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잇따른 땅꺼짐 사고에 시민들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하 공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데요.
지금 공사 중인 현장은 제대로 안전관리가 되고 있는지, 강태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지하철 2호선 삼성역 사거리 인근.
영동대로 지하에 대규모 광역복합환승센터를 조성하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2021년 3월 첫 삽을 떠 현재 지하 5층 깊이까지 공사가 진행됐습니다.
제가 있는 곳은 지하 35m 깊이 굴착 현장입니다.
하중 600톤을 견딜 수 있는 버팀보가 5m 간격으로 이어져있습니다.
최근 지하 굴착 공사가 땅꺼짐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자 서울시도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지난 10년간 발생한 대형 땅꺼짐 사고 가운데 40% 이상이 지하공사 부실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지하 20m 깊이까지 토사 변화량을 탐지할 수 있는 '지반침하 관측망'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기존 지표투과 레이더 탐사, GPR 장비는 탐지 깊이가 2m 안팎에 불과해 새 기술을 도입하는 겁니다.
강동구 땅꺼짐 사고 현장과 가까운 지하철 9호선 공사 현장에 우선 설치합니다.
하지만 시 전체의 땅꺼짐 위험도를 분류한 위험지도는 공개하지 않는다는 방침입니다.
[오세훈 / 서울시장]
"지하수의 흐름 같은 것을 반영한 완벽한 지도는 사실상 지금까지 제대로 만들어진 적이 없습니다."
대신, 서울 시내 철도 공사장 5곳과 우선 점검 대상 50곳 등에 대해 GPR 탐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강태연입니다.
영상취재: 이성훈
영상편집: 석동은
강태연 기자 tango@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잇따른 땅 꺼짐 사고에 시민들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00:04지하공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데요.
00:07지금 공사 중인 현장은 제대로 안전관리가 되고 있는지 강태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00:15지하철 2호선 삼성역 사거리 인근.
00:19영동대로 지하에 대규모 광역복합환승센터를 조성하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00:242021년 3월 첫 삽을 떠 현재 지하 5층 깊이까지 공사가 진행됐습니다.
00:33제가 있는 곳은 지하 35미터 깊이 굴착 현장입니다.
00:37하중 600톤을 견딜 수 있는 버팀보가 5미터 간격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00:43최근 지하굴착 공사가 땅 꺼짐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자 서울시도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00:49지난 10년간 발생한 대형 땅 꺼짐 사고 가운데 40% 이상이 지하공사 부실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0:58서울시는 지하 20미터 깊이까지 토사 변화량을 탐지할 수 있는 지반침화 관측망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01:06기존 지표2가 레이더 탐사, GPR 장비는 탐지 깊이가 2미터 안팎에 불과해 새 기술을 도입하는 겁니다.
01:13강동구 땅 꺼짐 사고 현장과 가까운 지하철 9호선 공사 현장에 우선 설치합니다.
01:20하지만 시 전체의 땅 꺼짐 위험도를 분류한 위험 지도는 공개하지 않는다는 방침입니다.
01:33대신 서울시내 철도공사장 5곳과 우선 점검 대상 50곳 등에 대해 GPR 탐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01:43채널A 뉴스 강태현입니다.
01:45기상캐스터
01:47기상캐스터
01:49기상캐스터
01:50기상캐스터
01:51기상캐스터
01:53기상캐스터
01:55기상캐스터
01:57기상캐스터
01:59기상캐스터
02:01기상캐스터
02:03기상캐스터
02:05기상캐스터
02:07기상캐스터
02:09기상캐스터
02:11기상캐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