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이윤수 교수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 스타트경제, 오늘은 이윤수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와 함께합니다. 교수님, 어서 오십시오. 어제 정치적으로 큰 뉴스가 하나 있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어제 직무에 복귀하게 됐는데요. 복귀 일성으로 통상 전쟁에서 우리의 국익을 확보하는 데 모든 지혜와 역량을 쏟아붓겠다. 아무래도 미국을 바라보고 한 이야기처럼 들리죠?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이윤수]
사실 트럼프 대통령이 들어오면서 굉장히 불확실성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지 않습니까. 관세 정책이 굉장히 많이 나왔고 사실 여러 국가들이 대통령이나 수상이 트럼프 대통령을 방문하면서 자기 나라에 유리한 기반을 잡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국정 공백이 있어서 좀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냐라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초당적 협력을 강조를 하면서 주요 국정 현안을 안정감 있게 그리고 빠르게 진척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얘기를 했는데요. 사실 트럼프는 톱다운 정책을 하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라든가 그 나라의 수장하고 얘기를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런데 최 부총리 같은 경우는 사실 대행의 대행이기 때문에 아무리 우리하고 미국이 혈맹 관계에 있다고 하더라도 미국 정부하고 직접적인 소통을 하는 데는 한계를 드러냈지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외교통상 협상 경험이 굉장히 풍부하고 미국에서 주미대사 등으로 활동을 했기 때문에 대미협상력 강화를 기대하고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 정책에서의 불확실성도 해소가 되고 대응도 빠르게 일어나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해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한덕수 총리는 미국통이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앞으로 우리에게 쌓여져 있는 현안들을 풀어나갈지가 관심이거든요.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갈 것으로 보세요?
[이윤수]
일단 한덕수 대행은 경제수석비서관을 김대중 정부에서 할 당시에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했고요. 그다음에 노무현 정부에 있을 때도 한미 FTA 체결지원장도 했었습니다. 그리고 주미대사를 지냈다는 점이 미국과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325073928867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 출연 : 이윤수 교수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 스타트경제, 오늘은 이윤수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와 함께합니다. 교수님, 어서 오십시오. 어제 정치적으로 큰 뉴스가 하나 있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어제 직무에 복귀하게 됐는데요. 복귀 일성으로 통상 전쟁에서 우리의 국익을 확보하는 데 모든 지혜와 역량을 쏟아붓겠다. 아무래도 미국을 바라보고 한 이야기처럼 들리죠?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이윤수]
사실 트럼프 대통령이 들어오면서 굉장히 불확실성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지 않습니까. 관세 정책이 굉장히 많이 나왔고 사실 여러 국가들이 대통령이나 수상이 트럼프 대통령을 방문하면서 자기 나라에 유리한 기반을 잡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국정 공백이 있어서 좀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냐라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초당적 협력을 강조를 하면서 주요 국정 현안을 안정감 있게 그리고 빠르게 진척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얘기를 했는데요. 사실 트럼프는 톱다운 정책을 하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라든가 그 나라의 수장하고 얘기를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런데 최 부총리 같은 경우는 사실 대행의 대행이기 때문에 아무리 우리하고 미국이 혈맹 관계에 있다고 하더라도 미국 정부하고 직접적인 소통을 하는 데는 한계를 드러냈지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외교통상 협상 경험이 굉장히 풍부하고 미국에서 주미대사 등으로 활동을 했기 때문에 대미협상력 강화를 기대하고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 정책에서의 불확실성도 해소가 되고 대응도 빠르게 일어나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해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한덕수 총리는 미국통이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앞으로 우리에게 쌓여져 있는 현안들을 풀어나갈지가 관심이거든요.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갈 것으로 보세요?
[이윤수]
일단 한덕수 대행은 경제수석비서관을 김대중 정부에서 할 당시에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했고요. 그다음에 노무현 정부에 있을 때도 한미 FTA 체결지원장도 했었습니다. 그리고 주미대사를 지냈다는 점이 미국과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325073928867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