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내년 의대 정원 3,058명 확정…증원 전 수준
의대 수업복귀율, 동결 조건에 한참 못 미쳐
의대 총장·학장들 "정원 동결부터 해달라" 건의
의대 교육 파행 장기화…향후 의사 수급 우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했습니다.
의대생들이 수업 복귀를 다 하지 않았는데도 증원 방침을 철회한 건데, 정책의 신뢰성에 금이 간 데 대해 정부 안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염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확정했습니다.
수업 복귀를 두고 의대생과 줄다리기를 벌이던 정부가 결국 후퇴한 겁니다.
정원 동결의 조건이었던 수업 복귀율은 목표치에 한참 미치지 못했습니다.
전국 40개 의대의 수업 참여율은 25.9%에 불과했습니다.
30% 이상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은 14곳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의대 학장과 총장 협의회는 수업 참여를 망설이고 있는 학생들이 전체의 40% 정도 된다며 정원 동결을 먼저 선언하면 이들이 돌아올 거라고 정부를 설득했습니다.
또 의대 교육이 더 오래 멈춰 서면 향후 의사 수급에 더 큰 문제가 생길 거란 위기감도 작용했습니다.
[이주호 /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학생 복귀 수준은 당초 목표에 비해 아직 미진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학사 일정과 대학 입시 일정을 고려할 때 이제는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확정하고 교육에 총력을 다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그럼에도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봐주지 않고 학칙에 따라 제적·유급 처분을 내리겠다는 점은 분명히 했습니다.
[이종태 /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사장 : 학생 여러분은 스스로 피해가 없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합니다. 후배의 미래와 의사 양성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모두 숙고할 것을 촉구합니다.]
하지만 이 같은 교육부의 결정에 대해 정부 안에서조차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보건복지부는 교육부가 한 달여 만에 원칙을 바꾼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교육부는 강성 의대생들에게 밀린 것이 아니라 정부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물러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YTN 염혜원입니다.
촬영기자 : 고민철
영상편집 : 최연호
디자인 : 이나은
※ '당신의 제보가 ... (중략)
YTN 염혜원 (hyew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17183916228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의대 수업복귀율, 동결 조건에 한참 못 미쳐
의대 총장·학장들 "정원 동결부터 해달라" 건의
의대 교육 파행 장기화…향후 의사 수급 우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했습니다.
의대생들이 수업 복귀를 다 하지 않았는데도 증원 방침을 철회한 건데, 정책의 신뢰성에 금이 간 데 대해 정부 안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염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확정했습니다.
수업 복귀를 두고 의대생과 줄다리기를 벌이던 정부가 결국 후퇴한 겁니다.
정원 동결의 조건이었던 수업 복귀율은 목표치에 한참 미치지 못했습니다.
전국 40개 의대의 수업 참여율은 25.9%에 불과했습니다.
30% 이상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은 14곳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의대 학장과 총장 협의회는 수업 참여를 망설이고 있는 학생들이 전체의 40% 정도 된다며 정원 동결을 먼저 선언하면 이들이 돌아올 거라고 정부를 설득했습니다.
또 의대 교육이 더 오래 멈춰 서면 향후 의사 수급에 더 큰 문제가 생길 거란 위기감도 작용했습니다.
[이주호 /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학생 복귀 수준은 당초 목표에 비해 아직 미진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학사 일정과 대학 입시 일정을 고려할 때 이제는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확정하고 교육에 총력을 다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그럼에도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봐주지 않고 학칙에 따라 제적·유급 처분을 내리겠다는 점은 분명히 했습니다.
[이종태 /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사장 : 학생 여러분은 스스로 피해가 없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합니다. 후배의 미래와 의사 양성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모두 숙고할 것을 촉구합니다.]
하지만 이 같은 교육부의 결정에 대해 정부 안에서조차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보건복지부는 교육부가 한 달여 만에 원칙을 바꾼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교육부는 강성 의대생들에게 밀린 것이 아니라 정부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물러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YTN 염혜원입니다.
촬영기자 : 고민철
영상편집 : 최연호
디자인 : 이나은
※ '당신의 제보가 ... (중략)
YTN 염혜원 (hyew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17183916228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했습니다.
00:06의대생들이 수업 복귀를 다 하지 않았는데도 증원 방침을 철회한 건데요.
00:12정책의 신뢰성에 금이 간대 대해 정부 안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00:17염혜원 기자입니다.
00:20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확정했습니다.
00:25수업 복귀를 두고 의대생과 줄다리기를 벌이던 정부가 결국 후퇴한 겁니다.
00:31정원 동결의 조건이었던 수업 복귀율은 목표치에 한참 미치지 못했습니다.
00:37전국 40개 의대의 수업 참여율은 25.9%에 불과했습니다.
00:4230% 이상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은 14곳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00:48다만 의대 학장과 총장 협의회는 수업 참여를 망설이고 있는 학생들이 전체의 40% 정도 된다며
00:55공결을 먼저 선언하면 이들이 돌아올 거라고 정부를 설득했습니다.
01:00또 의대 교육이 더 오래 멈춰서면 향후 의사 수급에 더 큰 문제가 생길 거란 위기감도 작용했습니다.
01:07학생 복귀 수준은 당초 목표에 비해 아직 미진한 것이 사실입니다.
01:14그러나 학사 일정과 대학 입시 일정을 고려할 때 이제는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 인원을 확정하고 교육에 총력을 다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01:26그럼에도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봐주지 않고 학칙에 따라 재적, 유급 처분을 내리겠다는 점은 분명히 했습니다.
01:35학생 여러분은 스스로 피해가 없도록 책임있게 행동해야 합니다.
01:42후배의 미래와 의사 양성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모두 숙고할 것을 촉구합니다.
01:48하지만 이 같은 교육부의 결정에 대해 정부 안에서조차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01:54보건복지부는 교육부가 한 달여 만에 원칙을 바꾼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02:02하지만 교육부는 강성 의대생들에게 밀린 것이 아니라 정부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물러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02:10YTN 염혜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