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스마트폰 상호관세 면제… 애플·삼성 숨통
트럼프의 독주… 무역 참모들도 몰랐다?
트럼프 "채권에 주목"… 손발 안 맞는 트럼프 행정부?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중국이 관세 유예가 우리 덕분이다라고 이야기를 한 부분 굉장히 지금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00:11미국이 145% 상호 관세를 부과하니까 중국은 125%로 맞받으면서 미중 간의 관세 전쟁 벌어지고 있고 전 세계가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00:21이런 와중에 상호 관세가 발효된 지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를 발표를 했는데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20가지 품목에 대해서는 또 면제를 했습니다.
00:34구 부장님 이렇게 되면 삼성도 그렇고 애플도 그렇고요.
00:38세계적인 어떤 반도체 기업들 좀 부담을 덜겠네요.
00:42그렇습니다. 불행 중 다행이라고 볼 수가 있는데요.
00:44지금 트럼프 대통령이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에 이른바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관세 전쟁에 지금 불이 붙었습니다.
00:55그런데 우리나라는 무역 규모가 굉장히 큰 나라이기 때문에 관세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거든요.
01:01더더군다나 우리나라 안에서 생산되는 것도 관세가 부담이지만 우리나라와 협력을 맺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굉장히 고율의 관세를 부과받았기 때문에
01:11타격이 있는 거 아니냐 굉장히 걱정이 많았습니다.
01:14특히 생산기지가 많은 베트남이 대표적이었는데요.
01:18거기는 46%의 관세를 부과받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잘못하면 잃을 수도 있다 이런 우려가 있었는데
01:24다행히 반도체와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관세를 유예한다는 조치가 나왔습니다.
01:30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략이 미치광이 전략인지 아니면 정말 즉흥적으로 결정하는 건지 전 세계가 좀 떨고 있습니다.
01:39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조금만 더 친절하게 왜 이런 정책을 펴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좀 예측 가능한 정책을 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01:49어쩌면 장 변호사님 예측 불가능성이 트럼프 대통령의 주특기 무기로 사용하면서 그걸로 협상을 하려는 그런 전략일 수도 있겠네요.
02:01맞습니다. 협상의 지렛대로 삼는 게 본인의 어떤 결과를 그리고 선택을 상대로 하여금 예측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좀 우위에 서는 전략을 지금까지 샀는데
02:11사실상 이 국면에서도 시장에 굴복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부분이 있죠.
02:15기본적으로 관세와 관련해서 미국 우선주의를 했지만 전 세계 시장과 미국도 맞물려 돌아가는 시장일 수밖에 없습니다.
02:23그러니까 보복 관세가 다른 국가에서도 펼쳐지고 그게 미국의 부담으로 작용하니까 증시는 급락했거든요.
02:29이런 상황 속에서 사실 이런 부분을 예측하지 못하고 했다라고 볼 수 있을지 그렇다면 무능력한 거고
02:35예측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무리수를 뒀다면 정말 어떻게 보면 좀 통상의 지도자와는 대단히 다른 모습이라고 하겠습니다.
02:43결국 트럼프 대통령을 멈춰 세운 것은 시장이었다라는 분석과 관련한 목소리를 듣고 이야기 계속 이어나가겠습니다.
02:50그런데 이날 관세를 유예하는 걸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참모들조차 몰랐다 이런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03:15목소리 계속 듣고 오죠.
03:16김기웅 대변인님 대통령이 이런 뭐랄까 전 세계 시장 질서에 영향을 미칠 만한
03:44이런 계획을 참모들이 몰랐다?
03:46이거 어떻게 해석해야 될까요?
03:48진짜 몰랐는지 아니면 모른 척을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트럼프 입장에서는 본인이 좀 주도하고 싶다.
03:55트럼프의 어떤 경제 정책이 예전에 보면 트위터를 통해서 1기 때부터 그렇게 알려지지 않았습니까?
04:01우리가 통상적으로 정책의 어떤 발표를 봤을 때 기자회견을 통해서 프레스룸에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침대에서 본인의 어떤 침대 위에서 어떤 트위터를 통해서 알려진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04:14트럼프의 입장은 분명합니다.
04:17중국을 어떻게 보면 중국한테 본떼를 보여주겠다 그런 생각이긴 하는데 이게 중국은 중국 입장에서는 본인들이 잘해서 그랬다고 하는데 실질적인 게 뭐냐면 소비자입니다.
04:28소비자 입장에서 왜 많은 사람들이 트럼프를 선택을 했느냐.
04:32그거는 물가가 되게 높았고 그렇다면 트럼프를 통해서 물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04:38그래서 지지한 사람이 있습니다.
04:40그런데 관세 정책이라는 건 시간이 걸리거든요.
04:43실질적으로 미국에 와서 공장을 짓고 거기서 생산을 하려면 3, 4년이 걸립니다.
04:48그런데 미국은 선거가 있지 않습니까?
04:50내년도 중간 선거가 있습니다.
04:52그렇다면 지금도 이렇게 소비자들이 이거 문제다라고 생각하는데 내년 봄만 되더라도 이런 분위기가 되게 극대화될 거라고 보기 때문에
05:01제가 볼 때는 중국보다는 어떤 소비자의 어떤 불만, 물가 상승 이런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트럼프가 잠시적으로 전략적으로 후퇴한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