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6일 전


[앵커]
시작하겠습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

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에 전 세계가 요동치고 있죠?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며 무관용 원칙을 천명했다가 하루 만에 결정을 뒤집고 있는데요.

중국에 대부분의 생산 시설을 둔 애플을 고려해 지난 11일에는 스마트폰 관세를 면제했습니다.

이어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요.

캐나다와 멕시코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는 GM과 스텔란티스 등 자국 회사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실상 중국을 겨냥했던 관세가 오히려 자국 기업의 부담으로 이어지자 말을 바꾸고 있는 건데요.

결국 트럼프 대통령 스스로 대중 압박 전선에 ‘균열’을 자초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2. 월가에서는 아직 경계심을 풀 때가 아니라는 경고가 나왔다고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즉흥적인 관세 정책이 시장의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인데요.

모건스탠리는 "트럼프에 두 번 속으면 내 탓" 즉 '당신 탓'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투자자들은 앞으로도 여러 차례 시장에 속을 준비를 해야 한다는 건데요.

트럼프 관세 정책의 큰 그림을 예측하기보다는 적절하게 빨리 대응하는 편이 낫다고 강조한 겁니다.

3. 이런 와중에 우리 정부도 관세를 최소화하기 위해 뛰고 있죠. 협상이 다음주부터 본격화 된다고요?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합니다.

우선, 최 부총리는 베센트 미 재무장관을 만납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상호관세 협상을 담당하고 있는 베센트 장관이 먼저 최 부총리와의 면담을 제안한 걸로 전해집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도 다음 주 출장길에 오르는 만큼 두 나라의 재무·통상 당국자가 한자리에 앉는 2+2식의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4. 우리 정부의 협상 카드는 무엇인가요?

우선 투트랙 전략입니다.

가스나 원유, 방산 부분에선 구매를 늘려 수입을 확대하고, 자동차와 반도체 등 주요 기존 수출 제품은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식인데요.

이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간에 무역수지가 개선될 것이란 점을 강조할 예정입니다.

한미 조선 협력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이 큰데요.

비관세 장벽 우려 해소와는 직결되지는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각별히 챙기는 만큼, 협상을 원활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5. 한국에 대한 관세가 오히려 미국에게 불리하단 점도 짚을 예정이라고요?

네, 앞서 우리 정부는 한국산 구리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일자리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입장을 미국 측에 전달하기도 했는데요.

미국에 약 465억달러를 투자해 1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든 한국 배터리 업체 LS전선과 풍산이 한국산 동박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관세는 결국 우리 기업들의 장기 투자 실행에도 차질을 빚어 궁극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설명한 거죠.

6. 구리에 이어 의약품과 반도체 분야도 관세가 부과되면 설득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우리 바이오 기업에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의 의료비 부담이 더 늘어날 수 밖에 없단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국산 의약품의 미국 수출액은 13억5900만 달러, 우리 돈 약 1조900억 원입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 환자를 위해 처방의약품 가격 인하를 추진하겠단 행정명령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반도체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60% 이상인데요.

특히 AI 산업에 필요한 HBM의 경우 지난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이 95%에 이릅니다.

미국의 반도체 수요가 큰 만큼 관세로 인한 단가 상승은 결국 미국에 더 큰 손해를 초래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


신선미 기자 new@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경제를 부탁해 경제 이야기를 쉽게 풀어주는 경제산업부의 신선미 차장 오늘도 나와 있습니다.
00:11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안세정 씨 왜 이렇게 오락오락하나요?
00:17트럼프 대통령은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며 무관용 원칙을 천명했다가 하루 만에 결정을 뒤집고 있는데요.
00:24중국의 대부분의 생산시설을 둔 애플을 고려해서 지난 11일에는 스마트폰 관세를 면제했습니다.
00:32이어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요.
00:37캐나다와 멕시코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는 GM 그리고 스텔란티스 등 자국 회사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가 됩니다.
00:45사실상 중국을 겨냥했던 관세가 오히려 자국 기업의 부담으로 이어지자 말을 바꾸고 있는 건데요.
00:52결국 트럼프 대통령 스스로 대중 압박 전선의 균열을 자초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01:00그러니까 트럼프도 지금 압박을 견디지 못하기 시작한 것 같은데 월가에서는 그래도 아직 경계를 풀 때가 아니다 이렇게 경고하고 있다면서요?
01:08맞습니다. 즉흥적인 관세 정책이 오히려 시장의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지적인데요.
01:14모건 스탠리는 트럼프에 두 번 속으면 내 탓, 즉 당신 탓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01:21투자자들은 앞으로도 여러 차례 시장에 속을 준비를 해야 한다는 건데요.
01:27트럼프 관세 정책의 큰 그림을 예측하기보다는 예측이 안 되니 오히려 적절하게 빨리 대응해라 이런 게 낫다 이렇게 강조를 한 겁니다.
01:37드디어 이제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협상도 다음 주로 다가왔습니다.
01:42우리가 관세 최소화하기 위해서 어떤 전략 가지고 있나요?
01:46사실 투트랙 전략을 하고 있는데요.
01:49가스 그리고 원유, 방산 부분에서는요.
01:52구매를 늘려서 수입을 확대하고요.
01:55자동차, 반도체 같은 이런 수출을 좀 많이 하는 품목은요.
01:59미국 현지 생산을 늘려서 오히려 수출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02:03이를 통해서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에 무역 수지가 개선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인데요.
02:10한미 조선 협력 그리고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요.
02:14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02:17비관세 장벽 우려 해소와는 직결되지는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각별히 챙기는 만큼 협상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02:27일단은 다음 주부터 협상이 이제 진행이 되는데 일정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02:32네, 다음 주에 최상목 경제부총리 그리고 안덕근 산업통상부 자원부 장관이 방문을 합니다, 미국을.
02:40그래서 이제 베센트 장관이랑 먼저 이제 면담을 할 걸로 보이는데요.
02:46양국에서 재무 통상 당국자가 모두 한자리에 앉는 만큼 E 플러스 E 식의 협상이 가능할 거다.
02:53이런 가능성이 제기가 되고 있습니다.
02:55네, 우리 전략 중에 하나가 우리한테 관세 이렇게 때리면 오히려 미국에 불리할 수도 있다.
03:03이걸 좀 강조할 예정이라고요?
03:04맞습니다.
03:05앞서 이제 우리 정부는요.
03:06한국산 구리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일자리 위태로울 수 있다.
03:12이런 입장을 미국 측에 전달하기도 했는데요.
03:14미국에 약 465억 달러를 투자해서 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든 이 한국산 배터리 업체 LS전선과 풍산이 한국산 동박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03:26관세는 결국 우리 기업들의 장기 투자 실행에도 차질을 빚어서 궁극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설명을 한 겁니다.
03:34방금 말씀하신 구리뿐만 아니라 의약품 그리고 반도체 분야도 만약에 관세가 부과가 되면 설득에 나설 가능성이 좀 커 보인다.
03:44이런 분석도 있던데요.
03:45맞습니다.
03:45우리 바이오 기업의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의 의료비 부담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03:53실제로 지난해 국산 의약품의 미국 수출액은요.
03:5613억 5천9백만 달러, 우리 돈 약 1조 900억 원입니다.
04:01최근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 환자를 위해서 처방 의약품 가격 인하를 추진하겠다는 행정명령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04:09또 반도체도 마찬가지입니다.
04:11현재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60% 이상인데요.
04:17특히 AI 산업에 필요한 HBM의 경우 지난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이 95%에 이릅니다.
04:25미국의 반도체 수요가 큰 만큼 관세로 인한 단가 상승은 결국 미국의 더 큰 손해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04:37지금까지 경제를 부탁해 경제산업부의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
04:40수고했습니다.
04:41수고했습니다.
04:42수고하셨습니다.
04:43수고하셨습니다.
04:44수고하셨습니다.
04:45수고하셨습니다.
04:46수고하셨습니다.
04:47수고하셨습니다.
04:48수고하셨습니다.
04:49수고하셨습니다.
04:50수고하셨습니다.
04:51수고하셨습니다.
04:52수고하셨습니다.
04:53수고하셨습니다.
04:54수고하셨습니다.
04:55수고하셨습니다.
04:56수고하셨습니다.
04:57수고하셨습니다.
04:58수고하셨습니다.
04:59수고하셨습니다.
05:00수고하셨습니다.
05:01수고하셨습니다.
05:02수고하셨습니다.
05:03수고하셨습니다.
05:04수고하셨습니다.
05:05수고하셨습니다.
05:06수고하셨습니다.
05:07수고하셨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