대표작들을 여행하듯 따라가다 보면 서울의 부촌 압구정 주변의 ... (중략)

YTN 김정아 (ja-kim@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50427231132188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우리나라 회화사의 최고 부흥기인 18세기, 이 시기 조선화단을 이끌었던 인물이 바로 겸재정선입니다.
00:08아름다운 우리 산천의 실제 풍경에 개성과 마음까지 담은 진경산수화의 창시자이기도 한데요.
00:14국민화가 겸재정선의 대표작들이 역대 최대 규모로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00:19김정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00:23비 온 뒤 개익이 시작하는 여름인왕산의 생명력을 먹에 농담만으로 펼쳐낸 인왕재생.
00:31겸재 나이 76에 그린 진경산수화의 걸작입니다.
00:35모래 젖은 바위를 검은색으로 표현해 기세를 극대화했습니다.
00:40겨울 금강산을 담은 금강전도.
00:43정선이 유독 많이 그린 금강산 중에서도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00:48그림지도처럼 각각의 봉우리들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하늘에서 내려다본 시점으로 그렸습니다.
00:54실제 금강산을 가는 것보다 이 그림을 머림 앞에 두고 감상하는 것이 훨씬 좋다라는 내용의 시가 있어서
01:03당시에 금강산을 가지 못한 사람들이 이 금강산을 보고자 하는 열망과 함께
01:09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의 대표적인 의미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01:16중국 것을 답습하던 조선의 그림은 겸재 정선을 만나 완전히 바뀝니다.
01:21직접 여행하며 눈에 담은 우리 산천의 모습에
01:24겸재만의 개성을 우겨내 진경산수화라는 새로운 화풍을 정립합니다.
01:30우리 땅을 그린 그림 그리고 우리의 삶을 그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거죠.
01:36내가 조선에 살고 있음에 대한 자긍심 이런 것들이 표출이 됐다.
01:43겸손한 선비라는 뜻의 겸재.
01:45비록 쇠락한 가문이었지만
01:47정선은 명문과 후손이라는 자부심을 그림 곳곳에서 드러내기도 합니다.
01:52퇴계 이황과 우암 송시열의 글에 정선이 산수화를 입힌 서화첩이 대표적인데
01:59이 서화첩에 실린 계상정거도가 바로 천원권 집회 뒷면을 장식하고 있는
02:05이황의 도산서당 그림입니다.
02:0818세기 조선 화단을 이끈 겸재 정선의 대표작들이
02:12역대 최대 규모로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02:16고미술 양대산맥인 호암과 간송이 의기투합해
02:1918개 기관과 개인 소장품이 총 출동한 겁니다.
02:24정선이 평생 가장 많이 그렸던 금강산부터
02:27관동지역 명승지
02:29나고 자란 한양과 주변 명소까지
02:32겸재의 진경산수 대표작들을 여행하듯 따라가다 보면
02:37서울의 부촌 압구정 주변의 당시 모습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02:42화면에 가운데 압구정을 배치하고요.
02:46지금의 동호대교를 넘어서 보이는 남산 쪽에 이르는 광경을
02:50굉장히 사선의 각도를 활용해서 잘 조명을 해서 그리고 있습니다.
02:56원경 쪽에 남산이 잘 보이도록 청록색에 짙은 채색을 가해서
03:02다른 장르 그림에도 능했던 겸재는 중국 고사 인물화를 수용하면서도
03:07우리 것을 우겨내는 재치를 잃지 않았습니다.
03:11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여산초당 그림을 보면
03:14초당에 앉은 백거이는 조선 사대부로
03:17시중드는 동자는 중국풍으로 묘사돼 있습니다.
03:22시와 그림으로 중마고우와 우정을 나누는 인간적인 모습부터
03:26직업 화가로서의 면모까지
03:29우리가 알지 못했던 겸재의 모든 것을 담아낸 이번 전시는
03:33내년 하반기 대구 간속미술관에서 또 한 번 관람객을 맞이합니다.
03:38YTN 김정우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