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국가산업단지는 지하 배관의 위치 파악이 어렵고 낡은 것도 많아 배관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울산시가 사고 예방을 위해 AI 기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통합안전관리센터를 새롭게 문 열었습니다.
JCN 울산중앙방송 라경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4일, 울산 온산공단에서 발생한 송유관 기름 유출 사고.
전기 케이블 공사를 위해 굴착 작업을 하던 중 지하에 묻혀 있던 송유관을 파손시켜 약 4톤의 기름이 도로와 바다로 흘러나왔습니다.
배관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지하 지도조차 없었습니다.
여기에 60년 넘게 가동되고 있는 울산국가산단 지하에는 노후된 배관들이 곳곳에 묻혀 있습니다.
2022년에는 석유화학공단 지하 암모니아 배관이 파손되며 유해 물질이 누출되는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최근 10년간 울산국가산단에서 발생한 지하 배관 사고는 모두 31건.
총연장 1,526㎞에 달하는 위험 물질 배관 가운데 62%, 약 956㎞가 설치된 지 20년이 넘은 노후 배관입니다.
언제, 어디서 사고가 날지 알 수 없는 상황.
울산시가 이 같은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안전망 구축에 나섰습니다.
시는 남구 부곡동 6천㎡ 부지에 총 사업비 156억 원을 투입해 울산국가산단 통합안전관리센터를 준공했습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센터는 3D 기술을 활용해 지하 배관의 위치와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승우 / 울산정보산업진흥원 디지털산단팀장 : 신규 매설 배관을 선정을 하거나 위치 선정을 할 때는 저희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고요. 노후 배관을 빨리 찾아내고 저희가 조치를 취한다든지 노후 배관이라 하더라도 운영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또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또, 금속 현미경과 3D스캐너를 통해 배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센터는 배관뿐만 아니라 이렇게 환경 센서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악취와 오염물질 등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센터 외부에는 70m 높이 관제탑이 설치돼 있어, 산업단지 전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또, 현장 안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실무교육도 함께 이뤄집니다.
[김두겸 / 울산시장 : 현장의 안전을 훨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 만큼 울산의 산업재해 예방률이 높아지고 산업수도 울산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울산시는 앞... (중략)
YTN 라경훈 jcn (kimmj0225@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517020131542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울산시가 사고 예방을 위해 AI 기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통합안전관리센터를 새롭게 문 열었습니다.
JCN 울산중앙방송 라경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4일, 울산 온산공단에서 발생한 송유관 기름 유출 사고.
전기 케이블 공사를 위해 굴착 작업을 하던 중 지하에 묻혀 있던 송유관을 파손시켜 약 4톤의 기름이 도로와 바다로 흘러나왔습니다.
배관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지하 지도조차 없었습니다.
여기에 60년 넘게 가동되고 있는 울산국가산단 지하에는 노후된 배관들이 곳곳에 묻혀 있습니다.
2022년에는 석유화학공단 지하 암모니아 배관이 파손되며 유해 물질이 누출되는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최근 10년간 울산국가산단에서 발생한 지하 배관 사고는 모두 31건.
총연장 1,526㎞에 달하는 위험 물질 배관 가운데 62%, 약 956㎞가 설치된 지 20년이 넘은 노후 배관입니다.
언제, 어디서 사고가 날지 알 수 없는 상황.
울산시가 이 같은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안전망 구축에 나섰습니다.
시는 남구 부곡동 6천㎡ 부지에 총 사업비 156억 원을 투입해 울산국가산단 통합안전관리센터를 준공했습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센터는 3D 기술을 활용해 지하 배관의 위치와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승우 / 울산정보산업진흥원 디지털산단팀장 : 신규 매설 배관을 선정을 하거나 위치 선정을 할 때는 저희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고요. 노후 배관을 빨리 찾아내고 저희가 조치를 취한다든지 노후 배관이라 하더라도 운영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또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또, 금속 현미경과 3D스캐너를 통해 배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센터는 배관뿐만 아니라 이렇게 환경 센서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악취와 오염물질 등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센터 외부에는 70m 높이 관제탑이 설치돼 있어, 산업단지 전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또, 현장 안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실무교육도 함께 이뤄집니다.
[김두겸 / 울산시장 : 현장의 안전을 훨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 만큼 울산의 산업재해 예방률이 높아지고 산업수도 울산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울산시는 앞... (중략)
YTN 라경훈 jcn (kimmj0225@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517020131542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울산 국가산업단지는 지하 배관을 위치 파악이 어렵고 낡은 것도 많아 배관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00:07울산시가 사고 예방을 위해 AI 기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통합안전관리센터를 새롭게 문 열었습니다.
00:14제시엔 울산중앙방송, 라경훈 기자입니다.
00:20지난달 24일, 울산 온산공단에서 발생한 송유관 기름 유출 사고.
00:24전기 케이블 공사를 위해 굴착 작업을 하던 중 지하에 묻혀있던 송유관을 파손시켜 약 4톤의 기름이 도로와 바다로 흘러나왔습니다.
00:35배관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지하 지도조차 없었습니다.
00:39여기에 60년 넘게 가동되고 있는 울산 국가산단 지하에는 노후된 배관들이 곳곳에 묻혀 있습니다.
00:472022년에는 석유화학공단 지하 노후된 암모니아 배관이 파손되며 유해물질이 누출되는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00:55최근 10년간 울산 국가산단에서 발생한 지하 배관 사고는 모두 31건.
01:01총 연장 1,526km에 달하는 위험물질 배관 가운데 62%, 약 956km가 설치된 지 20년이 넘은 노후배관입니다.
01:12언제, 어디서 사고가 날지 알 수 없는 상황.
01:15울산시가 이 같은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안전망 구축에 나섰습니다.
01:20시는 남구 부곡동 6,000제곱미터 부지에 총 사업비 156억 원을 투입해 울산 국가산단 통합안전관리센터를 준공했습니다.
01:31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센터는 3D 기술을 활용해 지하 배관의 위치와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01:38신규 매설 배관을 선정하거나 위치 선정할 때는 저희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고요.
01:47노후배관은 빨리 찾아내고 저희가 조치를 취한다든지 아니면 노후배관이라 하더라도 운영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02:00또 금속현미경과 3D 스캐너를 통해 배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02:07센터는 배관뿐만 아니라 이렇게 환경센서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악취와 오염물질 등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02:15센터 외부에는 70m 높이의 관제탑이 설치돼 있어 산업단지 전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02:21또 현장 안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실무 교육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02:27현장의 안전을 훨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 만큼 울산의 산업재해 예방률이 높아지고 산업수도 울산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02:42울산시는 앞으로도 산업단지 내 안전 사각지대를 줄이고 사고 발생 전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02:50이번에 문을 연 센터를 통해 산단의 사고 예방은 물론 보다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02:59JCN 뉴스 라경훈입니다.
03:01감사합니다.
03:02감사합니다.
03:03감사합니다.
03:04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