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4. 28.
■ 진행 : 이세나 앵커, 나경철 앵커
■ 출연 : 양지민 변호사, 임주혜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2P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SK텔레콤 측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에게 유심 불법복제 피해가 발생하면 100% 책임을 지겠다, 이렇게 밝혔는데요. 사실 이 부분도 피해 발생을 누가 어떻게 입증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보상을 해 줄 것인지 이 부분도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잖아요.

◇ 임주혜
그렇죠. 정보 유출 피해 같은 경우에 사실상 이전에도 사례들이 있었지만 가장 처리가 어려운 부분이 손해가 무엇인가, 이 부분을 확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정보가 유출됐다는 건 눈에 보이지는 않아요. 어떤 피해라는 거, 내가 뭔가 절도당했다고 하면 그 물건이 남아 있게 되는데 정보 유출 같은 경우는 이것을 금액으로 산정하기 매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SK텔레콤 측에서 만약 이런 보호서비스까지 가입했는데 피해가 발생하면 해당 피해에 대해서 100% 배상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피해가 무엇인가, 그 피해라는 것을 금액으로 산정할 수 있는가, 이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지금 유심이 해킹당했다는 것은 잠재적인 위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은 어떤 눈에 보이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현재까지로는 해당 유출 사고로 인해서 직접적으로 어떤 피해 사례가 발생했다라는 부분이 확인된 바는 없지만 나중에라도 이와 관련해서 피해가 발생했을 때 그렇다면 이것이 해당 유출 사고로 인한 피해인지 이 부분을 입증하기가 매우 어렵고요. 실제로 내 정보 등이 탈취되었을 때 그 정보가 탈취된 부분을 금전적으로 손해배상으로 치환할 수 있을 것인가, 이건 또 다른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100% 보상을 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그 피해액은 어떻게 확정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보상을 할 것인지, 이 부분은 여전히 미지수로 남아 있습니다.

◆ 앵커
결국 이 문제는 내 정보가 범죄에 활용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 때문인 건데. 이 시점에 지금 부산에서 한 60대 남성이 자신이 모르는 사이에 알뜰폰이 개통됐다. 그리고 내 계좌에서 무려 5000만 원이 빠져나갔다, 이렇게 경찰에 신고를 했다고 하는데 이게 지금 이번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이 있는 겁니까?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28163010656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SK텔레콤 측은 유심보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유심볼법 복제 피해가 발생하면 100% 책임을 지겠다 이렇게 밝혔는데요.
00:10사실 이 부분도 피해 발생을 누가 어떻게 집중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보상을 해줄 것인지 이 부분도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잖아요.
00:18그렇죠. 이 정보 유출 피해 같은 경우에 사실상 이전에도 사례들이 있었지만 가장 처리가 어려운 부분이요.
00:24손해가 무엇인가 이 부분을 확정하기가 어렵습니다.
00:27정보가 유출됐다는 것은 눈에 보이진 않아요.
00:31어떤 피해라는 것 내가 뭔가 절도당했다면 어떤 그 물건이 남아있게 되는데
00:35정보의 유출 같은 경우는 이것을 금액으로 산정하기 매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00:40그렇기 때문에 지금 SK텔레콤 측에서 만약 이런 보호 서비스까지 가입했는데 피해가 발생하면 해당 피해에 대해서 100% 배상하겠다고 밝혔지만
00:50그 피해가 무엇인가 피해라는 것을 금액으로 산정할 수 있는가 이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00:57지금 이 유심이 해킹당했다는 것은 잠재적인 위험으로 볼 수 있습니다.
01:02지금 당장은 어떤 눈에 보이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현재까지로는 해당 유출 사고로 인해서 직접적으로 어떤 피해 사례가 발생했다라는 부분이 확인된 바는 없지만
01:13나중에라도 이와 관련해서 어떤 피해가 발생했을 때 그렇다면 이것이 해당 유출 사고로 인한 피해인지 이 부분을 입증하기가 매우 어렵고요.
01:23실제로 어떤 내 정보 등이 탈취되었을 때 그 정보가 탈취된 부분을 금전적으로 어떤 손해배상으로 치환할 수 있을 것인가
01:31이건 또 다른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100% 보상을 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01:36그 피해액은 어떻게 확정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보상을 할 것인지 이 부분은 여전히 좀 미지수로 남아있습니다.
01:43결국 이 문제는 내 정보가 범죄에 활용될 수도 있다라는 그 불안감 때문인 건데
01:49이 시점에 지금 부산에서 한 60대 남성이 자신이 모르는 사이에 알뜰폰이 개통됐다.
01:56그리고 내 계좌에서 무려 5천만 원이 빠져나갔다.
01:59이렇게 경찰에 신고를 했다고 하는데 이게 지금 이번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이 있는 겁니까?
02:05일단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수사가 필요한 그런 상황입니다.
02:09아직까지는 그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요.
02:11말씀해 주신 것처럼 22일에 이 60대 남성 경찰에 신고를 한 겁니다.
02:16본인은 SK텔레콤 가입자인데 갑자기 전화가 먹통이 됐다라는 거예요.
02:22그러더니 알고 보니까 본인 명의의 다른 KT의 알뜰폰이 개통이 된 것을 확인했고
02:28그 핸드폰을 통해서 5천만 원이 천만 원씩 5차례에 걸쳐서 빠져나갔다라고
02:34지금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거든요.
02:37본인은 계약 해제 의사를 밝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02:40갑자기 SK텔레콤과의 계약이 해지되고
02:43본인의 그런 정보를 이용해야만 휴대전화, 알뜰폰이 개통되는 것이 가능한 것인데
02:49이것이 개통됐다라는 것, 그 자체가 본인에 대한 필수 정보와
02:53더불어서 5천만 원이라는 금액이 은행에서 빠져나갔다라는 것 자체도
02:57내 금융 정보까지 혹시나 유심침 이번 사태로 인해서 빠져나가게 된 것은 아닌지
03:03좀 우려를 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고요.
03:06일단은 그 연관성이 확보되지는, 확인되지는 않은 상황이지만
03:10이 연관성이 확인이 되려면 본인의 유심 정보와 더불어서
03:13금융 거래를 할 때 사용되는 OTP라든지 아니면 인증서의 정보까지 다
03:19이것을 빠져나갔다라고 봐야만 이 사실관계가 좀 확인이 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03:25그래서 일단 수사가 필요해 보이는데
03:27문제는 이런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해외로 어떤 정보가 유출이 됐고
03:32그거로 인해서 2차 피해가 발생하고
03:34이런 사건들은 파악하는 데 시간이 굉장히 좀 많이 걸립니다.
03:38쉽지가 않아요.
03:39그렇기 때문에 이 남성도 5천만 원에 대해서 빨리 어떻게 보존을 받을 수 있을 것인지
03:44과연 누가 이러한 범죄를 저질렀는지 확인을 할 수 있는 것인지
03:48마음이 굉장히 급할 텐데
03:50시간을 의외로 또 수사가 오래 걸릴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도 듭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