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퇴임에 앞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지명 사건에 대한 평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 대행은 의견서에서 아직 후보자를 발표만 했을 뿐 인사청문 과정에서 충분히 바뀔 수 있다며, 가처분이 각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신지원 기자!
오늘도 평의가 이어진다고요?
[기자]
헌법재판소는 어제에 이어 오늘(16일)도 평의를 열고 한 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여부 등을 논의했습니다.
마은혁 주심 재판관의 검토 내용을 토대로 한 대행이 대통령 지명 몫 재판관 후보자를 지명한 것이 타당한지 논의한 겁니다.
헌법재판소에는 지금까지 9건의 헌법소원과 권한쟁의 심판 청구 한 건이 접수됐고, 사건마다 효력 정지 가처분도 함께 접수됐습니다.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이 오는 18일 퇴임하는 가운데 이틀 연속 평의가 진행되는 만큼,
헌재가 그 전에 가처분 사건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재판관 5명 이상의 찬성이 있으면 인용되고, 두 후보자에 대한 지명 효력은 본안 사건에 대한 판단이 나올 때까지 정지됩니다.
반면, 기각이나 각하될 경우 한 대행의 후보자 지명 효력은 유지되고, 인사청문 절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측은 헌재에 어떤 의견을 밝혔습니까?
[기자]
한 대행 측은 헌재에 제출한 답변서와 의견서에서 재판관 후보자를 발표한 것은 공권력 행사가 아닌 '중간 절차'에 불과하다며, 국회 인사청문회 등 검증 절차를 통해 후보자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가처분 대상은 후보자 '지명'이 아닌 최종 '임명'이 되어야 하고, 가처분 신청이 각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헌법 71조는 권한대행이 대통령 직무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고만 규정할 뿐, 권한의 한계는 정하지 않았다고도 밝혔습니다.
결국, 국정 공백을 메우는 권한대행이 임기 6년이 보장된 대통령 몫의 재판관을 지명하는 것이 위헌인지도 함께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시민단체와 변호사 개인은 대통령이 지목해야 할 재판관을 권한대행이 지목해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가 침해됐다며 헌법소원을 청구했고,
국회는 인사청문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YTN 신지원입니다.
※ '당... (중략)
YTN 신지원 (jiwonsh@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16155904379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한 대행은 의견서에서 아직 후보자를 발표만 했을 뿐 인사청문 과정에서 충분히 바뀔 수 있다며, 가처분이 각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신지원 기자!
오늘도 평의가 이어진다고요?
[기자]
헌법재판소는 어제에 이어 오늘(16일)도 평의를 열고 한 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여부 등을 논의했습니다.
마은혁 주심 재판관의 검토 내용을 토대로 한 대행이 대통령 지명 몫 재판관 후보자를 지명한 것이 타당한지 논의한 겁니다.
헌법재판소에는 지금까지 9건의 헌법소원과 권한쟁의 심판 청구 한 건이 접수됐고, 사건마다 효력 정지 가처분도 함께 접수됐습니다.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이 오는 18일 퇴임하는 가운데 이틀 연속 평의가 진행되는 만큼,
헌재가 그 전에 가처분 사건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재판관 5명 이상의 찬성이 있으면 인용되고, 두 후보자에 대한 지명 효력은 본안 사건에 대한 판단이 나올 때까지 정지됩니다.
반면, 기각이나 각하될 경우 한 대행의 후보자 지명 효력은 유지되고, 인사청문 절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측은 헌재에 어떤 의견을 밝혔습니까?
[기자]
한 대행 측은 헌재에 제출한 답변서와 의견서에서 재판관 후보자를 발표한 것은 공권력 행사가 아닌 '중간 절차'에 불과하다며, 국회 인사청문회 등 검증 절차를 통해 후보자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가처분 대상은 후보자 '지명'이 아닌 최종 '임명'이 되어야 하고, 가처분 신청이 각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헌법 71조는 권한대행이 대통령 직무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고만 규정할 뿐, 권한의 한계는 정하지 않았다고도 밝혔습니다.
결국, 국정 공백을 메우는 권한대행이 임기 6년이 보장된 대통령 몫의 재판관을 지명하는 것이 위헌인지도 함께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시민단체와 변호사 개인은 대통령이 지목해야 할 재판관을 권한대행이 지목해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가 침해됐다며 헌법소원을 청구했고,
국회는 인사청문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YTN 신지원입니다.
※ '당... (중략)
YTN 신지원 (jiwonsh@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16155904379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헌법재판소가 문영배, 이미선 두 재판관의 퇴임에 앞서
00:04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통령목 지명사건에 대한 평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00:10한대행은 의견서에서 아직 후보자를 발표만 했을 뿐
00:14인사청문 과정에서 충분히 바뀔 수 있다며
00:16가처분이 각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00:19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00:22신지원 기자, 오늘도 평의가 이어지고 있죠.
00:25네, 헌법재판소는 어제에 이어 오늘도 평의를 열고
00:28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여부 등을 논의했습니다.
00:33마흔혁 주심 재판관의 검토 내용을 토대로
00:36한대행이 대통령 지명목세 재판관 후보자를 지명한 것이
00:40타당한지 논의한 겁니다.
00:42헌법재판소에는 지금까지 9건의 헌법 소환과
00:45권한쟁이 심판 청구 1건이 접수됐고
00:48자건마다 효력 정지 가처분도 함께 접수됐습니다.
00:52문영배, 이미선 재판관이 오는 18일 퇴임하는 가운데
00:55이틀 연속 평의가 진행되는 만큼
00:58헌법재판소는 그 전에 가처분 사건에 대한
01:02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01:05재판관 5명 이상의 찬성이 있으면 인용되고
01:08두 후보자에 대한 지명 효력은
01:10도난 사건에 대한 판단이 나올 때까지 정지됩니다.
01:14반면 기각이나 각화될 경우
01:16한대행의 후보자 지명 효력은 유지되고
01:18인사 청문 절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01:21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측은 헌재에
01:26어떤 의견을 밝혔습니까?
01:27네, 한대행 측은 헌재에 제출한 답변서와
01:31의견서에서 재판관 후보자를 발표한 것은
01:34공권력 행사가 아닌 중간 절차에 불과하다며
01:37국회 인사 청문회 등 검증 절차를 통해
01:39후보자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01:43따라서 가처분 대상은 후보자 지명이 아닌
01:46최종 임명이 되어야 하고
01:48가처분 신청이 각하여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01:52또 헌법 제71조는 권한대행이 대통령 직무를
01:55대신 수행할 수 있다고만 규정할 뿐
01:57권한의 한계는 정하지 않았다고도 밝혔습니다.
02:01결국 헌재는 국정 공백을 메우는 권한대행이
02:05임기 6년이 보장된 대통령 목사 재판관을
02:08지명하는 것이 위헌인지도 함께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02:12앞서 시민단체와 변호사 개인은
02:14대통령이 지목해야 할 재판관을 권한대행이
02:17지목해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가 침해됐다며
02:20헌법 소원을 청구했고
02:21국회는 인사 청문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했습니다.
02:25지금까지 YTN 심지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