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2월 20일 목요일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서울신문입니다.
요즘 자고 나면 금값이 최고가를 갈아치우고 있죠. 어제 기준 50돈짜리 골드바 시세는 2810만 원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귀금속 1번지인 종로 귀금속거리 풍경은 어떤지 알아보시죠. 이번 달 초만 해도 g당 13만8천 원이던 금값은 16만 원을 넘기기도 했습니다. 금 품귀 현상에 일부 은행에선 골드바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죠. 이러자 종로 귀금속거리엔 평일 오후에도금테크를 하려는 사람들이 몰렸습니다. 0.5g 콩알금이라도 빨리 사려는 사람. 또 옷장 속 금붙이를 비쌀 때 팔려는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원화는 쥐고 있으면 손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금테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상인들은 "오늘이 제일 쌉니다"라면서 절판 마케팅을 벌입니다. '금테크'를 새로 시작하려는 사람들은 콩알금처럼 작은 금붙이라도 사모으려 합니다. 귀금속거리까지 가지 않고도 골드바를 살 수 있는 편의점을 찾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옷장에 묵혀놨던 금붙이를 팔아 차익을 얻으려는 '역골드러시' 바람도부는 중입니다. 5대 은행 골드바 판매액은 이번 달 들어서만 벌써 581억 원 넘게 팔렸다고 합니다. 지난 1월 한 달보다 2배 넘게 팔린 건데요. 1년 만에 45% 이상 오른 금값. 연말엔 트로이온스당 3,100달러까지 갈 수 있단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 기사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수산물 생산량이 줄고 있습니다. 주범은 이상기후, 기후변화입니다. 고수온 때문에 미더덕도 새조개도 자취를 감춰서 지역 특산물 축제도 멈춰섰습니다. 경남 창원시는 올해 창원진동미더덕축제를열지 않기로 했습니다. 창원은 전국 미더덕 생산의 70%를 차지하는 곳인데요. 올해엔 고수온 때문에, 축제를 취소해야 될 정도로 미더덕 생산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홍성군도 남당항 새조개 축제의 이름을 바꿔서 열 수밖에 없었습니다. 새조개가 집단 폐사해서 생산량이 예년의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꽃게나 오징어 등 다른 수산물 어획량도 크게 줄어든 건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 수산물 생산량 현황을 보면 연 근해어업 생산량 감소가 눈에 띕니다. 2021년만 해도 90만 ... (중략)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220063643215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2월 20일 목요일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서울신문입니다.
요즘 자고 나면 금값이 최고가를 갈아치우고 있죠. 어제 기준 50돈짜리 골드바 시세는 2810만 원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귀금속 1번지인 종로 귀금속거리 풍경은 어떤지 알아보시죠. 이번 달 초만 해도 g당 13만8천 원이던 금값은 16만 원을 넘기기도 했습니다. 금 품귀 현상에 일부 은행에선 골드바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죠. 이러자 종로 귀금속거리엔 평일 오후에도금테크를 하려는 사람들이 몰렸습니다. 0.5g 콩알금이라도 빨리 사려는 사람. 또 옷장 속 금붙이를 비쌀 때 팔려는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원화는 쥐고 있으면 손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금테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상인들은 "오늘이 제일 쌉니다"라면서 절판 마케팅을 벌입니다. '금테크'를 새로 시작하려는 사람들은 콩알금처럼 작은 금붙이라도 사모으려 합니다. 귀금속거리까지 가지 않고도 골드바를 살 수 있는 편의점을 찾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옷장에 묵혀놨던 금붙이를 팔아 차익을 얻으려는 '역골드러시' 바람도부는 중입니다. 5대 은행 골드바 판매액은 이번 달 들어서만 벌써 581억 원 넘게 팔렸다고 합니다. 지난 1월 한 달보다 2배 넘게 팔린 건데요. 1년 만에 45% 이상 오른 금값. 연말엔 트로이온스당 3,100달러까지 갈 수 있단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 기사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수산물 생산량이 줄고 있습니다. 주범은 이상기후, 기후변화입니다. 고수온 때문에 미더덕도 새조개도 자취를 감춰서 지역 특산물 축제도 멈춰섰습니다. 경남 창원시는 올해 창원진동미더덕축제를열지 않기로 했습니다. 창원은 전국 미더덕 생산의 70%를 차지하는 곳인데요. 올해엔 고수온 때문에, 축제를 취소해야 될 정도로 미더덕 생산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홍성군도 남당항 새조개 축제의 이름을 바꿔서 열 수밖에 없었습니다. 새조개가 집단 폐사해서 생산량이 예년의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꽃게나 오징어 등 다른 수산물 어획량도 크게 줄어든 건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 수산물 생산량 현황을 보면 연 근해어업 생산량 감소가 눈에 띕니다. 2021년만 해도 90만 ... (중략)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220063643215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