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지난 2월 ’윤 방어권 보장 안건’ 수정 의결
"계엄은 대통령 고유 권한"…야당의 탄핵소추 지적
계엄으로 인한 시민 인권침해 직권조사 안건은 기각
"시민 아닌 ’최고 권력자’ 인권만 챙겨" 비판 속출
지난 2월 국가인권위원회가 '윤 전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의결하면서 비상계엄 옹호 논란을 낳았죠.
그러면서 비상계엄 관련 '시민 인권침해' 조사 안건은 기각해 비판을 받았는데요.
인권위를 향해 정치적인 논란을 부추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 보호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양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2월 10일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수정 의결했습니다.
결정문에는 헌법이 부여한 고유 권한을 행사한 대통령은 잘못이 없고, 오히려 야당의 잦은 탄핵 소추 등이 국헌 문란 소지가 있다는 윤 전 대통령 측의 주장이 그대로 담겼습니다.
인권위는 그러면서 비상계엄으로 인한 시민들의 인권침해에 대한 직권조사 안건은 기각했습니다.
인권위 안팎에서 시민이 아닌 '최고 권력자'의 인권만 챙긴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남규선 /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 인권을 침해하고 민주주의 원칙을 훼손한 윤석열 대통령을 옹호하는 것을 내용으로 삼아 위법 부당하다.]
이런 상황과 관련해 '세계국가인권기구연합'에서 특별심사를 시작하자 안창호 인권위원장은 "헌법재판소가 불공정한 재판을 하고 있으며, 국민의 50% 가까이가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됐습니다.
그런데 이와 달리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 기일이 결정되자 헌재의 선고 결과를 존중하고 화해와 통합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성명을 내놨습니다.
그렇다면 계엄사태로 인한 시민 인권침해 조사를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을까?
인권위에 대한 이 같은 YTN의 질의에 "결정된 것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일부 위원의 과격한 발언도 논란이 됐습니다.
김용원 상임위원은 탄핵이 인용되면 헌재를 두들겨 부숴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김용원 /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 (헌법재판소 판결에 대한 위원님의 견해나 입장은 있으세요?) 내가 그 입장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인권위는 국가 권력... (중략)
YTN 양동훈 (yangdh0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12051117583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계엄은 대통령 고유 권한"…야당의 탄핵소추 지적
계엄으로 인한 시민 인권침해 직권조사 안건은 기각
"시민 아닌 ’최고 권력자’ 인권만 챙겨" 비판 속출
지난 2월 국가인권위원회가 '윤 전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의결하면서 비상계엄 옹호 논란을 낳았죠.
그러면서 비상계엄 관련 '시민 인권침해' 조사 안건은 기각해 비판을 받았는데요.
인권위를 향해 정치적인 논란을 부추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 보호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양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2월 10일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수정 의결했습니다.
결정문에는 헌법이 부여한 고유 권한을 행사한 대통령은 잘못이 없고, 오히려 야당의 잦은 탄핵 소추 등이 국헌 문란 소지가 있다는 윤 전 대통령 측의 주장이 그대로 담겼습니다.
인권위는 그러면서 비상계엄으로 인한 시민들의 인권침해에 대한 직권조사 안건은 기각했습니다.
인권위 안팎에서 시민이 아닌 '최고 권력자'의 인권만 챙긴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남규선 /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 인권을 침해하고 민주주의 원칙을 훼손한 윤석열 대통령을 옹호하는 것을 내용으로 삼아 위법 부당하다.]
이런 상황과 관련해 '세계국가인권기구연합'에서 특별심사를 시작하자 안창호 인권위원장은 "헌법재판소가 불공정한 재판을 하고 있으며, 국민의 50% 가까이가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됐습니다.
그런데 이와 달리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 기일이 결정되자 헌재의 선고 결과를 존중하고 화해와 통합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성명을 내놨습니다.
그렇다면 계엄사태로 인한 시민 인권침해 조사를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을까?
인권위에 대한 이 같은 YTN의 질의에 "결정된 것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일부 위원의 과격한 발언도 논란이 됐습니다.
김용원 상임위원은 탄핵이 인용되면 헌재를 두들겨 부숴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김용원 /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 (헌법재판소 판결에 대한 위원님의 견해나 입장은 있으세요?) 내가 그 입장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인권위는 국가 권력... (중략)
YTN 양동훈 (yangdh0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12051117583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지난 2월 국가인권위원회가 윤 전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의결하면서 비상계엄 옹호 논란을 낳았죠.
00:07그러면서 비상계엄 관련 시민 인권침해 조사 안건은 기각해 비판을 받았는데요.
00:13인권위를 향해 정치적인 논란을 부추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 보호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00:20양동훈 기자입니다.
00:21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2월 10일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수정 의결했습니다.
00:31결정문에는 헌법이 부여한 고유 권한을 행사한 대통령은 잘못이 없고
00:35오히려 야당의 잦은 탄핵소추 등이 국헌문란 소지가 있다는 윤 전 대통령 측의 주장이 그대로 담겼습니다.
00:43인권위는 그러면서 비상계엄으로 인한 시민들의 인권침해에 대한 직권조사 안건은 기각했습니다.
00:50인권위 안팎에서 시민이 아닌 최고 권력자의 인권만 챙긴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01:06이런 상황과 관련해 세계국가인권기구연합에서 특별심사를 시작하자
01:11안창호 인권위원장은 헌법재판소가 불공정한 재판을 하고 있으며
01:16국민의 50% 가까이가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됐습니다.
01:22그런데 이와 달리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기일이 결정되자
01:26헌재의 선고 결과를 존중하고 화해와 통합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성명을 내놨습니다.
01:32그렇다면 계엄 사태로 인한 시민 인권침해조사를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을까
01:38인권위에 대한 이 같은 YTN의 질의에 결정된 것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01:44탄핵 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일부 위원회의 과격한 발언도 논란이 됐습니다.
01:49김용원 상임위원은 탄핵이 인용되면 헌재를 두들겨 부숴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01:55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02:10인권위는 국가 권력이 시민 인권을 침해하지 못하게 견제하고
02:14사회적 약자가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않도록 돕기 위해 설립된 기관입니다.
02:19하지만 비슷한 시기, 성소수자를 돕기 위한 변이수재단 설립 허가안건은
02:25신청 10개월이 넘었지만 또다시 보류됐습니다.
02:29인권위 스스로 정치적 논란을 부추기기보다 설립 취지에 맞게
02:33약자들의 인권 보호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02:37YTN 양동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